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사소송에서 사건의 진위를 파악하기 위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증거이다. 이 중에서도 증인은 형사소송에서 가장 중요한 증거가 될 수 있다. 헌법과 형사소송법은 증거를 수집하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형사소송에서 사건의 진위를 파악하기 위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증거이다. 이 중에서도 증인은 형사소송에서 가장 중요한 증거가 될 수 있다. 헌법과 형사소송법은 증거를 수집하는...
형사소송에서 사건의 진위를 파악하기 위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증거이다. 이 중에서도 증인은 형사소송에서 가장 중요한 증거가 될 수 있다. 헌법과 형사소송법은 증거를 수집하는데 있어 적법한 절차에 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특히 증인에 대해서는 증언거부권을 고지해야 함을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위증죄와도 관련이 있는데, 위증죄의 성립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 증인신문절차가 증인선서를 포함한 전체로서의 증인신문절차를 의미하는 것인지, 증인선서절차와 별개의 (본래적)증인신문절차를 의미하는 것인지가 문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기대가능성과 관련해서도 증언거부권의 고지여부를 기대가능성의 유무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는가가 문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헌법과 형사소송법에 의해서 증인을 신문할 때는 적법한 절차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란, "형법학총론강의" 형설출판사 2008
2 신이철, "형법총론강의" 숭실대학교 출판부 2005
3 박상기, "형법총론(제8판)" 박영사 2009
4 김형준, "형법총론(3판)" 동현출판사 2005
5 신동운, "형법총론 제5판" 법문사 2010
6 김신규, "형법총론" 청목출판사 2009
7 진계호, "형법총론" 대왕출판사 2007
8 이재상, "형법총론" 박영사 2007
9 오영근, "형법총론" 박영사 2009
10 정영일, "형법총론" 박영사 2010
1 이영란, "형법학총론강의" 형설출판사 2008
2 신이철, "형법총론강의" 숭실대학교 출판부 2005
3 박상기, "형법총론(제8판)" 박영사 2009
4 김형준, "형법총론(3판)" 동현출판사 2005
5 신동운, "형법총론 제5판" 법문사 2010
6 김신규, "형법총론" 청목출판사 2009
7 진계호, "형법총론" 대왕출판사 2007
8 이재상, "형법총론" 박영사 2007
9 오영근, "형법총론" 박영사 2009
10 정영일, "형법총론" 박영사 2010
11 김성돈, "형법총론"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9
12 이형국, "형법총론" 법문사 2007
13 권오걸, "형법총론" 형설출판사 2009
14 정성근, "형법총론" 삼영사 2011
15 임웅, "형법총론" 박영사 2011
16 배종대, "형법총론" 홍문사 2008
17 성낙현, "형법총론" 동방문화사 2010
18 정웅석, "형법강의" 大明出版社 2008
19 권오걸, "형법각론[이론.판례]" 헝설출판사 2009
20 박상기, "형법각론(제7판)" 박영사 2008
21 정성근, "형법각론" 삼지원 2008
22 오영근, "형법각론" 박영사 2010
23 배종대, "형법각론" 홍문사 2010
24 진계호, "형법각론" 2008
25 이재상, "형법각론" 박영사 2007
26 김일수, "형법각론" 박영사 2009
27 배종대, "형법각론" 홍문사 2007
28 손동권, "형법각론" 율곡출판사 2007
29 이정원, "형법각론" 법지사 2003
30 이형국, "형법각론" 법문사 2007
31 김성돈, "형법각론"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9
32 임웅, "형법각론" 법문사 2011
33 정영일, "형법각론" 박영사 2008
34 김성천, "형법" 도서출판 소진 2009
35 오영근, "증언거부권의 불고지와 위증죄의 성립여부" 고시계사 55 (55): 2010
36 권오걸, "증언거부권의 불고지와 위증죄" 한국형사법학회 22 (22): 373-388, 2010
37 이세화, "증언거부권불고지와 허위증언에 대한 위증죄" 법학연구소 (31) : 365-392, 2010
38 하태훈, "위증죄의 주체" 고시연구사 24 (24): 1997
39 신치재, "위증죄에 있어서 사실진술의 기대가능성에 대한 판단기준 -유죄판결이 확정된 피고인의 증언거부권과 관련하여-" 중앙법학회 11 (11): 465-493, 2009
40 류기환, "기대가능성에 대한 연구" 한국법학회 (20) : 395-414, 2005
41 이정원, "기대가능성과 책임조각사유" 한국형사법학회 (26) : 25-46, 2006
42 板倉宏, "期待可能性" 日本評論社 21 (21): 1977
43 Rudolphi, "Systematischer Komentar zum Strafgesetzbuch, 5. 6" 2003
44 Juergen Baumann, "Strafrecht』" Gieseking 1995
45 Johannes Wessels/Michael Hettinger, "Strafrecht, besonderer Teil . 1" C. F. Müller 2002
46 Liszt-Schmidt, "Lehrbuch des deutschen Strafrecht" 1932
47 Harro Otto, "Grundkurs Strafrecht : allgemeine Strafrechtslehre" Gruyter 1976
48 김일수, "(새로쓴)형법총론" 박영사 200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1 | 0.71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6 | 0.679 | 0.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