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신뢰와 소속감이 지역사회 참여와 형성하는 관계를 분석하고 소속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있다. 신뢰, 소속감, 지역사회 참여 간 상관분석 결과, 지연 신뢰는 정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40529
2025
-
300
KCI등재
학술저널
111-150(4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신뢰와 소속감이 지역사회 참여와 형성하는 관계를 분석하고 소속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있다. 신뢰, 소속감, 지역사회 참여 간 상관분석 결과, 지연 신뢰는 정치...
본 논문의 목적은 신뢰와 소속감이 지역사회 참여와 형성하는 관계를 분석하고 소속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있다. 신뢰, 소속감, 지역사회 참여 간 상관분석 결과, 지연 신뢰는 정치사회에 대한 관심, 거주지역 홈페이지 방문, 거주지역에서 사회활동 참여와 유의미한 관계를, 학연·혈연 신뢰는 정치사회에 대한 관심, 거주지역 홈페이지 방문과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다. 소속감의 경우, 지연 신뢰와 학연·혈연 신뢰, 정치사회에 대한 관심, 거주지역 홈페이지 방문, 거주지역에서 사회활동 참여와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다.
주요 변수 간 유의미한 상관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소속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지연 신뢰와 정치사회에 대한 관심의 관계에서는 완전 매개를, 지연 신뢰와 거주지역 홈 페이지 방문, 거주지역에서 사회활동 참여, 학연·혈연 신뢰와 정치사회에 대한 관심, 거주지역 홈페이지 방문과의 관계에서는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 결과,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사회 참여를 위한 접근 장벽을 낮추는 것에 초점을 두어 지역사회는 지역 정보 제공을 위한 홍보 및 연계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둘째, 온·오프라인을 병행하는 교류 방법을 지역사회에 적용함으로써 많은 지역주민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사회에 소속되어 있다는 인식을 강화할 수 있는 전략이 마련될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rust, sense of belongingness, and community participa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nse of belonging.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rust, sense of b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rust, sense of belongingness, and community participa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nse of belonging.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rust, sense of belongingness and community participation, trust in regional connection(TR)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interest in political and social issues, visits to community websites,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in the local area. Trusts in alumni connection(TA) and blood relation(TB)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interest in political and social issues and visits to local community websites. Sense of belongingnes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R, TA and TB, interest in political and social issues, visits to local community websites,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in the local area.
Based on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key variables, th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belongingness was verified. The results revealed that sense of belongingness full medi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 and interest in political and social issues and partial media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R and visits to local community websites and participation in local social activities, as well as between TA and TB, and both interest in political and social issues and local community website visits. The significance tests for the mediating effects showed that all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posed. First, efforts should focus on lowering barriers to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and local communities should actively take on promotional and linking roles in delivering local information. Second, continuous efforts by the local community are needed to implement strategies that strengthen residents sense of belonging by adopting both online and offline methods of engagement, which can help incorporate the voices of a broader range of local residents.
발전국가에서 토지개혁의 수출 증진에 대한 역할: 한국에서 토지공개념 확대에 대한 시사점
‘민주공화국’의 서술 현황과 개선 방향 연구 : 고등학교 <정치와 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주권의 관점에서 본 “민국” 개념의 변화: ‘왕정’에서 ‘민주공화정’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