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과학 관련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 활용 및 개선 내용 분석 = Analysing the Use of Test Tools in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and its Improve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867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use of science-related test tools in affective area in Korean academic journals for the last 30 years since 1989 and the cases of modification of the original tools related to the tools. This provides practical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est tools in the future and offers the basis for developing valid test tool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wo stages. We analyzed the status of 88 domestic science education researches dealing with testing tools related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57 domestic and foreign resource tools referenced by them. After that,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ve cases in which the original tool was revised and the concrete item correction examples. The results were analyzed as follows: topics that have emerged continuously or that have recently begun to appear in domestic research, the research situations according to their purpose and measurement methods used by the tool, and use state of original tools. The background and key points of revision were analyzed for the five tools, TOSRA, SAI, PISA items, STEBI-A/B, SMQ, whose revision process were disclosed. In addition, the changes of the items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 four test items with the questions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As a result of item analysis, item improvement was proceeding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readability, clarifying meaning, and changing items according to change of sub construc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notes on interpreting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tool with multiple mixed constructs, the possibility of the testing tool that broadens the horizon of the research, error recognition in the subjective self-report, and notes when applying test tools from other disciplines to science.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use of science-related test tools in affective area in Korean academic journals for the last 30 years since 1989 and the cases of modification of the original tools related to the tools. This provides practical informat...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use of science-related test tools in affective area in Korean academic journals for the last 30 years since 1989 and the cases of modification of the original tools related to the tools. This provides practical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est tools in the future and offers the basis for developing valid test tool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wo stages. We analyzed the status of 88 domestic science education researches dealing with testing tools related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57 domestic and foreign resource tools referenced by them. After that,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ve cases in which the original tool was revised and the concrete item correction examples. The results were analyzed as follows: topics that have emerged continuously or that have recently begun to appear in domestic research, the research situations according to their purpose and measurement methods used by the tool, and use state of original tools. The background and key points of revision were analyzed for the five tools, TOSRA, SAI, PISA items, STEBI-A/B, SMQ, whose revision process were disclosed. In addition, the changes of the items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 four test items with the questions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As a result of item analysis, item improvement was proceeding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readability, clarifying meaning, and changing items according to change of sub construc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notes on interpreting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tool with multiple mixed constructs, the possibility of the testing tool that broadens the horizon of the research, error recognition in the subjective self-report, and notes when applying test tools from other disciplines to sci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1989년 이후 30년간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과학 관련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 활용 현황과 이와 관련한 검사 도구의 수정사례와 내용을 분석했다. 이로써 향후 검사 도구 개발과 개선 과정에 대한 실질적 정보를 제공하고, 타당한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근거를 마련했다. 연구는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를 중심으로 한 국내 과학 교육 연구 88편의 현황과 이들이 참고한 국내외 원도구 57건의 현황을 분석했다. 그 후 원도구가 개정되었던 사례 5건의 특징과 구체적 문항 수정 사례를 비교했다. 연구 결과 국내 연구 현황에서는 지속적으로 나타난 주제와 최근에 출현하기 시작한 주제, 연구 목적과 평가 방법에 따른 연구 상황, 원도구 활용 현황 등이 분석되었다. 분석 대상 연구의 원도구 중 개정 과정이 공개된 5건의 검사 도구인 TOSRA, SAI, PISA 문항, STEBI-A/B, SMQ 등에 대해 개정 배경과 주요 사항을 분석했다. 개정 전후의 문항이 공개된 4개의 검사 문항을 비교해서 문항의 변천 과정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문항 개선은 하위 구인의 변화에 따른 신설과 삭제, 가독성 향상, 의미를 명료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으로 여러 구인이 혼재된 검사 도구에서 얻은 결과 해석상 유의점, 연구의 지평을 넓혀주는 검사 도구의 가능성, 주관적 자기 보고에서 나타 나는 오차 인식, 타학문에서 유래한 검사 도구를 과학과에 적용시킬때 유의할 점 등을 제안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1989년 이후 30년간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과학 관련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 활용 현황과 이와 관련한 검사 도구의 수정사례와 내용을 분석했다. 이로써 향후 검사 도구 개발과 개선...

      이 연구는 1989년 이후 30년간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과학 관련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 활용 현황과 이와 관련한 검사 도구의 수정사례와 내용을 분석했다. 이로써 향후 검사 도구 개발과 개선 과정에 대한 실질적 정보를 제공하고, 타당한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근거를 마련했다. 연구는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를 중심으로 한 국내 과학 교육 연구 88편의 현황과 이들이 참고한 국내외 원도구 57건의 현황을 분석했다. 그 후 원도구가 개정되었던 사례 5건의 특징과 구체적 문항 수정 사례를 비교했다. 연구 결과 국내 연구 현황에서는 지속적으로 나타난 주제와 최근에 출현하기 시작한 주제, 연구 목적과 평가 방법에 따른 연구 상황, 원도구 활용 현황 등이 분석되었다. 분석 대상 연구의 원도구 중 개정 과정이 공개된 5건의 검사 도구인 TOSRA, SAI, PISA 문항, STEBI-A/B, SMQ 등에 대해 개정 배경과 주요 사항을 분석했다. 개정 전후의 문항이 공개된 4개의 검사 문항을 비교해서 문항의 변천 과정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문항 개선은 하위 구인의 변화에 따른 신설과 삭제, 가독성 향상, 의미를 명료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으로 여러 구인이 혼재된 검사 도구에서 얻은 결과 해석상 유의점, 연구의 지평을 넓혀주는 검사 도구의 가능성, 주관적 자기 보고에서 나타 나는 오차 인식, 타학문에서 유래한 검사 도구를 과학과에 적용시킬때 유의할 점 등을 제안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헌, "핵심역량 평가 기반 수업에 대한 과학영재학생들의 정서적 반응"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225-246, 2018

      2 이승하, "한국 청소년 도덕성 검사도구 연구(2차년도) -표준화 및 유형화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31) : 237-260, 2013

      3 전지영, "한국 중학생의 과학영역 성취정서 질문지(AEQ-KMS) 개발과 타당화"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745-754, 2014

      4 최성연, "학생과 부모의 과학에 대한 태도 측정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272-284, 2007

      5 정진수, "초중등 학생들을 위한 과학적 감성 측정 도구 개발과 생물학 가설 생성에서 나타나는 감성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 35 (35): 11-26, 2007

      6 김성덕, "초등학생들의 과학윤리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1-13, 2016

      7 고민석, "초등학교 교사의 탐구에 대한 신념과 과학과 수행평가의 실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6 (6): 124-135, 2013

      8 김순옥,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에 따른 과학의 탐구능력 및 과학의 정의적 영역 특징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35 (35): 307-323, 2011

      9 김수진, "중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가치 인식 변화가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8 (18): 683-701, 2014

      10 변정호, "중등학생의 생물분류에서 나타나는 과제 집착의 주의 집중 및 전환 유형 - Eye-Tracking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 41 (41): 254-266, 2013

      1 김종헌, "핵심역량 평가 기반 수업에 대한 과학영재학생들의 정서적 반응"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225-246, 2018

      2 이승하, "한국 청소년 도덕성 검사도구 연구(2차년도) -표준화 및 유형화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31) : 237-260, 2013

      3 전지영, "한국 중학생의 과학영역 성취정서 질문지(AEQ-KMS) 개발과 타당화"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745-754, 2014

      4 최성연, "학생과 부모의 과학에 대한 태도 측정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272-284, 2007

      5 정진수, "초중등 학생들을 위한 과학적 감성 측정 도구 개발과 생물학 가설 생성에서 나타나는 감성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 35 (35): 11-26, 2007

      6 김성덕, "초등학생들의 과학윤리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1-13, 2016

      7 고민석, "초등학교 교사의 탐구에 대한 신념과 과학과 수행평가의 실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6 (6): 124-135, 2013

      8 김순옥,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에 따른 과학의 탐구능력 및 과학의 정의적 영역 특징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35 (35): 307-323, 2011

      9 김수진, "중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가치 인식 변화가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8 (18): 683-701, 2014

      10 변정호, "중등학생의 생물분류에서 나타나는 과제 집착의 주의 집중 및 전환 유형 - Eye-Tracking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 41 (41): 254-266, 2013

      11 김성원, "중등 과학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자기평가 도구의 개발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25 (25): 736-745, 2005

      12 송영욱, "의미분석법에 의한 물리 이미지 측정도구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1051-1061, 2017

      13 우미경, "유전과 진화개념 문제를 활용한 과잉확신 인지편향 측정의 타당화 및 성별과 계열차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7-51, 2017

      14 박정,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변화와 수학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46 (46): 19-31, 2007

      15 곽영순,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 특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135-142, 2017

      16 조선미, "영재교육대상자 교사추천과정에서의 영재행동평정척도의 활용" 한국영재교육학회 10 (10): 5-30, 2011

      17 박민정,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 유발에 영향을 주는 평가 요소"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626-633, 2007

      18 홍준의, "생물과 예비교사들의 수업 실습에 대한 자기 평가 및 동료 평가 사례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 42 (42): 290-303, 2014

      19 조선미,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을 고려한 과학에 대한 태도 측정과 활용에 대한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3 (33): 466-477, 2013

      20 문공주, "물리 자기효능감 측정 도구의 개발 및 적용: 자연계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693-701, 2014

      21 곽형석, "모바일을 활용한 형성평가가 과학수업의 흥미성과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285-294, 2014

      22 김선희, "국내 주요 과학 교육 학술지의 정의적 영역 연구 동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179-200, 2015

      23 신영준,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를 위한 도구 개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335-346, 2017

      24 신영준, "과학관련 정의적 영역 검사도구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 45 (45): 41-54, 2017

      25 김소영, "과학 학업성취도 문항 풀이에서 초등학생의 시선추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 (12): 65-78, 2012

      26 정수임, "과학 교육에서의 평가 연구 동향"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563-579, 2016

      27 정수임, "과학 교육 평가에서 나타나는 고등학생들의 성취 불일치 사례 -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를 중심으로 -"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891-909, 2017

      28 박은주, "과학 관련성 태도 변화 검사도구(CARS-Changes in Attitude about the Relevance of Science) 번역본의 타당도와 관련 변인 탐색 및 동형 검사 도구 구성" 과학교육연구소 41 (41): 179-194, 2017

      29 김낙규, "고등학생의 과학 경험 측정을 위한 도구의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 31 (31): 276-287, 2010

      30 신세인, "고등학생들을 위한 이공계 진로동기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75-86, 2016

      31 서정희, "고등학교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생애 학습 능력 비교" 한국생물교육학회 35 (35): 61-72, 2007

      32 천은겸, "‘실행공동체’ 관점에서 과학교실문화 분석을 위한 조사도구의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131-142, 2015

      33 Kim, Y., "World of science education" Book’s hill 2014

      34 Munby, H., "World Trends in Science Education" Atlantic Institute of Education 1980

      35 Yoo, S., "Using portfolios as tools to implement preservice teachers’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lective thinking in early science education" 20 (20): 163-184, 2000

      36 Riggs, I.,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74 (74): 625-637, 1990

      37 Munby, H., "Thirty studies involving the “Scientific Attitude Inventory”:What confidence can we have in this instrument?" 20 : 141-162, 1983

      38 Ormerod, M. B., "The social implications’ factor in attitudes to science" 41 : 335-338, 1971

      39 Moore, R., "The scientific attitude inventory : A revision(SAI II)" 34 (34): 327-336, 1997

      40 Shen, C.,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achievement and their self-perception of competence and rigour of mathematics and science : A cross-national analysis" 7 (7): 237-253, 2000

      41 Kim, H., "The effects of portfolio assessmen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knowledge, inquiry ability and science attitudes" 19 (19): 19-28, 1999

      42 Park, H., "The effects of lessons adopting portfolio assessment regarding feedback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knowledge, inquiry ability, and their perception" 21 (21): 22-29, 2001

      43 Lee, H., "The effects of formative assessment with detailed feedback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attitude,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20 (20): 479-490, 2000

      44 Jűrges, H., "The effect of central exit examinations on student achievement : quasi-experimental evidence from TIMSS Germany" 3 (3): 1134-1155, 2005

      45 Moore, R., "The development, field test and validation of an inventory of scientific attitudes" 7 : 85-94, 1970

      46 Lee, S., "Th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attitude evaluation instrument in laboratory work" 2 (2): 194-213, 1998

      47 Chung, W.,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measuring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14 (14): 265-271, 1994

      48 Tuan, H., "The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to measure students’ motivation towards science learning" 27 (27): 639-654, 2005

      49 Lee, C., "The development of a concise science 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Kongju University 2017

      50 White, R. T., "Tests of perception of scientists and self" 1974

      51 Fraser, B. J., "Test of science related attitudes handbook" The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1981

      52 Yu, I., "Teacher’s attitude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13 (13): 93-106, 2001

      53 Brophy, K. A., "Talks to teachers" Random House 201-245, 1988

      54 Nagy, P., "Subtest formation by cluster analysis of the Scientific Attitude Inventory" 15 : 355-360, 1978

      55 So, K., "Study on attitude of science gifted and talented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science" 20 (20): 166-173, 2000

      56 Bandura, A., "Social foundation of thoughts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 Hall 1986

      57 Merrell, K.,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in the classroom: promoting mental health and academic success" Guilford publishing 2010

      58 Pajares, F., "Self-efficacy beliefs in academic settings" 66 (66): 543-578, 1996

      59 Schunk, D.,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26 (26): 207-231, 1991

      60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 191-215, 1977

      61 Bandura, A., "Self-efficacy" 13 (13): 4-, 1997

      62 Fraser, B. J., "Selection and validation of attitude scales for curriculum evaluation" 61 (61): 317-329, 1977

      63 Liu, X., "Second International Handbook of Science Education" Springer 2012

      64 National Research Council, "Scientific research in education" National Academic Press 2002

      65 Glynn, S., "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 II : Validation with science majors and nonscience majors" 48 (48): 1159-1176, 2011

      66 Glynn, S., "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 : Construct validation with nonscience majors" 46 (46): 127-146, 2009

      67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5-74of MOE"

      68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cience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1-361 of MOEST"

      69 하민수, "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 Ⅱ(SMQⅡ) 번역본의 문항 반응, 일반화, 및 구조 타당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1-18, 2013

      70 De Vellis, R. F.,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Sage 2017

      71 Hasan, O. 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hange in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ome professional variables" 12 (12): 255-261, 1975

      72 Laughton, W. H., "Pupils’ attitudes to science teaching" 26 : 31-33, 1968

      73 Krynowsky, B., "Problems in assessing student attitude in science education : A partial solution" 72 (72): 575-584, 1988

      74 Midgley, C., "Patterns of adaptive learning surve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3

      75 OECD, "PISA 2015 results (volumeⅠ): Excellence and equity in education" OECD Publishing 2016

      76 OECD, "PISA 2006: Science competencies for tomorrow’s world, vol 1" OECD Publishing 2007

      77 Ku, J., "OECD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s assessment: An analysis of PISA 2015Results"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6

      78 Song, M., "OECD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Establishing PISA 2015 fildd tria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3

      79 Glynn, S., "Nonscience majors learning science : A theoretical model of motivation" 44 : 1088-1107, 2007

      80 Hwang, S., "Ninth graders’ self-assessment of scientific process skills in open investigation" 21 (21): 506-515, 2001

      81 Kim, H., "National assessment system development of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18 (18): 357-369, 1998

      82 Pintrich, P. R.,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82 (82): 33-40, 1990

      83 Sung, T., "Modern educational evaluation" Hakjisa 2010

      84 Ministry of Culture and Education, "Middle school education curriculum. Notification No. 87-9 of MOCE"

      85 Ministry of Culture and Education, "Middle school education curriculum. Notification No. 1981-442 of MOCE"

      86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Middle school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07-79 of MOEHRD"

      87 Ministry of Education, "Middle school curriculum. Notification No. 1992-11 of MOE"

      88 Ministry of Education, "Middle school curriculum reference book. Notification No. 1997-15 of MOE"

      89 Pekrun, R., "Measuring emotions in students’ learning and performance : The 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AEQ)" 36 (36): 36-48, 2011

      90 Tamir, P., "International handbook of science education" Kluwer Academie 1998

      91 Doran, R. L.,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94

      92 Britton, E. 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Lawrence Erlbaum 2007

      93 Elias, M., "Handbook of moral and character education" Routledge 2008

      94 Glynn, S., "Handbook of college science teaching"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Press 25-32, 2006

      95 Enochs, L., "Further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 A preservice elementary scale" 90 (90): 694-706, 1990

      96 Lee, M., "Effect of portfolio assessment i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20 (20): 107-122, 2001

      97 Lee, J., "Development of the 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 instrument generated by science teachers in the science instruction" 18 (18): 313-325, 1998

      98 Kim, M., "Development of the instrument for assessing the degree of ambivalence of the attitudes of high school students" 29 (29): 27-33, 2001

      99 Jeong, 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assess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environmental pollution" 13 (13): 271-281, 1993

      100 Fraser, B. J., "Development of a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62 (62): 509-515, 1978

      101 Park, 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K-STEBI)for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16 (16): 205-224, 1997

      102 Kim, K., "Comparative analysis of curriculum and achievement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 and high performing countries in PISA & TIMSS"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09

      103 Koballa, T. R., "Attitude and related concepts in science education" 72 (72): 115-126, 1988

      104 Markle, G. C., "Assess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ubject preference inventory with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15 : 519-522, 1978

      105 Anderson, L. W., "Assessing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the schools" Routledge 2000

      106 Keller, J., "Aspects of educational technology XVII. Staff development and career updating" Nichols 1984

      107 Reach, G., "Adjusting insulin doses : From knowledge to decision" 56 (56): 98-103, 2005

      108 Pekrun, R., "Academic emotions i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 A program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37 (37): 91-106, 2002

      109 Meyer, G. R., "A test of interest" Jacaranda Press 1969

      110 Woo, H.,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environmental problems" 14 (14): 225-235, 1994

      111 Lee, K., "A study of valid measurement in science related attitudes(Ⅱ) : To develop an affective component of attitudes toward science scale" 16 (16): 190-199, 1996

      112 Uguroglu, M., "A multidimensional motivational instrument" 18 : 279-285, 1981

      113 School Council Project for Evaluation of Science Teaching Methods, "A modified version of the science pupil opinion poll"

      114 Jeon, S., "A Study on the cognition of gifted students and parents about observation and recommendation system for selection of mathematics and science gifted students" Korea University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4-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7 1.87 1.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54 2.133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