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시 번역을 둘러싼 논쟁 = Discussions on the Translation of Sino-Korean Poe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73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translation of Sino-Korean poetry, and to pursue a translation method of Sino-Korean poetry for enhanced accessibility by readers. Both in the east and in the west, the most controversial issue in translation is poetry. It is because the implicit meaning of the original poetry is hard to be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lated version. In particular, rhythm is problematic. Rhythm of poetry is based on the speciality of the relevant language and therefore, it is hard to represent rhythm of the original version.
      Discussions on rhythm of poetry have been progressed to recognize various kinds of intrinsic rhythms removing the adherence to the appearance rhythm in the text. But, translation of Sino-Korean poetry has been still focusing on metric rhythm. The concept that authentic ‘poetry’ needs a set of pattern regularly repeated in the whole text is the outcome of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features of the Korean classical poetry.
      To the contemporary readers, the stereotypical rhythm in the translated poetry is meaningless, and the translation focusing only on rhythm may hinder the popularization of Sino-Korean poetry.
      Since the authenticity of poetry does not mean patterned poetry, it is necessary to translate Sino-Korean poetry in a various rhythm patterns instead of translating it in 4-metric rhythm only.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translation of Sino-Korean poetry, and to pursue a translation method of Sino-Korean poetry for enhanced accessibility by readers. Both in the east and in the west, the most controversia...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translation of Sino-Korean poetry, and to pursue a translation method of Sino-Korean poetry for enhanced accessibility by readers. Both in the east and in the west, the most controversial issue in translation is poetry. It is because the implicit meaning of the original poetry is hard to be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lated version. In particular, rhythm is problematic. Rhythm of poetry is based on the speciality of the relevant language and therefore, it is hard to represent rhythm of the original version.
      Discussions on rhythm of poetry have been progressed to recognize various kinds of intrinsic rhythms removing the adherence to the appearance rhythm in the text. But, translation of Sino-Korean poetry has been still focusing on metric rhythm. The concept that authentic ‘poetry’ needs a set of pattern regularly repeated in the whole text is the outcome of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features of the Korean classical poetry.
      To the contemporary readers, the stereotypical rhythm in the translated poetry is meaningless, and the translation focusing only on rhythm may hinder the popularization of Sino-Korean poetry.
      Since the authenticity of poetry does not mean patterned poetry, it is necessary to translate Sino-Korean poetry in a various rhythm patterns instead of translating it in 4-metric rhythm on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한시 번역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일별하고, 한시에 대한 독자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번역 방법을 모색하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번역에서 논쟁이 가장 치열한 분야는 시 분야이다.
      언어의 차이로 인해 번역시가 원시에 함축된 의미를 온전히 담아내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시의 운율이다. 시의 운율은 해당 언어의 특수성에 바탕하며, 번역시는 원시가 지닌 운율을 그대로 재현하기 어렵다.
      한시 번역에 대한 논의는 대개 원시의 운율을 어떻게 재현할 것인지에 집중되어 있다. 학술번역의 경우 정확한 의미의 전달을 우선하므로 운율은 좀처럼 고려의 대상이 되지 않는 반면, 대중번역의 경우 원시의 율격을음보율로 재현해야 한다는 주장이 지배적이다. 이로 인해 원시의 운율과 번역시의 음보율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려는 시도가 이어졌으나, 성공한 사례는 찾기 어렵다. 번역시의 음보는 원시의 율격과 무관한 독자적인 율격이다. 그럼에도 한시 번역은 여전히 음보율에 집착하여 ‘불완전번역’과 ‘과잉번역’을 야기하고 있다.
      시의 운율에 대한 현재의 논의는 문면에 드러나는 외형률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다양한 내재율을 인정하는추세이다. 전편에 걸쳐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정형성이 있어야 ‘시답다’는 관념은 한국 고전시가의 특성에 대한몰이해에서 비롯된 소치이다. 현대의 독자에게 천편일률적인 번역시의 운율은 의미가 없으며, 운율에 집착하는 번역은 한시의 대중화를 저해할 수도 있다. 시다움이 정형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닐진대, 한시를 천편일률적인 4음보로 번역하는 관행을 탈피하고, 다양한 운율로 과감히 번역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한시 번역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일별하고, 한시에 대한 독자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번역 방법을 모색하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번역에서 논쟁이 가장 ...

      이 논문은 한시 번역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일별하고, 한시에 대한 독자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번역 방법을 모색하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번역에서 논쟁이 가장 치열한 분야는 시 분야이다.
      언어의 차이로 인해 번역시가 원시에 함축된 의미를 온전히 담아내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시의 운율이다. 시의 운율은 해당 언어의 특수성에 바탕하며, 번역시는 원시가 지닌 운율을 그대로 재현하기 어렵다.
      한시 번역에 대한 논의는 대개 원시의 운율을 어떻게 재현할 것인지에 집중되어 있다. 학술번역의 경우 정확한 의미의 전달을 우선하므로 운율은 좀처럼 고려의 대상이 되지 않는 반면, 대중번역의 경우 원시의 율격을음보율로 재현해야 한다는 주장이 지배적이다. 이로 인해 원시의 운율과 번역시의 음보율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려는 시도가 이어졌으나, 성공한 사례는 찾기 어렵다. 번역시의 음보는 원시의 율격과 무관한 독자적인 율격이다. 그럼에도 한시 번역은 여전히 음보율에 집착하여 ‘불완전번역’과 ‘과잉번역’을 야기하고 있다.
      시의 운율에 대한 현재의 논의는 문면에 드러나는 외형률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다양한 내재율을 인정하는추세이다. 전편에 걸쳐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정형성이 있어야 ‘시답다’는 관념은 한국 고전시가의 특성에 대한몰이해에서 비롯된 소치이다. 현대의 독자에게 천편일률적인 번역시의 운율은 의미가 없으며, 운율에 집착하는 번역은 한시의 대중화를 저해할 수도 있다. 시다움이 정형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닐진대, 한시를 천편일률적인 4음보로 번역하는 관행을 탈피하고, 다양한 운율로 과감히 번역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범중, "한시 연구와 한시 번역" 배달말학회 33 (33): 25-57, 2003

      2 김종태, "한시 번역의 구성과 표현" 한국고전번역학회 3 : 2012

      3 고순희, "한시 번역문체 연구(Ⅰ):한시 번역문체의 사적 검토" 한국한문학회 27 : 2001

      4 이병주, "한국한시의 번역 문제" 국립국어연구원 6 : 1996

      5 송준호, "한국명가한시선" 문헌과해석사 1999

      6 김선남, "한국 번역출판의 발전방안 연구" 한국서지학회 (61) : 263-294, 2015

      7 이종묵, "조선시대 한시 번역의 전통과 한시 번역의 모델" 한국고전번역원 32 (32): 75-102, 2008

      8 송준호, "우리 漢詩의 解釋과 飜譯을 위한 몇 가지 提要" 인문학연구원 78 : 117-140, 1997

      9 김진희, "시조 율격론 난제" 한국시가학회 36 : 301-334, 2014

      10 안대회, "새벽한시" 태학사 2014

      1 성범중, "한시 연구와 한시 번역" 배달말학회 33 (33): 25-57, 2003

      2 김종태, "한시 번역의 구성과 표현" 한국고전번역학회 3 : 2012

      3 고순희, "한시 번역문체 연구(Ⅰ):한시 번역문체의 사적 검토" 한국한문학회 27 : 2001

      4 이병주, "한국한시의 번역 문제" 국립국어연구원 6 : 1996

      5 송준호, "한국명가한시선" 문헌과해석사 1999

      6 김선남, "한국 번역출판의 발전방안 연구" 한국서지학회 (61) : 263-294, 2015

      7 이종묵, "조선시대 한시 번역의 전통과 한시 번역의 모델" 한국고전번역원 32 (32): 75-102, 2008

      8 송준호, "우리 漢詩의 解釋과 飜譯을 위한 몇 가지 提要" 인문학연구원 78 : 117-140, 1997

      9 김진희, "시조 율격론 난제" 한국시가학회 36 : 301-334, 2014

      10 안대회, "새벽한시" 태학사 2014

      11 김동준, "번역학 관점에서의 한국한문문학작품 번역 재론 - 한시의 번역을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원 46 (46): 1-35, 2007

      12 백원근, "번역출판의 양적 성장과 그 함의"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2009

      13 김영봉, "번역시의 운율"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2012

      14 박수천, "근체시의 율격과 번역" 한국한시학회 1 : 1993

      15 김정화, "근대 초기 시형의 모색과 율격 논의 - 김억의 「격조시형론」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5 (15): 7-33, 2011

      16 김정화, "漢詩 飜譯에 나타나는 律格的 특질-韓?日 間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한문교육학회 19 : 563-594, 2002

      17 고순희, "漢時 飜譯文體 硏究(Ⅱ) -우리 漢時 飜譯의 성격과 飜譯文體의 제문제-" 한국고전문학회 20 : 273-303,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6-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Oriental Studies KCI등재
      2013-03-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양학연구소 -> 동양학연구원
      영문명 :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 Academy of Asian Studies, Dankook Universi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3 1.457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