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아동학부 신입생들이 유아교육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 양성과정에서의 교육적 지원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71190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97-212(1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학부 신입생들이 유아교육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 양성과정에서의 교육적 지원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학부 신입생들이 유아교육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 양성과정에서의 교육적 지원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메타포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4년제 대학 아동학부 1학년 신입생 56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예비 유아교사들은 유아교육을 다섯 가지 주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첫째,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는 유아교육은 물, 새싹, 햇빛과 같은 메타포로 표현되며, 유아교육이 유아의 신체적․정서적․인지적 발달을 지원하는 과정임을 보여준다. 둘째, 기초를 다지는 유아교육은 설계도, 건물의 기초, 디딤돌과 같은 메타포를 통해 유아교육이 미래 학습과 삶의 기반을 마련하는 중요한 토대임을 강조하였다. 셋째, 출발점으로서의 유아교육은 첫단추, 출발선, 여정의 시작과 같은 메타포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육이 인생의 첫걸음으로서 긍정적인 출발을 제공해야 한다는 기대를 반영한다. 넷째, 방향을 제시하는 유아교육은 나침반, 지도, 이정표 등의 메타포를 통해 유아들이 목표와 방향성을 설정하도록 돕는 역할을 강조하였다. 다섯째, 돌봄으로서의 유아교육은 정원사, 부모의 손길, 양육과 같은 메타포로 표현되었으며, 정서적 안정과 따뜻한 돌봄을 제공하는 역할이 언급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보통합에 대비한 통합적 교사 역할 강화, 메타포를 활용한 자기 성찰 기회 제공, 돌봄의 중요성 재강조, 초기 예비교사의 직관적 관점 활용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how freshmen in the Department of Child Studies perceive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roles of teachers. It also suggests directions for educational support directions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Metaphor anal...
This study explores how freshmen in the Department of Child Studies perceive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roles of teachers. It also suggests directions for educational support directions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Metaphor analysis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Fifty-six first-year students in pursuing a four-year course at a university's Department of Child Studies were recrui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five main themes. First,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facilitator of growth and development; this was expressed through metaphors such as water, sprouts, and sunlight, indicating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supports the physical, emotional,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ren. Seco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foundation; this was represented by metaphors such as blueprints, building foundations, and stepping stones, emphasizing the critical rol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establishing a basis for future learning and life. Third,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starting point; this was reflected through metaphors such as the first button, the starting line, and the beginning of a journey, symbolizing its role in providing a positive and meaningful first step in life. Fourth,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guide; this was expressed through metaphors such as compass, map, and milestone, highlighting the role of teachers in helping children set goals and directions for their lives. Finally,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caregiving; this was expressed through metaphors such as being a gardener, having parental touch, and being nurturing,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roviding emotional stability and warmth to children.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strengthen integrated teacher roles in integ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rovide opportunities for self-reflection through metaphors, reinforce the importance of caregiving, and utilize the intuitive perspectives of novice pre-service teachers.
또래 유아가 만든 이야기를 감상하는 과정에서 5세 유아들이 보인 반응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