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普通体会話に現れた 韓国人学習者の終助詞使用状況 = Reality of usage of sentence final particles in Japanese by Korean learner of Japanese language as shown in their plain-style convers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683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en speaking Japanese language, especially when talking in normal form, oneshould distinguish format of the end of each sentence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with the conversation partner, existence of information, and gender. Especially,sentence-end...

      When speaking Japanese language, especially when talking in normal form, oneshould distinguish format of the end of each sentence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with the conversation partner, existence of information, and gender. Especially,sentence-ending particles in Japanese plays an important role. This article aims toshow features and problems of the usage of sentence-ending particles in Japaneseof Korean learners of Japanese language(“Korean learners”) when they speak withclose friends in normal form, by comparing such usage with that if Japanese who’smother language is Japanese(“Japanese speakers”) and by analyzing it.
      As a result of research, it turned out that Japanese speakers uses suchsentence-ending particles in Japanese as, in an order of frequent usage, ‘ね>な>よね>よ>さ>じゃん,’ when they speak to close friends. When comparing it withtheir usage in formal interviews,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regardingthe most frequent use of ‘ね’; that, however, they frequently used ‘よね’ or ‘な’even though ‘な’ is used for monologue; and that the use of ‘さ’ or ‘じゃん’ thatdid not appear in the interviews was increased in the conversation with close friends.
      In case of Korean learners, it turned out that they uses such sentence-endingparticles in Japanese as, in an order of frequent usage, ‘ね>な>よ>じゃん>よね>さ’; that, compared to Japanese speakers, they more frequently used ‘よ’ andless frequently used ‘よね’; and that there were not many Korean learners who use‘さ’ although most of them use ‘じゃん’.
      As of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male Korean learners frequently used ‘な’and ‘ね’, compared to the female Korean learners who frequently used ‘ね’ and‘よ’.There were occasions where uses of sentence-ending particles in Japanese by male Korean learners give impression of use by female in that they added ‘ね’directly to an uninflected word, as shown in ‘そうね’, and that they use “ね” toomuch.
      In terms of length of residence in Japan, Korean learners who have shorter periodof residence in Japan is more likely to use ‘よ’ frequently. Because ‘よ’ is asentence-ending particle in Japanese indicating that the speaker prevails in terms ofinformation, Japanese speakers tend to continue conversation while consideringopposite party through using ‘よね’ or other different ending formats instead of ‘よ’,in order not to reveal that the speaker prevails on information.In contrast to that,it turned out to be difficult for Korean learners whose residence in Japan is shortto learn and use such consideration for courtesy.
      In case of JFL,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t is estimated that there are manyKorean learners who have difficulties in learning sentence final particles in Japanesedue to lack of inputs from the surroundings and due to lack of detailed educationof use of sentence final particles in Japanese in education system.Education focusingon consideration for courtesy when using plain-style, as well as on explanation offormats, is necessary, considering the possibility that Korean learners in upper levelsare more likely to cause misunderstanding by their conversation partners due to theirwrong use of sentence final particles in Japane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일본어로 대화할 경우 상대와의 관계, 정보의 유무, 성별 등에 따라 문말형식을 구별해서 사용해야 한다. 그 중에서도 종조사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특히 보통체회화에서는 종...

      일본어로 대화할 경우 상대와의 관계, 정보의 유무, 성별 등에 따라 문말형식을 구별해서 사용해야 한다. 그 중에서도 종조사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특히 보통체회화에서는 종조사를 사용하지 않으면 자연스러운 대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고는 한국인 일본어학습자가 친한 친구와 보통체로 대화할때 나타나는 종조사를 조사하여, 일본어모어화자의 사용과 비교·분석함으로써그 특징과 문제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 결과, 모어화자는 친한 친구와 대화를 할 때 ‘ね>な>よね>よ>さ>じゃん’의 순서로 사용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인터뷰회화에서 나타난 종조사의사용과 비교하면, ‘ね’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よね’나 독백으로 사용되는 ‘な’의 사용이 많았다는 점과, 인터뷰회화에는 나타나지 않았던 ‘さ’나 ‘じゃん’의 사용이 증가하는 등의 특징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습자는 ‘ね>な>よ>じゃん>よね>さ’의 순서로 사용 빈도가 높았으며, 모어화자와 비교해 ‘よ’의 사용빈도가 높았고, 반대로 ‘よね’의 사용수가적었다. 또한 ‘じゃん’는 학습자 대부분이 사용하고 있었으나 ‘さ’를 사용하는학습자가 많지 않다는 점 등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남녀별 차이를 보면 남성학습자는 ‘な’와 ‘ね’, 여성학습자는 ‘ね’와 ‘よ’의 사용빈도가 높았고, 남성학습자의 경우 ‘そうね’처럼 체언에 직접 ‘ね’를 부가하거나 “ね”의 과잉 사용으로 인해 여성스럽다는 인상을 주는 경우도 볼 수 있었다.
      일본 거주기간별로 살펴보면, 거주기간이 짧은 학습자일수록 ‘よ’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よ’는 정보적으로 자신이 우세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종조사이기 때문에, 모어화자의 경우 ‘よ’대신 ‘よね’나 다른 문말형식을 사용하여 정보적으로 자신이 우세한 입장에 있다는 것을 주장하지 않도록 배려하면서 대화를진행하려고 하는 반해, 일본 거주경험이 적은 학습자일수록 이러한 대우적인배려를 습득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조사 대상자와 같은 주로 한국에서 일본어를 학습한 학습자의 경우 주의 환경에서 오는 자연적 입력이 절대적으로 적고, 교육현장에서도 종조사교육이 자세히 이루어져있지 않기 때문에 종조사 습득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학습자가 많을 것으로 사려 된다. 상급학습자일수록 올바르지 못한 종조사로 인해상대에게 오해를 주는 상황도 충분히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보통체형을 도입할때 형태적인 설명만 아니라 대우적인 면에 초점을 맞춘 교육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봉, "「ね」·「よ」에 대응하는 한국어 문말 형태에 관한 고찰"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14 (14): 217-235, 2009

      2 배덕희, "한국어 '-요', 일본어 '-ね'·'-よ'와 그 교육" 한국일본어문학회 (12) : 21-48, 2002

      3 요시다 다카,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終助詞使用状況 -「ね」の使用を中心として-" 한국일본어학회 32 (32): 155-167, 2011

      4 吉田たか,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終助詞「ね」の誤用パターン -OPIデータの分析を中心に-" 한국일어일문학회 84 (84): 269-288, 2013

      5 桜井恵子, "親密体のどこが難しいか-ロールプレイの分析から-" (50) : 489-505, 2002

      6 上原聡, "自然談話における『裸の文末形式』の機能と用法" 14 : 109-123, 2004

      7 上野鶴子, "終助詞とその周辺" 17 : 62-77, 1972

      8 冨樫純一, "終助詞『さ』の本質的意味と用法" 50 : 150-138, 2009

      9 伊豆原英子, "終助詞「よ」「よね」「ね」再考" 愛知学院大学教養教育研究会 51 (51): 1-15, 2003

      10 日本語記述文法研究会, "現代日本語文法4第8部モダリティ" くろしお出版 239-274, 2003

      1 이봉, "「ね」·「よ」에 대응하는 한국어 문말 형태에 관한 고찰"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14 (14): 217-235, 2009

      2 배덕희, "한국어 '-요', 일본어 '-ね'·'-よ'와 그 교육" 한국일본어문학회 (12) : 21-48, 2002

      3 요시다 다카,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終助詞使用状況 -「ね」の使用を中心として-" 한국일본어학회 32 (32): 155-167, 2011

      4 吉田たか,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終助詞「ね」の誤用パターン -OPIデータの分析を中心に-" 한국일어일문학회 84 (84): 269-288, 2013

      5 桜井恵子, "親密体のどこが難しいか-ロールプレイの分析から-" (50) : 489-505, 2002

      6 上原聡, "自然談話における『裸の文末形式』の機能と用法" 14 : 109-123, 2004

      7 上野鶴子, "終助詞とその周辺" 17 : 62-77, 1972

      8 冨樫純一, "終助詞『さ』の本質的意味と用法" 50 : 150-138, 2009

      9 伊豆原英子, "終助詞「よ」「よね」「ね」再考" 愛知学院大学教養教育研究会 51 (51): 1-15, 2003

      10 日本語記述文法研究会, "現代日本語文法4第8部モダリティ" くろしお出版 239-274, 2003

      11 野田春美, "新日本文法選書4モダリティ" くろしお出版 261-288, 2002

      12 神尾昭雄, "情報のなわ張り理論" 大修館書店 1990

      13 黒沢晶子, "山形大学留学生教育と研究2" 3-11, 2010

      14 宇佐美まゆみ, "女性のことば・職場編" ひつじ書房 241-268, 1997

      15 メイナード·K·泉子, "会話分析" くろしお出版 101-110, 1992

      16 益岡隆志, "モダリティの文法" くろしお出版 92-107,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3 0.596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