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법궤설화에 대한 역사-문학 비평적 연구 - 2사무 6,2(1사무 4,4)을 중심으로 - = Diachronic-synchronic Criticism on the Ark's Narration [With a focus on 2Sam 6.2 (1Sam 4.4)]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308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이스라엘의 신앙고백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법궤설화에 대한 역사·문학 비평적 연구이다. 본 논문은 완벽한 법궤설화의 형태를 갖춘 사무엘 상권(1사무 4-7,1)과 사무엘 하권(2...

      본 논문은 이스라엘의 신앙고백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법궤설화에 대한 역사·문학 비평적 연구이다. 본 논문은 완벽한 법궤설화의 형태를 갖춘 사무엘 상권(1사무 4-7,1)과 사무엘 하권(2사무 6장)을 살펴보는 가운데 이 두 설화의 연관성에 주목하였다. 이 두 설화의 시·공간적 배경은 다르지만 이 두 설화를 연결하는 고리는 사무엘 하권 6장 2절에 언급된 ‘유다 바알라’, ‘거기에서부터’ 그리고 ‘거룹위에 앉아계신 만군의 야훼(JHWH ṣebā’ôṯ)’라는 단어이다. 이 단어들 중에 장소를 가리키는 ‘유다 바알라’와 ‘거기에서부터’는 사무엘 상권의 마지막 부분(1사무 7,1)에 언급된 장소와 연관되어 있고, ‘거룹위에 좌정하신 만군의 야훼’는 두 법궤설화(1사무 4,4; 2사무 6,2)에 나온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두 설화가 긴밀한 관계에 있고, 더 나아가 이 두설화가 어떤 한 저자(또는 설화자)에 의해서 의도적으로 쓰였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부연하면 두 법궤설화가 처음에 구전으로 전해졌다가 저자인 신명기사가(Deuteronomist)의 신학적 의도에 의해 지금의 이야기로 재해석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본 논문은 두 설화의 연결고리인 사무엘 하권 6장 2절에 언급된 독특한 표현인 ‘거룹위에 좌정하신 만군의 야훼’란 칭호와 ‘법궤’와의 관계성을 역사비평과 신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우선적으로 ‘거룹위에 좌정하신 만군의 야훼’란 칭호는 사무엘서와 이와 관련된 다른 성서구절 혹은 사본들과의 비교를 통해 ‘실로’ 혹은 ‘예루살렘’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 칭호들의 형식적인 기원이 가나안 신의 칭호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도 배제되지 않는다. 부연하면 가나안 신의 칭호가 다윗 혹은 솔로몬 시대 때 ‘야훼(Jahwe)’께 양도된 것으로 추정된다.
      신학적인 측면에서 “거룹위에 좌정하신 만군의 야훼”는 이스라엘을 지키는 전쟁의 수호신으로 이해되기도 하였지만(1사무 17,45), 단순히 전쟁의 신이라는 협의적인 의미를 넘어 진정한 왕의 위엄과 권능을 지닌 분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된 칭호로 보인다. 이 칭호와 긴밀한 관계에 있는 ‘법궤’는 야훼의 현현, 신탁, 전쟁의 수호, 중앙 지성소와 같은 종교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법궤는 단순한 제의적 기구차원을 넘어 ‘만군의 야훼’와 더불어 하느님의 임재를 드러내는 인격적인 매개물이다.
      법궤설화는 화자, 특히 신명기사가(Deuteronomist)의 의도에 의해서 재해석된 설화로, 화자는 설화를 통해 하느님의 성성(聖性)과 자유성을 강조한다. 우짜의 죽음은 하느님 성성의 도전에 대한 ‘벌’이라면, 법궤가 불레셋인들에게 빼앗긴 사건은 법궤에만 머물러 계시지 않는 하느님의 ‘자유성’을 의미한다. 부연하면 화자는 법궤설화를 통해 법궤의 성성을 강조한 동시에, 하느님께서 법궤에만 머물러 계시다고 생각하는 인간의 그릇된 사고방식에 일침을 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to study on Ark's Narration that holds an important position in a confiteor of Israelites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and literary criticism. By reviewing the first book of SAMUEL(1Samuel 4-7.1) and the second book of SAMUEL(2Samuel ...

      This paper is to study on Ark's Narration that holds an important position in a confiteor of Israelites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and literary criticism. By reviewing the first book of SAMUEL(1Samuel 4-7.1) and the second book of SAMUEL(2Samuel 6), which are formed as in a perfect Ark's Narration, I specifically noticed the connections between two narrations. These two narrations have different background in terms of time and space, however, two scriptures are connected by such words as "Baalah in Judah," "From there" and "The Lord of Hosts(Jahwe ṣebā’ôṯ), who is enthroned between the cherubim" which are written in the second book of SAMUEL 6.2.
      Among aforesaid words; "Baale of Judah" and "From there" which indicate the place, are connected with the very place mentioned in the last part of the first book of SAMUEL(1Samuel 7.1) and "The Lord of Hosts(Jahwe ṣebā’ôṯ), who is enthroned between the cheru- bim" are shown in "Ark’s Narration" in both scriptures at the same time(1Sam 4.4 and 2Sam 6.2). Through these biblical writings, I assumed that these two narrations were closely related, and going one step further, I could incur that these two were written by one author (or one narrator) intentionally. To speak further upon this point, there are much possibilities that these two ark's narrations were transmitted by word of mouth at the beginning and interpreted again as of the stories by the deuteronomist - the author of the books, in theological purpose.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uch unique expression, which is a ring that couples two narrations, as in the calling; "The Lord of Hosts(Jahwe ṣebā’ôṯ), who is enthroned between the cherubim" which were written in the second book of SAMUEL 6.2 and the "ark"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criticism and theology.
      Primarily, the calling as by "The Lord of Hosts(Jahwe ṣebā’ôṯ), who is enthroned between the cherubim" is assumed that it was derived from "Shiloh" or "Jerusalem" when compared the books of Samuel with other relevant biblical phrases or manuscripts. And, I don't eliminate the possibility that the original format of this calling might be come from the god of Canaan. To speak further on this point, it is presumed that the title of the god of Canaan was assigned to "Jahwe" in the era of David or Solomon.
      In theological aspect, the calling; "The Lord of Hosts(Jahwe ṣebā’ôṯ), who is enthroned between the cherubim" may be understood as the God of the armies of Israel (1Samuel 17.45), however, it seems that this title had been used to depict certain honorable figure who possessed true dignity and authority as of the King beyond such narrow definition as the God of the armies.
      The word, "ARK" which is closely connected to aforesaid appellation has such meanings as "revelation of Jahwe", "Trust", "Protection of War" and "Most Holy Place." This ark is a personified medium revealing the presence of the God along with "The Lord of Armies" going beyond the value of an utensil that is simply used in a ritual worship.
      Ark’s Narration is a reinterpreted narration by a narrator, especially by the intention of deuteronomist, and the narrator put emphasis on Sanctitas (simply put, holiness) of the God and also Freedom through the narra- tions. The death of Uzzah was a punishment against the challenge to the Sanctitas of the God, while the incident of being robbed of the ark by Philistines denoted the "Freedom" or God's ubiquitous nature, for God doesn't stay only at the ark. To speak further upon this point, the narrator emphasized the Sanctitas of the ark through Ark's Narration, and at the same time it told people off for their wrong way of thinkings in that they just regard that the God stays only at the ark.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10-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Catholic Theolog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CATHOLIC THE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 0.1 0.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9 0.07 0.59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