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역과 정역, 그리고 천문역법적 사유에서 바라본 학산 이정호의 訓民正音 ‘天文圖’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055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鶴山 李正浩는 훈민정음 초성 기본자와 11개 중성자를 가지고 <訓民正音圖>를 구상하였다. 그는 별의 형태를 부각시키기 위해 훈민정음 28자에 없는 몇몇의 획을 <훈민정음도> 안에 추가해 그렸다. 이는 <훈민정음도>와 <正易八卦圖>의 유사성을 증명하고자 한 것이고, 이를 통해 훈민정음 창제에 담긴 周易 사상이 바로 正易 사상을 내포한 것임을 말하고자 한 것이다. 그는 더 나아가 황·적도대 성수인 28수를 가지고 ‘正音天文圖’라는 훈민정음 천문도를 그렸고, 거기에 天皇·大帝로 尊空된 중앙의 둘을 포함하여 30일이라는 한 달의 책력을 적용하였다. 사실상 그것은 『정역』에서의 <28宿 運氣圖> 논의 방식에 근거한 것이다. 정음천문도는 전국시대의 『여씨춘추』와 『서경』 「요전」의 천문역법에 대한 기록 속에서 유사한 관념을 발견할 수 있다. 아울러 그것은 복희64괘 圓圖 및 天象列次分野之圖에 담긴 별 그림과도 일맥상통한다. 학산은 정음천문도를 통해, ‘聖王 세종대왕이 즉위하면서 천도를 밝혀 백성의 일을 살피고자 했던 뜻이 훈민정음이라는 神物의 창제에서 드러났고, 그 창제 정신에는 유학의 천도 사상이 담겨 있다’라는 점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鶴山 李正浩는 훈민정음 초성 기본자와 11개 중성자를 가지고 <訓民正音圖>를 구상하였다. 그는 별의 형태를 부각시키기 위해 훈민정음 28자에 없는 몇몇의 획을 <훈민정음도> 안에 ...

      鶴山 李正浩는 훈민정음 초성 기본자와 11개 중성자를 가지고 <訓民正音圖>를 구상하였다. 그는 별의 형태를 부각시키기 위해 훈민정음 28자에 없는 몇몇의 획을 <훈민정음도> 안에 추가해 그렸다. 이는 <훈민정음도>와 <正易八卦圖>의 유사성을 증명하고자 한 것이고, 이를 통해 훈민정음 창제에 담긴 周易 사상이 바로 正易 사상을 내포한 것임을 말하고자 한 것이다. 그는 더 나아가 황·적도대 성수인 28수를 가지고 ‘正音天文圖’라는 훈민정음 천문도를 그렸고, 거기에 天皇·大帝로 尊空된 중앙의 둘을 포함하여 30일이라는 한 달의 책력을 적용하였다. 사실상 그것은 『정역』에서의 <28宿 運氣圖> 논의 방식에 근거한 것이다. 정음천문도는 전국시대의 『여씨춘추』와 『서경』 「요전」의 천문역법에 대한 기록 속에서 유사한 관념을 발견할 수 있다. 아울러 그것은 복희64괘 圓圖 및 天象列次分野之圖에 담긴 별 그림과도 일맥상통한다. 학산은 정음천문도를 통해, ‘聖王 세종대왕이 즉위하면서 천도를 밝혀 백성의 일을 살피고자 했던 뜻이 훈민정음이라는 神物의 창제에서 드러났고, 그 창제 정신에는 유학의 천도 사상이 담겨 있다’라는 점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ak San 鶴山 Yi Jeong-ho 李正浩 conceptualized and drew the “Hunminjeongeum-do” 訓民正音圖 (Diagram of Hunminjeongeum) using the basic initial consonants and 11 medial vowels of Hunminjeongeum 訓民正音 (It is the Korean alphabet, also called Hangeul). In the process, he added several strokes that were not part of the 28 letters of Hunminjeongeum to the “Hunminjeongeum-do” to emphasize the shapes of stars. This was intended to demonstrate the similarity between the “ Hunminjeongeum-do” and the “Jeongyeok Eight Trigrams Diagram” (正易八卦圖), thereby suggesting that the Zhouyi 周易 philosophy embedded in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inherently contains the Jeongyeok 正易 (Correct Zhouyi) philosophy. Furthermore, he created the Celestial Diagram of Hunminjeongeum using the 28 Lunar Mansions of the ecliptic, which he referred to as the Jeongeum cheonmun-do 正音天文圖. In this diagram, he included the two central positions, elevated as the Emperor of Heaven and the Great Emperor, and applied a 30- day month calendar using all of these elements. In fact, it is based on the discussion in the Jeongyeok regarding the “Diagram of the 28 Lunar Mansions’ Energy Flow chart” (二十八宿運氣圖). The Jeongeum cheonmun-do can be found to contain similar concepts to those in the records of astronomical calendrical science from the Lüshi chunqiu 呂氏春秋, written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in China, and the “ Yaodian” 堯典 chapter of the Shujing 書經. Moreover,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circular diagram of the Fuxi 64 Hexagrams and also shares commonality with the star illustrations found in the Cheonsang yeolcha bunyajido 天象列次分 野之圖, a celestial map engrav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aksan sought to demonstrate through the Jeongeum cheonmundo that ‘the intention of King Sejong, the Sage King, to illuminate the Heavenly Way and care for the affairs of the people upon his ascension to the throne is revealed in the creation of the miraculous letters Hunminjeongeum, and that the spirit of its creation embodies the Confucian concept of the Heavenly Way.’
      번역하기

      Hak San 鶴山 Yi Jeong-ho 李正浩 conceptualized and drew the “Hunminjeongeum-do” 訓民正音圖 (Diagram of Hunminjeongeum) using the basic initial consonants and 11 medial vowels of Hunminjeongeum 訓民正音 (It is the Korean alphabet, als...

      Hak San 鶴山 Yi Jeong-ho 李正浩 conceptualized and drew the “Hunminjeongeum-do” 訓民正音圖 (Diagram of Hunminjeongeum) using the basic initial consonants and 11 medial vowels of Hunminjeongeum 訓民正音 (It is the Korean alphabet, also called Hangeul). In the process, he added several strokes that were not part of the 28 letters of Hunminjeongeum to the “Hunminjeongeum-do” to emphasize the shapes of stars. This was intended to demonstrate the similarity between the “ Hunminjeongeum-do” and the “Jeongyeok Eight Trigrams Diagram” (正易八卦圖), thereby suggesting that the Zhouyi 周易 philosophy embedded in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inherently contains the Jeongyeok 正易 (Correct Zhouyi) philosophy. Furthermore, he created the Celestial Diagram of Hunminjeongeum using the 28 Lunar Mansions of the ecliptic, which he referred to as the Jeongeum cheonmun-do 正音天文圖. In this diagram, he included the two central positions, elevated as the Emperor of Heaven and the Great Emperor, and applied a 30- day month calendar using all of these elements. In fact, it is based on the discussion in the Jeongyeok regarding the “Diagram of the 28 Lunar Mansions’ Energy Flow chart” (二十八宿運氣圖). The Jeongeum cheonmun-do can be found to contain similar concepts to those in the records of astronomical calendrical science from the Lüshi chunqiu 呂氏春秋, written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in China, and the “ Yaodian” 堯典 chapter of the Shujing 書經. Moreover,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circular diagram of the Fuxi 64 Hexagrams and also shares commonality with the star illustrations found in the Cheonsang yeolcha bunyajido 天象列次分 野之圖, a celestial map engrav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aksan sought to demonstrate through the Jeongeum cheonmundo that ‘the intention of King Sejong, the Sage King, to illuminate the Heavenly Way and care for the affairs of the people upon his ascension to the throne is revealed in the creation of the miraculous letters Hunminjeongeum, and that the spirit of its creation embodies the Confucian concept of the Heavenly Wa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正音天文圖의 형성 과정과 배경
      • Ⅲ. 正音天文圖 사유의 확장
      • Ⅳ.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正音天文圖의 형성 과정과 배경
      • Ⅲ. 正音天文圖 사유의 확장
      • Ⅳ.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