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러시아 NGO 재정문제와 러시아정부의 NGO 재정지원 = The financial problems of the Russian NGO and it's support from Russian gover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383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udy on the NGO in Russia, has been researched by way of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s, and has been developed to research its formation and potential, growth of NGO, and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

      Study on the NGO in Russia, has been researched by way of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s, and has been developed to research its formation and potential, growth of NGO, and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since independence of Russia.
      Many scholars have been trying to research focusing on activities of NGO, and trying to evaluate that activities of NGO are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democracy, because NGO's activities have been thought that are the most important fact and tools of democracy.
      However, this paper i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in this paper will be contained the financial support of NGO which is important for measure of independence of NGO.
      Basically, NGO and Government have complementary relationship in terms of production of public goods.
      The goal of this paper to examine the financial support of Government, how can be fixed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NGO and Government.
      Especially would like to learn what kind of financial and other support NGO receive from Government and from non-public markets.
      Furthermore, try to explain how close the relationship between NGO and Governmen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democratic Russi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러시아에 있어 NGO에 대한 연구는 러시아 독립이후 시민사회단체의 개념정의에서 시작하여 러시아 NGO의 형성과 그 발전가능성, 그리고 민주주의 발전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져 왔다. ...

      러시아에 있어 NGO에 대한 연구는 러시아 독립이후 시민사회단체의 개념정의에서 시작하여 러시아 NGO의 형성과 그 발전가능성, 그리고 민주주의 발전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져 왔다. 많은 학자들이 NGO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러시아 민주주의 제도화 정도를 측정하려한다. 그만큼 NGO들의 활발한 활동과 발전이 민주주의에 있어 대표적 척도라고 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NGO 독립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인 재정지원부문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한다.
      기본적으로 정부나 NGO는 공공재를 생산한다는 측면에서 상호보완적이라 하겠다. 이 연구의 목표는 NGO와 국가간의 관계설정에 있어 상호보완적 측면에서 살펴보는 국가 지원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러시아의 경우 국가로부터 어떠한 재정지원을 받고 있으며 국가지원 이외의 수입과 시장으로부터의 지원을 포함한 재정지원을 살펴본다. NGO와 정부 시장과의 관계가 어떠한지 그 밀착정도와 관계를 살펴봄으로서 러시아 민주주의 제도화라는 관점에서 설명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상호, "한국 시민단체(NGO)의 재정위기의 현황과 해소방법" 20 (20): 249-276, 2008

      2 배정한, "체제전환기 러시아 사회운동단체의 기원, 조직적 발전과 분화 배 정 한 27- ‘저발전’ 시민사회의 형성사적 근원 -" 러시아연구소 22 (22): 27-50, 2006

      3 강윤희, "체제전환, 민주화와 시민사회: 러시아사례" 2007

      4 장덕준, "시민사회에 대한 인식" 48 (48): 206-, 2008

      5 박상필, "비영리단체(NPO)의 개념과 분류에 관한 탐색적 고찰" 44 : 233-257, 2000

      6 강윤희, "러시아의 환경거버넌스 형성 가능성과 한계 분석: 환경NGO와 지방정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신아시아연구소 14 (14): 56-83, 2007

      7 우평균, "러시아에서의 NGO 발전과 시민사회 형성: 낙관론 비판, 평가 및 전망" 한국슬라브학회 21 (21): 325-350, 2006

      8 Rifkin, Jeremy, "노동의 종말" 민음사 1994

      9 Мерсиянова, И. В., "Фонды местных сообществ в России Издательский дом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Высшей школы экономики"

      10 "Статистический портрет некоммерческого сектора России"

      1 정상호, "한국 시민단체(NGO)의 재정위기의 현황과 해소방법" 20 (20): 249-276, 2008

      2 배정한, "체제전환기 러시아 사회운동단체의 기원, 조직적 발전과 분화 배 정 한 27- ‘저발전’ 시민사회의 형성사적 근원 -" 러시아연구소 22 (22): 27-50, 2006

      3 강윤희, "체제전환, 민주화와 시민사회: 러시아사례" 2007

      4 장덕준, "시민사회에 대한 인식" 48 (48): 206-, 2008

      5 박상필, "비영리단체(NPO)의 개념과 분류에 관한 탐색적 고찰" 44 : 233-257, 2000

      6 강윤희, "러시아의 환경거버넌스 형성 가능성과 한계 분석: 환경NGO와 지방정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신아시아연구소 14 (14): 56-83, 2007

      7 우평균, "러시아에서의 NGO 발전과 시민사회 형성: 낙관론 비판, 평가 및 전망" 한국슬라브학회 21 (21): 325-350, 2006

      8 Rifkin, Jeremy, "노동의 종말" 민음사 1994

      9 Мерсиянова, И. В., "Фонды местных сообществ в России Издательский дом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Высшей школы экономики"

      10 "Статистический портрет некоммерческого сектора России"

      11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ФЕДЕРАЛЬНЫЙ ЗАКОН О НЕКОММЕРЧЕСКИХ ОРГАНИЗАЦИЯХ"

      12 Мерсиянова, И. В., "Общественная активность населения, Издательский дом ГУ ВШЭ" Москва 40-50, 2007

      13 "Кадровый потенциал некоммерческих общественных организаций"

      14 "http://www.warandpeace.ru/ru/reports/vprint/60892/"

      15 "http://www.uridit.ru/index.php?action=public_id&id=1"

      16 "http://www.uridit.ru/index.php?action=public_id&id=1"

      17 "http://www.politcom.ru/9627.html"

      18 "http://www.liveinternet.ru/journalshowcomments.php?jpostid=126008811&jou rnalid=3036414&go=next&categ=1"

      19 "http://www.kommersant.ru/doc/1366992/print"

      20 "http://bclub-ngo.ru/Liter/pro_ngo_18.html"

      21 "http://bbest.ru/finansi/finsybxoz/finnekomorg/sodfin/"

      22 Fenry Laura A, "Russian Environmentalists and Civil Society, change and continuty in Russian Civil Society: A Critical Assessment" Sharpe 2005

      23 Salamon, L. M., "Of Market Failure, Voluntary Failure, and Third-Party Goverment: Toward a Theory of Government-Nonprofit Relations in the Modern Welfare State" 16 (16): 1987

      24 박상필, "NGO의 재정 충원방안: 정부지원을 중심으로" 421-, 2001

      25 박상필, "NGO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 유형비교" 39 (39): 140-, 2001

      26 Sanyal, B., "NGO's Self-Defeating Quest for Automony.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Sage Pub 1997

      27 이근주, "NGO 실패와 정부의 지원에 관한 연구" 34 (34): 291-307, 2000

      28 George E. Hudson, "Civil Society in Russia: Models and Prospects for Development" 62 (62): 213-,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신규평가)
      2013-01-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동유럽발칸학회 ->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br>
      2013-01-01 평가 학술지 통합(등재유지)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등재유지) KCI등재
      2008-06-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발칸학</br>외국어명 : Journal of Central, East European & Balkan Stud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6-01-1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발칸학</br>외국어명 : Journal of Central, East European & Balkan Studies KCI등재
      2006-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발칸학</br>외국어명 : Journal of Central & East European Studies KCI등재
      2005-01-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발칸학</br>외국어명 : Journal of Central & East European Studie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