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범중, "한시 연구와 한시 번역" 배달말학회 33 (33): 25-57, 2003
2 김종태, "한시 번역의 구성과 표현" 한국고전번역학회 3 : 2012
3 고순희, "한시 번역문체 연구(Ⅰ):한시 번역문체의 사적 검토" 한국한문학회 27 : 2001
4 이병주, "한국한시의 번역 문제" 국립국어연구원 6 : 1996
5 송준호, "한국명가한시선" 문헌과해석사 1999
6 김선남, "한국 번역출판의 발전방안 연구" 한국서지학회 (61) : 263-294, 2015
7 이종묵, "조선시대 한시 번역의 전통과 한시 번역의 모델" 한국고전번역원 32 (32): 75-102, 2008
8 송준호, "우리 漢詩의 解釋과 飜譯을 위한 몇 가지 提要" 인문학연구원 78 : 117-140, 1997
9 김진희, "시조 율격론 난제" 한국시가학회 36 : 301-334, 2014
10 안대회, "새벽한시" 태학사 2014
1 성범중, "한시 연구와 한시 번역" 배달말학회 33 (33): 25-57, 2003
2 김종태, "한시 번역의 구성과 표현" 한국고전번역학회 3 : 2012
3 고순희, "한시 번역문체 연구(Ⅰ):한시 번역문체의 사적 검토" 한국한문학회 27 : 2001
4 이병주, "한국한시의 번역 문제" 국립국어연구원 6 : 1996
5 송준호, "한국명가한시선" 문헌과해석사 1999
6 김선남, "한국 번역출판의 발전방안 연구" 한국서지학회 (61) : 263-294, 2015
7 이종묵, "조선시대 한시 번역의 전통과 한시 번역의 모델" 한국고전번역원 32 (32): 75-102, 2008
8 송준호, "우리 漢詩의 解釋과 飜譯을 위한 몇 가지 提要" 인문학연구원 78 : 117-140, 1997
9 김진희, "시조 율격론 난제" 한국시가학회 36 : 301-334, 2014
10 안대회, "새벽한시" 태학사 2014
11 김동준, "번역학 관점에서의 한국한문문학작품 번역 재론 - 한시의 번역을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원 46 (46): 1-35, 2007
12 백원근, "번역출판의 양적 성장과 그 함의"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2009
13 김영봉, "번역시의 운율" 연세대학교 근대한국학연구소 2012
14 박수천, "근체시의 율격과 번역" 한국한시학회 1 : 1993
15 김정화, "근대 초기 시형의 모색과 율격 논의 - 김억의 「격조시형론」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5 (15): 7-33, 2011
16 김정화, "漢詩 飜譯에 나타나는 律格的 특질-韓?日 間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한문교육학회 19 : 563-594, 2002
17 고순희, "漢時 飜譯文體 硏究(Ⅱ) -우리 漢時 飜譯의 성격과 飜譯文體의 제문제-" 한국고전문학회 20 : 273-303,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