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마을 공동체 조직화 사업으로서 ‘평생학습 마을 만들기’ 성공 추진을 위한 과제 탐색 = Exploring Tasks for Successful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Proj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20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some tasks for successful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project. Since the Ministry of Education started the project of 'lifelong learning city' in 2000, lots of local governments have been push ahead the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as part of the 'community building' project. But Most studies on it have been conducted only in lifelong learning/education area and there were no sufficient checks or studies in the areas of community building. So, we can not know whether or not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was successfully implemented as a kind of community building project.
      In this study, I carried out literature analysis and case study for exploring and checking the orientation, key factor and, in particular, some practical problems in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project. Through this work, I could figure out that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has not realized fully it's orientation and goals as a community building project, and I could also find that the features of lifelong learning, which has two aspects, namely, personal motivation and expectations for growth and collective expectation of community all at once, were served as a limit to successful community building project. By paying attention to the breaking points, I was able to present four tasks for successful projects, and also point out a new possibility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번역하기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some tasks for successful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project. Since the Ministry of Education started the project of 'lifelong learning city' in 2000, lots of local governments have been push ahead th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some tasks for successful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project. Since the Ministry of Education started the project of 'lifelong learning city' in 2000, lots of local governments have been push ahead the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as part of the 'community building' project. But Most studies on it have been conducted only in lifelong learning/education area and there were no sufficient checks or studies in the areas of community building. So, we can not know whether or not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was successfully implemented as a kind of community building project.
      In this study, I carried out literature analysis and case study for exploring and checking the orientation, key factor and, in particular, some practical problems in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project. Through this work, I could figure out that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has not realized fully it's orientation and goals as a community building project, and I could also find that the features of lifelong learning, which has two aspects, namely, personal motivation and expectations for growth and collective expectation of community all at once, were served as a limit to successful community building project. By paying attention to the breaking points, I was able to present four tasks for successful projects, and also point out a new possibility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y build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평생학습 마을 만들기’의 성공 추진을 위한 과제 탐색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2000년, 교육부가 ‘평생학습도시’ 조성 사업을 착수하기 시작하면서 여러 지자체들이 ‘평생학습 마을 만들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그와 관련된 관심이 대체로 ‘평생교육’ 활성화와 복잡하게 겹쳐져 ‘마을 만들기’ 사업으로서의 점검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마을 만들기의 의미와 지향점, 발전 과정과 성공 요인 등을 정리하여 마을 만들기가 단순히 마을 단위 잘살기 운동이나 주거환경개선 사업이 아니라 주민의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고 마을을 자치 공동체로 재구조화하려는 공동체 조직화 사업임을 확인하고, 그것을 준거로 현재 추진되고 있는 평생학습 마을 만들기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마을 공동체 조직화 사업으로서 평생학습 마을 만들기 사업의 특징 및 한계점을 추출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마을 만들기 사업 내용으로서 평생학습이 다른 사업 내용들과는 다른 한계점과 동시에 가능성도 가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평생학습 마을 만들기’의 성공 추진을 위한 과제 탐색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2000년, 교육부가 ‘평생학습도시’ 조성 사업을 착수하기 시작하면서 여러 지...

      이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평생학습 마을 만들기’의 성공 추진을 위한 과제 탐색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2000년, 교육부가 ‘평생학습도시’ 조성 사업을 착수하기 시작하면서 여러 지자체들이 ‘평생학습 마을 만들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그와 관련된 관심이 대체로 ‘평생교육’ 활성화와 복잡하게 겹쳐져 ‘마을 만들기’ 사업으로서의 점검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마을 만들기의 의미와 지향점, 발전 과정과 성공 요인 등을 정리하여 마을 만들기가 단순히 마을 단위 잘살기 운동이나 주거환경개선 사업이 아니라 주민의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고 마을을 자치 공동체로 재구조화하려는 공동체 조직화 사업임을 확인하고, 그것을 준거로 현재 추진되고 있는 평생학습 마을 만들기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마을 공동체 조직화 사업으로서 평생학습 마을 만들기 사업의 특징 및 한계점을 추출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마을 만들기 사업 내용으로서 평생학습이 다른 사업 내용들과는 다른 한계점과 동시에 가능성도 가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Giddens, A., "현대성과 자아정체성" 새물결 2010

      2 양병찬, "학습도시에서의 주민 교육공동체 운동의 전개"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173-201, 2007

      3 박승현, "풀뿌리 주민자치에 기반한 마을만들기의 향후 방향과 과제" 2004

      4 광주광역시 북구, "평생학습문화 마을 만들기 컨설팅 보고서" 2013

      5 김득영, "평생학습마을 만들기론" 대전지역평생학습센터 2003

      6 송성숙, "평생학습도시 자치공동체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이천시 불씨와 심포니사회 학습운동을 중심으로-" 대한지방자치학회 14 (14): 193-207, 2012

      7 이규선, "청주시 사직2동 마을만들기 단계별 특성연구 - 추진사업 및 참여주체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7 (47): 145-157, 2012

      8 유승우, "지역학습정책이 로컬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 : 이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대학원 2006

      9 신중진, "지역공동체 회복을 위한 마을만들기의 역할과 과제-수원화성과 행궁동 사람들의 도전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6 (36): 60-96, 2013

      10 김영정, "지역거버넌스와 공동체 운동 : 전주시 ‘전통문화중심도시만들기’ 운동의 사례분석" 지역사회학회 9 (9): 5-33, 2008

      1 Giddens, A., "현대성과 자아정체성" 새물결 2010

      2 양병찬, "학습도시에서의 주민 교육공동체 운동의 전개"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173-201, 2007

      3 박승현, "풀뿌리 주민자치에 기반한 마을만들기의 향후 방향과 과제" 2004

      4 광주광역시 북구, "평생학습문화 마을 만들기 컨설팅 보고서" 2013

      5 김득영, "평생학습마을 만들기론" 대전지역평생학습센터 2003

      6 송성숙, "평생학습도시 자치공동체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이천시 불씨와 심포니사회 학습운동을 중심으로-" 대한지방자치학회 14 (14): 193-207, 2012

      7 이규선, "청주시 사직2동 마을만들기 단계별 특성연구 - 추진사업 및 참여주체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7 (47): 145-157, 2012

      8 유승우, "지역학습정책이 로컬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 : 이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대학원 2006

      9 신중진, "지역공동체 회복을 위한 마을만들기의 역할과 과제-수원화성과 행궁동 사람들의 도전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6 (36): 60-96, 2013

      10 김영정, "지역거버넌스와 공동체 운동 : 전주시 ‘전통문화중심도시만들기’ 운동의 사례분석" 지역사회학회 9 (9): 5-33, 2008

      11 박은미, "주민주도형 평생학습마을 만들기 사례분석" 원격교육연구소 6 (6): 25-46, 2010

      12 김선기, "주민주도형 지역 만들기 추진 모형"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7

      13 황달기, "일본 농촌사회의 전통적 사회시스템의 붕괴와 재편-촌락공동체를 중심으로" 한국농촌사회학회 14 (14): 207-246, 2004

      14 김세용, "우리나라 마을만들기의 현재와 앞으로의 방향" 371 : 3-20, 2013

      15 이영아, "시민참여형 도시정비를 위한 시민역량 강화 방안" 국토연구원 2008

      16 이병환, "시민 주도 평생학습도시 활성화 조건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49-75, 2008

      17 Woolcock, M., "사회자본 이론과 쟁점" 그린출판사 2003

      18 Lin, N., "사회자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19 송인하, "마을공동체 운동의 성공 조건과 과제" 14 : 34-64, 2010

      20 김찬동, "마을공동체 복원을 통한 주민자치 실현 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2

      21 여관현, "마을 만들기를 통한 공동체 성장과정 연구: 성북구 장수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26 (26): 53-87, 2013

      22 이은진, "마을 만들기 운동의 현황과 과제" 8 (8): 5-31, 2006

      23 김선직, "마을 만들기 실천" 형설출판사 2008

      24 홍진이, "마을 만들기 사업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한국공공사회학회 3 (3): 151-169, 2013

      25 박주형, "도구화되는 ‘공동체’: 서울시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공간환경학회 23 (23): 4-43, 2013

      26 김은희, "그들이 허문 것이 담장뿐이었을까?: 대구 삼덕동 마을 만들기" 한울 2010

      27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8 松尾匡, "市民參加のまちづくり" 創成社 2003

      29 Gold, H., "Urban Life and Society" Prentice Hall 2002

      30 Warren, D. L., "New Perspectives on the American Community" Rand McNally 1977

      31 Longworth, N., "Making Lifelong Learning Work: Learning Cities for a Learning Century" Kogan Page 1999

      32 Usher, R. S., "Adult Education and the Postmodern Challenge" Routledge 1997

      33 Yamit, M., "A Survey of Learning Communities" LGA Publications for the DfEE, NCA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