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D 지역 대학생의 음주정도와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능력 = Drinking Levels,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849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drinking levels,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289 college students living in D area were assessed with the Korean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K), from November 1st to November 30th, 2016.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one-way ANOVA. The percentage of problem drinkers was 32.2% among the 289 subjects. Alcohol use disorder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mean scores on the task difficulty preference self-efficacy than the non-problem drinkers. Alcohol use disorder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mean scores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initiating relationships, self-disclosure than the non-problem drink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confidence by gend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rinking level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by gender.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rinking level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betwee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hen we prepare alcohol prevention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we need to consider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o evaluate the level of AUDIT-K.
      번역하기

      The aim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drinking levels,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289 college students living in D area were assessed with the Korean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

      The aim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drinking levels,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289 college students living in D area were assessed with the Korean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K), from November 1st to November 30th, 2016.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one-way ANOVA. The percentage of problem drinkers was 32.2% among the 289 subjects. Alcohol use disorder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mean scores on the task difficulty preference self-efficacy than the non-problem drinkers. Alcohol use disorder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mean scores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initiating relationships, self-disclosure than the non-problem drink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confidence by gend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rinking level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by gender.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rinking level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betwee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hen we prepare alcohol prevention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we need to consider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o evaluate the level of AUDIT-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건의료관련 학과를 제외한 학과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음주정도와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 능력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11월 1일부터 2016년 11월 30일까지였다. 자료분석은 Pearson's 상관계수와 일원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32.2%가 문제음주자(AUDIT-K 12점 이상)였으며, 음주정도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과제난이도 선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알코올사용장애 집단의 과제난이도 선호 자기효능감이 비문제성 집단보다 낮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음주정도에 따른 대인관계능력의 차이는 대인관계능력, 처음관계 맺기, 자기노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처음관계 맺기와 자기노출에서 비문제성 집단(11점 이하)보다 ‘알코올사용장애’집단(15점 이상)에서 대인관계능력이 높았다. 음주와 대인관계 능력,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능력 간에 정적 관계가 있었다. 성별에 따른 음주와 대인관계능력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자신감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여 남성이 여성보다 자신감이 높았다. 따라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절주교육과 음주문제 감소 전략을 계획할 때 대인관계능력과 자기효능감 변인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알코올문제 예방교육을 할 때 AUDIT-K를 통한 문제음주군 선별이 필요하다고 본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보건의료관련 학과를 제외한 학과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음주정도와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 능력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11월 1...

      본 연구는 보건의료관련 학과를 제외한 학과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음주정도와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 능력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11월 1일부터 2016년 11월 30일까지였다. 자료분석은 Pearson's 상관계수와 일원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32.2%가 문제음주자(AUDIT-K 12점 이상)였으며, 음주정도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과제난이도 선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알코올사용장애 집단의 과제난이도 선호 자기효능감이 비문제성 집단보다 낮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음주정도에 따른 대인관계능력의 차이는 대인관계능력, 처음관계 맺기, 자기노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처음관계 맺기와 자기노출에서 비문제성 집단(11점 이하)보다 ‘알코올사용장애’집단(15점 이상)에서 대인관계능력이 높았다. 음주와 대인관계 능력,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능력 간에 정적 관계가 있었다. 성별에 따른 음주와 대인관계능력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자신감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여 남성이 여성보다 자신감이 높았다. 따라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절주교육과 음주문제 감소 전략을 계획할 때 대인관계능력과 자기효능감 변인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알코올문제 예방교육을 할 때 AUDIT-K를 통한 문제음주군 선별이 필요하다고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희, "청년기의 음주로 인한 신체적 고통, 음주 결과기대, 금주 자신감과의 관계" 기본간호학회 16 (16): 73-82, 2009

      2 정향미, "일 지역 대학생의 문제음주 실태와 관련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9 (9): 85-97, 2007

      3 손용표, "일 대학 대학생의 문제 음주 실태 조사와 문제 음주 군의 정서 및 성격 특성 연구"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8 (18): 129-136, 2012

      4 유재순, "부모의 음주문제가 있는 청소년의 문제성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15 (15): 2085-2102, 2013

      5 류미, "대학생의 폭음 관련 사회인지적 요인과 음주 정도의 관계 -지각된 음주규준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6 (16): 63-79, 2010

      6 문재우, "대학생의 음주가 대인관계, 스트레스,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40 (40): 65-79, 2014

      7 양승희, "대학생의 우울, 불안, 금주 자기효능감이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 보건복지계열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5 (15): 304-313, 2015

      8 김종운, "대학생의 애착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283-299, 2014

      9 정주리, "대학생들의 음주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변인들: 우울, 성인애착, 대인관계능력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6 (16): 293-308, 2015

      10 이정길, "대학생들의 문제 음주 선별에 대한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의 유용성" 대한가정의학회 32 (32): 29-36, 2011

      1 김경희, "청년기의 음주로 인한 신체적 고통, 음주 결과기대, 금주 자신감과의 관계" 기본간호학회 16 (16): 73-82, 2009

      2 정향미, "일 지역 대학생의 문제음주 실태와 관련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9 (9): 85-97, 2007

      3 손용표, "일 대학 대학생의 문제 음주 실태 조사와 문제 음주 군의 정서 및 성격 특성 연구"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8 (18): 129-136, 2012

      4 유재순, "부모의 음주문제가 있는 청소년의 문제성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15 (15): 2085-2102, 2013

      5 류미, "대학생의 폭음 관련 사회인지적 요인과 음주 정도의 관계 -지각된 음주규준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6 (16): 63-79, 2010

      6 문재우, "대학생의 음주가 대인관계, 스트레스,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40 (40): 65-79, 2014

      7 양승희, "대학생의 우울, 불안, 금주 자기효능감이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 보건복지계열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5 (15): 304-313, 2015

      8 김종운, "대학생의 애착과 자기효능감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283-299, 2014

      9 정주리, "대학생들의 음주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변인들: 우울, 성인애착, 대인관계능력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6 (16): 293-308, 2015

      10 이정길, "대학생들의 문제 음주 선별에 대한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의 유용성" 대한가정의학회 32 (32): 29-36, 2011

      11 윤명숙, "대학생 절주의향과 음주환경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10 (10): 35-50, 2009

      12 이원재, "대학생 문제음주 관련요인"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 (20): 109-124, 2003

      13 김광기, "대학교의 환경적 특성이 음주폐해에 미친 영향"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3 (23): 65-83, 2006

      14 김광기, "대학교 음주관련 정책 환경이 대학생 음주문제에 미친 영향"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9 (29): 83-91, 2012

      15 김미영, "남자대학생의 음주결과기대, 대인관계능력 및 우울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8 (18): 537-548, 2016

      16 이혜경, "간호대학생의 충동성과 음주갈망" 한국자료분석학회 14 (14): 3177-3188, 2012

      17 최다혜, "간호대학생의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18 (18): 2287-2301, 2016

      18 석소현,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연구" 정신간호학회 15 (15): 475-481, 2006

      19 이윤신, "간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대학생활 만족" 한국콘텐츠학회 14 (14): 229-240, 2014

      20 Kuntsche, E., "Why do young people drink? A review of drinking motives" 25 (25): 841-861, 2005

      21 Kim, H. S., "The relationship of impulsivity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to alcohol use in the college women" 13 (13): 21-27, 2009

      22 Kim, S. J.,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s’ drinking on academic achievement" 10 : 261-, 2012

      23 Kim, C. D.,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 35 (35): 83-95, 1999

      24 Lee, K. H., "The analysis of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and self-efficacy on the trends of personal relationship" Hanseo University 2011

      25 Kim, M., "Stage of change distribution and determinants of alcohol drinking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8 : 1-16, 2007

      26 Bandura, A., "Social foundation of thoughts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 Hall 1986

      27 Gilles, D. M., "Social anxiety, alcohol expectancies, and self-efficacy as predictors of heavy drinking in college students" 31 (31): 388-398, 2006

      28 Yoon, H. K., "Self-esteem lesson" Simple Life 2016

      29 Kim, A. Y., "Self-efficacy and measurement"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6-22, 1996

      30 Abrams, D. B., "Psychological theories of drinking and alcoholism" Guilford Press 1987

      31 Cho, S. G., "National survey on alcohol use and abuse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KODCAR 2001

      32 Merrill, J. E., "Motivational pathways to unique types of alcohol consequences" 24 (24): 705-711, 2010

      33 Bonar, E. E., "Measuring university students’ self-efficacy to employ drinking self-control strategies" 25 (25): 155-161, 2011

      34 Choi, S. U., "Let’s change for college festival; seeing for entertainer, drinking festival"

      35 Kim, A. Y., "Goal attainment theory and self-efficacy"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41-51, 1997

      36 Buhrmester, D., "Five domain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peer relationships" 55 (55): 991-1008, 1988

      37 Choi, E. J., "Drinking problem and preventive measures" 5 : 75-83, 2000

      38 Oh, S. Y., "Dietary self-efficacy, food habit, self-efficacy and obesity index in university student in Daejeon area" 21 (21): 157-174, 2010

      39 Lee, B. O.,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K):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4 (4): 83-92, 2000

      4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reating alcohol clean campus without alcohol-related accident"

      41 Kraus, S. W., "Assessing self-efficacy to reduce one’s drinking: Further evaluation of the alcohol reduction strategies-Current confidence questionnaire" 47 (47): 312-316, 2012

      42 Ahn, J. H., "Analysis on the factors related to college students’ risk drinking" 247-, 2014

      43 Wardell, J. D., "Alcohol expectancies, perceived norms, and drinking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 Examining the reciprocal determinism hypothesis" 27 (27): 191-196, 2013

      4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moderate drinking leader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workbook"

      4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National health statistics: drinking" KIHASA 26-27,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8 0.956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