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소아 환자에서 다균혈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 Clinical Analysis of Polymicrobial Bloodstream Infections in Pediatric Patients: Epidemiology, Clinical Features, Organisms, and Risk Fa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921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Although the incidence of polymicrobial bloodstream infection (PBSI) has increased, only a few studies have so far focused on children. Therefore, in an effort to prevent more serious situations in pediatric patients, we analyzed the clinical features, organisms, and laboratory results of PBSI.
      Methods :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case records of 97 patients with polymicrobial bloodstream infection in the Severance hospital, from 2001 to 2008. Using t-test and chi-square test, we analyzed the underlying medical conditions,clinical characteristics, organisms, and laboratory results of those patients.
      Results : Annual incidence of polymicrobial bloodstream infection increased from 1.4 % in 2001 to 10.9% in 2008 in pediatric patients. Immunocompromised hemato-oncological malignancy was found in 31 (31.9%) patients, and was the most common underlying medical condition; cardiovascular disease was found in 15 patients (15.4%), neurologic disease in 10 patients (10.3%), and so on. Gram positive organisms were recovered in 143 cases and gram negative organisms were recovered in 101 cases of PBSI. Staphylococcus epidermidis was the most common organism. Factors affecting mortality included underlying medical disease, immune status, nosocomial infection, and central catheter-related infection, for which the rate of mortality showed a greater increase (P <0.05).
      Conclusion : Due to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PBSI and fatal conditions or high mortality, it requires more aggressive management.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we discovered that immunocompromised hemato-oncological malignancy was the most common underlying medical condition and that frequency of gram-positive bacteria and fungus isolated has increased.
      번역하기

      Purpose : Although the incidence of polymicrobial bloodstream infection (PBSI) has increased, only a few studies have so far focused on children. Therefore, in an effort to prevent more serious situations in pediatric patients, we analyzed the clinica...

      Purpose : Although the incidence of polymicrobial bloodstream infection (PBSI) has increased, only a few studies have so far focused on children. Therefore, in an effort to prevent more serious situations in pediatric patients, we analyzed the clinical features, organisms, and laboratory results of PBSI.
      Methods :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case records of 97 patients with polymicrobial bloodstream infection in the Severance hospital, from 2001 to 2008. Using t-test and chi-square test, we analyzed the underlying medical conditions,clinical characteristics, organisms, and laboratory results of those patients.
      Results : Annual incidence of polymicrobial bloodstream infection increased from 1.4 % in 2001 to 10.9% in 2008 in pediatric patients. Immunocompromised hemato-oncological malignancy was found in 31 (31.9%) patients, and was the most common underlying medical condition; cardiovascular disease was found in 15 patients (15.4%), neurologic disease in 10 patients (10.3%), and so on. Gram positive organisms were recovered in 143 cases and gram negative organisms were recovered in 101 cases of PBSI. Staphylococcus epidermidis was the most common organism. Factors affecting mortality included underlying medical disease, immune status, nosocomial infection, and central catheter-related infection, for which the rate of mortality showed a greater increase (P <0.05).
      Conclusion : Due to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PBSI and fatal conditions or high mortality, it requires more aggressive management.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we discovered that immunocompromised hemato-oncological malignancy was the most common underlying medical condition and that frequency of gram-positive bacteria and fungus isolated has increa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다균혈증이란 동일한 환자의 혈액에서 24시간이내에 2종 이상의 세균 또는 진균이 분리되는 질환으로정의하며 이러한 다균혈증은 높은 사망률과 치료의 어려움으로 인해 많은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본 저자들은 국내 단일 기관에서 일정 기간동안 전체 소아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발생한 다균혈증 환자에 대한 임상적 특징과 균종의 특성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동일한 환자에서 무균적으로 검출된 혈액 검체를 호기성 배지와 혐기성 배지에서 배양한 결과 2종 이상의 균종이 검출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환자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들의 임상 양상과 혈액학적 검사결과를 T-검정과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 과: 2001년부터 2008년까지 소아 환자에서 총 97명, 113예의 다균혈증이 있었으며 이들은 남자 78명, 여자 19명으로 4.1:1의 성비를 보였다. 다균혈증이 전체균혈증에서 나타난 빈도를 연도별로 조사한 결과 2001년에 4예(1.4%)에서 2008년에는 14예(10.9%)로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기저 질환별 다균혈증의 검출되는 빈도는 면역 저하를 보인 혈액 종양 환자31.9%, 심혈관 질환 15.4%, 신경계 질환 10.3%, 호흡기 질환 8.2%의 빈도로 나타났으며 전체 균종별 빈도는그람 양성이 60.5%, 그람 음성이 29.2%, 혐기성 균주이2.5%, 진균이 7.6%으로 검출되었다. 다균혈증 환자들의사망률과 연관된 위험 인자로 기저 질환이 있었던 경우와 중심 혈관 도관이 있었던 경우, 원내 감염이었던 경우,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은 경우, 2회 이상의 다균혈증이 나타난 경우, 진균 감염이 동반된 경우에서 사망률과 의미있는 연관성을 보였다(P <0.05).
      결 론 : 다균혈증은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질환으로 다균혈증이 있는 소아 환자에서의 사망률은 성인에 비해 높으며 복합적인 위험인자와 중증의합병증의 발생으로 인해 치료가 어려우므로 더욱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원의 결과는 이전의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다균혈증 환자들의 기저질환으로만성적인 면역저하자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진균이 동반된 감염과 그람 양성 균종에 의한 감염이 이전보다는증가한 것으로 보이고 있으나 이러한 결과에 대해서는단일 균종에 의한 감염까지 포함하는 좀 더 포괄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목 적:다균혈증이란 동일한 환자의 혈액에서 24시간이내에 2종 이상의 세균 또는 진균이 분리되는 질환으로정의하며 이러한 다균혈증은 높은 사망률과 치료의 어려움으로 인해 많은 연구가 ...

      목 적:다균혈증이란 동일한 환자의 혈액에서 24시간이내에 2종 이상의 세균 또는 진균이 분리되는 질환으로정의하며 이러한 다균혈증은 높은 사망률과 치료의 어려움으로 인해 많은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본 저자들은 국내 단일 기관에서 일정 기간동안 전체 소아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발생한 다균혈증 환자에 대한 임상적 특징과 균종의 특성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동일한 환자에서 무균적으로 검출된 혈액 검체를 호기성 배지와 혐기성 배지에서 배양한 결과 2종 이상의 균종이 검출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환자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들의 임상 양상과 혈액학적 검사결과를 T-검정과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 과: 2001년부터 2008년까지 소아 환자에서 총 97명, 113예의 다균혈증이 있었으며 이들은 남자 78명, 여자 19명으로 4.1:1의 성비를 보였다. 다균혈증이 전체균혈증에서 나타난 빈도를 연도별로 조사한 결과 2001년에 4예(1.4%)에서 2008년에는 14예(10.9%)로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기저 질환별 다균혈증의 검출되는 빈도는 면역 저하를 보인 혈액 종양 환자31.9%, 심혈관 질환 15.4%, 신경계 질환 10.3%, 호흡기 질환 8.2%의 빈도로 나타났으며 전체 균종별 빈도는그람 양성이 60.5%, 그람 음성이 29.2%, 혐기성 균주이2.5%, 진균이 7.6%으로 검출되었다. 다균혈증 환자들의사망률과 연관된 위험 인자로 기저 질환이 있었던 경우와 중심 혈관 도관이 있었던 경우, 원내 감염이었던 경우,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은 경우, 2회 이상의 다균혈증이 나타난 경우, 진균 감염이 동반된 경우에서 사망률과 의미있는 연관성을 보였다(P <0.05).
      결 론 : 다균혈증은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질환으로 다균혈증이 있는 소아 환자에서의 사망률은 성인에 비해 높으며 복합적인 위험인자와 중증의합병증의 발생으로 인해 치료가 어려우므로 더욱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원의 결과는 이전의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다균혈증 환자들의 기저질환으로만성적인 면역저하자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진균이 동반된 감염과 그람 양성 균종에 의한 감염이 이전보다는증가한 것으로 보이고 있으나 이러한 결과에 대해서는단일 균종에 의한 감염까지 포함하는 좀 더 포괄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Gray J, "Three-year survey of bacteremia and fungemia in a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20 : 416-421, 2001

      2 Kiani D,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polymicrobial bacteremia" 242 : 1044-1047, 1979

      3 Simon A, "Surveillance for nosocomial and central line-related infections among pediatric hematologyoncology patients" 21 : 592-596, 2000

      4 Cheng YR, "Risk factors for candidemia-related mortality at a medical center in central Taiwan" 39 : 155-161, 2006

      5 Sheng WH, "Risk factors affecting in-hospital mortality in patients with nosocomial infections" 106 : 110-118, 2007

      6 Yogaraj JS, "Rate, risk factors, and outcomes of nosocomial primary bloodstream infection in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110 : 481-485, 2002

      7 Mackowiak PA, "Polymicrobial sepsis: an analysis of 184 cases using log linear models" 280 : 73-80, 1980

      8 Rolston KV, "Polymicrobial infection in patients with cancer: an underappreciated and underreported entity" 45 : 228-233, 2007

      9 Klotz SA, "Polymicrobial bloodstream infections involving Candida species: analysis of patient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59 : 401-406, 2007

      10 Downes KJ, "Polymicrobial bloodstream infection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entral venous catheters evaluated in ambulatory care" 46 : 387-394, 2008

      1 Gray J, "Three-year survey of bacteremia and fungemia in a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20 : 416-421, 2001

      2 Kiani D,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polymicrobial bacteremia" 242 : 1044-1047, 1979

      3 Simon A, "Surveillance for nosocomial and central line-related infections among pediatric hematologyoncology patients" 21 : 592-596, 2000

      4 Cheng YR, "Risk factors for candidemia-related mortality at a medical center in central Taiwan" 39 : 155-161, 2006

      5 Sheng WH, "Risk factors affecting in-hospital mortality in patients with nosocomial infections" 106 : 110-118, 2007

      6 Yogaraj JS, "Rate, risk factors, and outcomes of nosocomial primary bloodstream infection in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110 : 481-485, 2002

      7 Mackowiak PA, "Polymicrobial sepsis: an analysis of 184 cases using log linear models" 280 : 73-80, 1980

      8 Rolston KV, "Polymicrobial infection in patients with cancer: an underappreciated and underreported entity" 45 : 228-233, 2007

      9 Klotz SA, "Polymicrobial bloodstream infections involving Candida species: analysis of patient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59 : 401-406, 2007

      10 Downes KJ, "Polymicrobial bloodstream infection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entral venous catheters evaluated in ambulatory care" 46 : 387-394, 2008

      11 Sutter D, "Polymicrobial bloodstream infection in pediatric patients: risk factors, microbiology, and antimicrobial management" 27 : 400-405, 2008

      12 Jang S, "Polymicrobial bacteremia" 4 : 105-112, 1984

      13 Wisplinghoff H, "Nosocomial bloodstream infections in US hospitals: analysis of 24,179 cases from a prospective nationwide surveillance study" 39 : 309-317, 2004

      14 Bizzarro MJ, "Matched case-control analysis of polymicrobial bloodstream infection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29 : 914-920, 2008

      15 Shah SS, "How long does it take to "rule out" bacteremia in children with central venous catheters?" 121 : 135-141, 2008

      16 Weinstein MP, "Clinical importance of polymicrobial bacteremia" 5 : 185-196, 1986

      17 Lin YC,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for attributable mortality in Enterobacter cloacae bacteremia" 39 : 67-72, 2006

      18 El-Mahallawy H, "Clinical and microbiologic determinants of serious bloodstream infections in Egyptian pediatric cancer patients: a one-year study" 9 : 43-51, 2005

      19 Marschall J, "Between community and hospital: healthcare-associated gramnegative bacteremia among hospitalized patients" 30 : 1050-1056, 2009

      20 Shin D, "Analysis of Polymicrobial Bacteremia During Recent Seven Years" 15 : 430-438,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5-03-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KCI등재
      2014-12-1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소아감염병학회 -> 대한소아감염학회 KCI등재
      2013-10-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기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6 0.26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6 0.6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