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개신교에서 종교개혁 성만찬 신학의 의미와 현주소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243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501년 전, 중세 로마 가톨릭 신앙에 맞선 종교개혁의 물결은 ‘이신칭의’의 새로운 신학적 조명 가운데 기독교 역사의 새로운 장을 열었지만, 루터와 츠빙글리, 칼빈의 성만찬 신학은 개신...

      501년 전, 중세 로마 가톨릭 신앙에 맞선 종교개혁의 물결은 ‘이신칭의’의 새로운 신학적 조명 가운데 기독교 역사의 새로운 장을 열었지만, 루터와 츠빙글리, 칼빈의 성만찬 신학은 개신교 갈등과 분열의 원인이 되었다. 루터가 주장하는 그리스도의 신 체적 현존과 편재성,츠빙글리가 주장하는 상징설, 칼빈이 말하는 영적 임재설은 개 신교 내에서 각기 자신들의 추종자들과 자신들의 정체성을 위한 도구로 전락되고 말 았다.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일렬의 노력이 시도되었지만, 상이한 성만찬 신학은 합의 에 도달하지 못하였고, 오히려 서로의 한계선을 더욱 명확하게 하는 신조들이 발표되 었다. 이에 반해 한국개신교의 성만찬 신학은 초기 한국선교 때부터 갈등의 요소로 작용 되지 않았다. 이는 성만찬을 중요시하지 않았던 청교도식 예배서 사용과 성만찬에 대 한 목회자와 평신도의 낮은 이해도, 불신자들을 위한 집회방식 예배 등은 성찬 신학 의 활성화를 느리게 한 요인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한국개신교 초기 문서에 나타난 성만찬 신학은 그리스도의 임재나 편재성에 대한 신학적 해석이 심화되지 않았던 모 습이었다. 현재 한국개신교 각 교단들의 성만찬 신학은 초기 한국개신교의 성찬신학 보다는 더 보완되고 다양한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다양한 성찬 신학적 요 소들이 초기 한국개신교의 상황과 같이 각 교파들 간에 갈등과 분열의 모습으로 나타 나지 않았다. 한국개신교 성만찬 신학에서 성찬의 떡과 잔에 관련된 신학적 해석은 미미하였지만, 반가톨릭적 성만찬 신학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성찬의 과거성, 현재성, 미래성의 관점에서 많은 공통분모를 지니며 발전하고 있다. 앞으로 한국개신교의 성 만찬 신학의 발전은 종교개혁 개신교 성만찬 신학의 역사와 같이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추종자들을 끌어 모으는 수단이 되지 않도록, 그 본질적인 면에서 연합을 이루어 성찬 안에서의 은혜의 풍성함을 경험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501 years ago, the wave of the Reformation against the medieval Roman Catholicism opened a new chapter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through the new theological illumination of Justification by faith. But the Eucharisitc theology by Martin Luther, Ul...

      501 years ago, the wave of the Reformation against the medieval Roman Catholicism opened a new chapter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through the new theological illumination of Justification by faith. But the Eucharisitc theology by Martin Luther, Ulrich Zwingli and John Calvin became the cause of conflict and division of Protestantism. The physical presence and ubiquity of Christ in the Eucharist by Luther, the symbolism by Zwingli and the spiritual presence of Christ by Calvin became a tools to create their followers and to establish their identity. Although there was a series of efforts to overcame this, different Eucharistic theologies did not reach consensus, and rather, only statement clarifying the limits of each other were published. On the contrary, the theology of Eucharist in Korean Protestantism did not act as an element of conflict since the early Korean mission. The use of the Puritan style worship, which did not emphasize the Lord's Supper, and the deficient understanding of the pastor and layman for the Lord's Supper and the Evangelism revival meeting for the unbelievers were factors, that make the activation of sacramental theology slow. And the theology of the Eucharist in the early Protestant church of Korea was a theology that did not intensify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Christ's presence or ubiquity. The theology of Eucharist in Korean Protestantism now has more complementary and diverse elements than those shown in early sacramental theology. However, the various sacramental theological factors did not appear as conflicts and divisions among the various denominations as in the early Korean Protestant church. Although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sacramental bread and cups in Korean Protestant Eucharistic theology is marginal, it is developing with many common denominators in terms of anti-Catholic Eucharistic theology and in the perspective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n the future, the theology of Eucharist in Korean Protestantism should move toward experiencing the abundance of grace in the Eucharist over unity in its essential aspect, unlike the history of protestant Eucharistic theology in the Reformation, when it became a mean of establishing one's identity and attracting follow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종교개혁자들의 성만찬 신학
      • 1. 초기 종교개혁시기의 성만찬 신학(1520-1529)
      • 2. 종교개혁 계파의 발전과 성만찬 신학(1530-1545)
      • 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종교개혁자들의 성만찬 신학
      • 1. 초기 종교개혁시기의 성만찬 신학(1520-1529)
      • 2. 종교개혁 계파의 발전과 성만찬 신학(1530-1545)
      • 3. 종교전쟁기의 성만찬 신학(1546-1648)
      • III. 한국 개신교의 성만찬 신학
      • 1. 초기한국개신교에서의 성만찬 신학
      • 2. 한국개신교에서의 성만찬 신학의 모습
      • IV.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예수교대한성결교회, "헌장" 예수교대한성결교회 총회 2017

      2 기독교대한성결교회, "헌법" 기독교대한성결교회 2018

      3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헌법"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2018

      4 한국기독교장로회, "헌법" 대한기독교장로회 2018

      5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헌법" 대한예수교장로회 고신총회 2011

      6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헌법"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2016

      7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헌법" 대한예수교장로회 2013

      8 예수교대한하나님의성회, "헌법" 예수교대한하나님의성회 2011

      9 김태규, "한국교회 초기문헌의 역사적 고찰에 따른 성찬신학과 실제"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07

      10 김태규, "한국교회 초기 문헌에 나타난 성찬신학과 실제" 예영커뮤니케이션 2009

      1 예수교대한성결교회, "헌장" 예수교대한성결교회 총회 2017

      2 기독교대한성결교회, "헌법" 기독교대한성결교회 2018

      3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헌법"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2018

      4 한국기독교장로회, "헌법" 대한기독교장로회 2018

      5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헌법" 대한예수교장로회 고신총회 2011

      6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헌법"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2016

      7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헌법" 대한예수교장로회 2013

      8 예수교대한하나님의성회, "헌법" 예수교대한하나님의성회 2011

      9 김태규, "한국교회 초기문헌의 역사적 고찰에 따른 성찬신학과 실제"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07

      10 김태규, "한국교회 초기 문헌에 나타난 성찬신학과 실제" 예영커뮤니케이션 2009

      11 박해정, "한국 초기 감리교회의 성만찬 이해: 1885-1935" 한국실천신학회 (10) : 135-174, 2006

      12 기독교한국침례회, "총회규약"

      13 김태규, "초기 한국교회 찬송가에 나타난 성찬이해"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33 : 74-113, 2014

      14 박해정, "초기 한국 감리교 선교사들의 성만찬 이해 - 19세기 미국 감리교회 전통으로부터 -" 한국실천신학회 (8) : 119-150, 2005

      15 박해정, "초기 감리교회 성만찬 양상들: 1885-1935" 54 : 304-331, 2005

      16 김승년, "주의 만찬의 회복" 6 : 98-119, 2009

      17 위형윤, "종교개혁자들의 저서 속에 나타난 예배의식" 5 : 59-89, 2002

      18 조기연, "종교개혁자들의 예배개혁 : 얻은 것과 잃은 것" 한국실천신학회 (12) : 129-164, 2007

      19 김경래, "종교개혁자들의 성만찬 논쟁에 비추어본 한국교회 성만찬 예전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대학원 2013

      20 Luther, Martin, "종교개혁3大논문" 컨콜디아사 1997

      21 요한 웨슬리, "웨슬리설교전집 1" 기독교대한서회 2006

      22 기독대한성결교회 예식서수정위원회, "예배와 예식서"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출판부 2010

      23 Schaff, Philip, "신조학" 기독교문서서교회 1984

      24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대신), "신조"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2003

      25 Heussi, Karl, "세계교회사" 한국신학연구소 2004

      26 이양호, "루터의 성례론" 26 : 83-101, 2001

      27 김성욱, "루터의 성례관" 6 : 11-15, 2009

      28 이성덕, "루터와 쯔빙글리의 성만찬 논쟁이 지니는 교회 정치적 의미" 한국교회사학회 (11) : 2002

      29 신앙과직제위원회, "기독교대한 감리회 새 예배서" kmc 119-121, 2011

      30 대한기독교나사렛성결회, "교리장정" 대한기독교나사렛성결회 2017

      31 기독교대한감리회, "교리와 장정" kmc 2017

      32 조기연, "개혁교회의 예배와 성만찬에 관한 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28) : 7-28, 2011

      33 Friedrich, Martin, "Zwingliana XXIV" Theologischer Verlag 1997

      34 Kaufmann, Thomas, "Wittenberger Konkordie" 36 : 243-251, 2004

      35 Liebenberg, Roland, "Martin Bucer zwischen Luther und Zwingli" Mohr Siebeck 30-48, 2003

      36 Hauschild, Wolf-Dieter, "Lehrbuch der Kichen- und Dogmengeschichte. Bd. 2. Reformation und Neuzeit" Chr. Kaiser Gütersloher 2001

      37 Lohse, Bernhard, "Eine Einführung in sein Leben und sein Werk" Beck 1997

      38 Schäufels, Wolf-Friedric, "Die Marburger Artikel als Zeugnis der Einheit" Evangelische Verlagsanstalt 2012

      39 Zwingli, Ulrich, "De vera et falsa religione" 2018

      40 Luther, Martin, "D. Martin Luthers Werke. Vol. 26" Böhlau 1909

      41 Luther, Martin, "D. Martin Luthers Werke. Vol. 23" Böhlau 1901

      42 Luther, Martin, "D. Martin Luthers Werke. Vol. 19" Böhlau 1897

      43 Luther, Martin, "D. Martin Luthers Werke. Vol. 18" Böhlau 1908

      44 Luther, Martin, "D. Martin Luthers Werke. Vol. 11" Böhlau 1900

      45 Luther, Martin, "D. Martin Luthers Werke. Briefwechsel. Vol. 6" Böhlau 1935

      46 Zwingli, Ulrich, "Corpus Reformatorum Vol. 92" Theolog. Verl. 1934

      47 Stupperich, Robert, "Confessio Tetraploitana und die Schriften des Jahres 1531" Gütersloher Verlagshaus 1969

      48 "Confessio Helvertica Prior"

      49 Melanchthon, Philipp, "Confessio Augustana, Der X. Artikel"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1 1.81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4 0.653 0.6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