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国交正常化以降、韓日間技術協力の変化と特徴に関する考察 -素材部品産業を中心に- = A Study on Changes and Features of Technical Cooperation in Japan and Korea after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548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and structural features of the technical cooperation between Japan and Korea after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analysis of Parts and Materials industry. The reason is that a...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and structural features of the technical cooperation between Japan and Korea after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analysis of Parts and Materials industry. The reason is that a very high proportion of Parts and Materials in trade between Japan and Korea.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past 50 years, technology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have brought many benefits to the two economies. Also it gave a lot of help in improving phase and influence of the two countri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Korea and Japan are fulfilling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as external economy on the each other. And, suggests that future efforts to draw the two countries closer collaboration and performance needs.
      Moreover,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the technology gap between the two countries Parts and Materials were observed to be reduced more than 2.5 times over 25 years.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 Parts and Materials industry in Korea for Japan, continues to improve price competitiveness, as well as to the technology.
      Therefore, the change in technology dependency structure between the two countries are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improving the trade imbala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stumbling economic coope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일 국교 정상화 이후, 소재부품을 중심으로 한 양국 간 기술협력의 시대적․구조적 특징과 변화를 검토하면서, 기술 강국으로서 일본의 저력과 위상 변화, 그리고 기술 강국을 ...

      본 연구는 한일 국교 정상화 이후, 소재부품을 중심으로 한 양국 간 기술협력의 시대적․구조적 특징과 변화를 검토하면서, 기술 강국으로서 일본의 저력과 위상 변화, 그리고 기술 강국을 위한 한국의 노력과 성과에 대해 역사적․경제적 관점에서 정성적․정량적 분석을 도입하여 고찰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분석 결과, 과거 50년간 한일 간 기술협력은 많은 시행착오와 과제를 극복하면서 양국 경제는 물론 기업에 상당한 이익을 가져다주었으며, 이를 통해 국제 사회에서 상호 위상 제고와 영향력 향상을 도모해 왔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곧 한일 양국이 상대국에 대한 외부경제로서의 역할과 책임을 충실히 수행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향후에도 지속 가능한 안정적 성장을 모색하는데 있어 상호 무단한 협력과 성과를 도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해 주고 있다.
      특히, 정량적 실증분석에 의한 한일 간 소재부품산업의 기술격차는 25년 동안 2.5배 이상 축소된 것으로 관찰되어, 기존의 대일본 가격경쟁력뿐 아니라 기술경쟁력까지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양국 간 기술의존구조 변화는 양국 간 경제협력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무역불균형 개선에 크게 기여하고 있어, 한일 정부 및 기업 간 경제협력 긴밀화 노력에 새로운 지렛대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홍배, "한일간 중간재의 의존관계와 생산파급효과 분석" 한국일본근대학회 (46) : 455-472, 2014

      2 李鴻培, "韓日間部品素材産業の技術および人材交流の拡大法案" 韓日経商学会 62 : 2014

      3 李鴻培, "韓日間部品素材産業における貿易不均衡の要因分析" 韓日経商学会 45 : 2009

      4 李德根, "韓日部品素材産業の協力強化方案" 韓日産業技術協力財団 2009

      5 李鴻培, "韓日における部品素材産業の協力拡大のための新しいパラダイムの考察" 韓国北東アジア学会 23 (23): 2011

      6 尹明憲, "韓国における科学技術政策の展開-知識基盤経済への模索" 日本九州大学 3 : 2003

      7 李鴻培, "韓中日3国における産業間相互依存関係の分析:国際産業連関モデルによる実証分析" 対外経済政策研究院 2002

      8 小池洋一, "経済発展と技術移転" 東洋経済新報社 2000

      9 李鍾允, "日本をどのように見るべきなのか" 韓国経済新聞出版社 2014

      10 加峰隆義, "日本から韓国への技術移転の経緯" 日本九州大学 10 : 2011

      1 이홍배, "한일간 중간재의 의존관계와 생산파급효과 분석" 한국일본근대학회 (46) : 455-472, 2014

      2 李鴻培, "韓日間部品素材産業の技術および人材交流の拡大法案" 韓日経商学会 62 : 2014

      3 李鴻培, "韓日間部品素材産業における貿易不均衡の要因分析" 韓日経商学会 45 : 2009

      4 李德根, "韓日部品素材産業の協力強化方案" 韓日産業技術協力財団 2009

      5 李鴻培, "韓日における部品素材産業の協力拡大のための新しいパラダイムの考察" 韓国北東アジア学会 23 (23): 2011

      6 尹明憲, "韓国における科学技術政策の展開-知識基盤経済への模索" 日本九州大学 3 : 2003

      7 李鴻培, "韓中日3国における産業間相互依存関係の分析:国際産業連関モデルによる実証分析" 対外経済政策研究院 2002

      8 小池洋一, "経済発展と技術移転" 東洋経済新報社 2000

      9 李鍾允, "日本をどのように見るべきなのか" 韓国経済新聞出版社 2014

      10 加峰隆義, "日本から韓国への技術移転の経緯" 日本九州大学 10 : 2011

      11 ユ․ ス, "技術革命" 大宇品質信頼性研究所 1999

      12 李鴻培, "国際学論叢、第2集" 啓明大学校,国際大学研究所 2014

      13 イ․ゼヒョン, "世界的水準の部品素材信頼性の発展過程" 韓国信頼性協会 2010

      14 李亨五他, "ものづくり経営学" 大林印刷出版社 2009

      15 Leontief, W., "studies in the Structure of the American Economy, Chapter 3" Oxford University Press 53-90, 1953

      16 "UN COMTRADE Data Base"

      17 Fukuzawa, Yukichi, "The Autobiography of Fukuzawa Yukichi" The Hokuseido Press 1981

      18 韓国貿易協会, "KOTIS 貿易統計"

      19 Chenery, H. B., "International Comparisons of the Structure of Production" 26 : 487-521, 1958

      20 JETRO, "Asian International Input-Output Table 2005, 2000, 1995, 1985"

      21 韓国未来創造科学部, "2013年技術貿易統計"

      22 韓日産業技術協力財團, "2011年韓国型ものづくりの人材育成事業の実績報告書" 2011

      23 李鴻培, "2010年韓日国際産業関連表" 韓国東義大学校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3 0.768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