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본권행사포기로서 기본권포기에 관한 고찰 = Überlegungen zum Grundrechtsverzicht als Grundrechtsausübungsverzich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648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r Begriff des Grundrechtsverzichts ist vom Rechtsverzicht als Grundsatz des einfachen Rechts entwickelt worden. Der Grundrechtsverzicht ist jedoch nicht mit dem Rechtsverzicht identisch, schon aus der Gründe der Normenhierarchie, aber auch wegen de...

      Der Begriff des Grundrechtsverzichts ist vom Rechtsverzicht als Grundsatz des einfachen Rechts entwickelt worden. Der Grundrechtsverzicht ist jedoch nicht mit dem Rechtsverzicht identisch, schon aus der Gründe der Normenhierarchie, aber auch wegen des spezifischen grundrechtlichen Normenmaterials. Ebensowenig wie man auf die einfachrechtlich positivierte Rechtsfähigkeit verzichten kann, genausowenig ist ein Verzicht auf die Grundrechtsträgerschaft statthaft. Der herrschende Begriff vom Grundrechtsverzicht, die Unzulässigkeit eines formellen Total- oder Partialverzichts nicht kennt, trotz oder wegen einer gewissen Suggentionskraft mehrdeutig und an den Rändern unscharf.
      Als Grundrechtsverzicht gilt mithin die mit rechtsverbindlicher Einwilligung des Grundrechtsträgers stattfindende, möglichst zeitlich begrenzende Minderung der Ausübungsmöglichkeiten, die der Schutzbereich eröffnet. Anders formuliert und auf eine Kurzformel gebracht: Der Grundrechtsverzicht stellt sich als Grundrechtsausübungsverzicht. Die Reduzierung des Grundrechtsverzichts auf den Grundrechtsausübungsverzicht vermeidet Assoziationen zu einem formellen Total- oder Partialverzichts, der ohnehin unzulässig ist. Der so als Grundrechtsausübungsverzicht auf den Punkt gebrachte Grundrechtsverzicht ermöglicht eine korrekte Abgrenzung gegenüber dem Grundrechtseingriff, den negativen Grundrechten und Grundrechtsschutz gegen sich selbst.
      In diesem Sinne stellt dieser Aufsatz die Lehre vom Grundrechtsverzicht als Grundrechtsausübungsverzicht wie folgt dar; Der Grundrechtsträger verpflichtet sich unter prinzipiellen Beibehaltung seines Grundrechtsstatus lediglich dazu, sein Grundrecht in bestimmter Hinsicht nicht wahrzunehmen. Als Ausdruck der Privatautonomie kann der Grundrechtsträger die Ausübung von Freiheit und die Inanspruchnahme staatlichen Schuztes verzichten. Dazu gehört also die Menschenwürde, der Wesensgehalt des Grundrechts und spezielle Grundrechte. Allerdings sind die Benachrichtigungspflicht nach Art. 12 Abs. 5 koreanische Verfassung, Wahlrecht, Besoldungsanspruch der Beamten, Pflichtengrundrechte wie Elternrecht, Schulpflicht und Grundpflichten verzichtsfeindli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본권포기는 법률상 권리포기를 헌법이론에 적용한 것이다. 하지만 기본권포기는 헌법의 최고규범성과 기본권의 천부인권성으로 인하여 권리포기이론을 그대로 헌법에 수용할 수는 없다....

      기본권포기는 법률상 권리포기를 헌법이론에 적용한 것이다. 하지만 기본권포기는 헌법의 최고규범성과 기본권의 천부인권성으로 인하여 권리포기이론을 그대로 헌법에 수용할 수는 없다. 기본권포기는 민법상 권리능력과 마찬가지로 전부포기는 물론 부분포기도 불가능하다. 따라서 기본권의 포기가능성을 전제로 제시된 종래의 기본권포기론은 개념적 불명확성으로 인하여 구체적 사례에서 포기여부를 제시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기본권포기란 기본권행사능력에 유사하게 구체적 사실관계에서 시간적으로 한정된 기본권행사포기로 새롭게 개념 정의할 필요가 있다. 기본권포기를 기본권행사포기로 제한하면 기본권처분권의 한계 내지 사적자치권의 한계를 중심으로 이론체계를 단순화할 수 있고 소극적 기본권, 기본권의 제한, 자기위해행위에 대한 기본권보호 등의 기본권이론과 구별도 한결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견지에서 기본권행사포기로서 기본권포기의 이론체계는 다음과 같다. 기본권포기란 기본권능력자가 특정한 상황에서 기본권행사를 할 수 없는 의무를 부담하는 것을 말한다. 기본권주체는 기본권행사의 전제로 헌법에 내재된 사적자치에 의하여 주관적 공권 또는 객관적 질서기능을 하는 기본권을 원칙적으로 행사할 수 있고 포기할 수 있다. 사적자치를 보호내용으로 하는 개별기본권과 헌법의 기본이념으로서 인간의 존엄과 가치, 국가의 보호의무, 기본권의 본질내용 등도 구체적 사례에서 처분가능하고 기본권행사도 포기할 수 있는 것은 마찬가지다. 다만 헌법적 가치를 우선해야 하는 기본권, 기본의무와 결합된 기본권 등은 처분이 제한되어 기본권행사를 포기할 수 없다. 체포・구속시 가족에의 통지의무, 선거권, 친권, 의무교육과 납세, 국방의무가 이에 속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3

      2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2013

      3 계희열, "헌법학(중)" 박영사 2007

      4 홍성방, "헌법학" 현암사 2009

      5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9

      6 김성규, "피해자의 승낙에 관한 법리로서의 자기결정권" 한국비교형사법학회 8 (8): 23-44, 2006

      7 장영철, "사법의 헌법화경향에 대한 소고 ― 독일과 한국의 헌법판례를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5 (25): 1-36, 2018

      8 허완중, "기본권포기" 한국헌법학회 15 (15): 517-542, 2009

      9 표명환, "기본권적 보호이익의 침해에 대한 승낙과 그 한계" 한국비교공법학회 9 (9): 161-182, 2008

      10 장영철, "기본권으로서 사적자치에 관한 고찰"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5 (25): 1-43, 2017

      1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13

      2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2013

      3 계희열, "헌법학(중)" 박영사 2007

      4 홍성방, "헌법학" 현암사 2009

      5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9

      6 김성규, "피해자의 승낙에 관한 법리로서의 자기결정권" 한국비교형사법학회 8 (8): 23-44, 2006

      7 장영철, "사법의 헌법화경향에 대한 소고 ― 독일과 한국의 헌법판례를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5 (25): 1-36, 2018

      8 허완중, "기본권포기" 한국헌법학회 15 (15): 517-542, 2009

      9 표명환, "기본권적 보호이익의 침해에 대한 승낙과 그 한계" 한국비교공법학회 9 (9): 161-182, 2008

      10 장영철, "기본권으로서 사적자치에 관한 고찰"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5 (25): 1-43, 2017

      11 장영철, "기본권론" 화산미디어 2018

      12 강태수, "기본권 포기론" 29 (29): 2001

      13 M. Ruffert, "Vorrang der Verfassung und Eigenständigkeit des Privatrechts -Eine verfassungsrechtliche Untersuchung zur Privatrechtswirkung des Grundgesetzes-" Tübingen 2001

      14 K. Stern, "Staatsrecht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Bd. Ⅲ/2" München 1994

      15 H. Bethge, "Handbuch des Staatsrechts Bd. Ⅸ" Heidelberg 2011

      16 D. Merten, "Handbuch der Grundrechte, Bd. Ⅱ" Heidelberg 2006

      17 D. Merten, "Handbuch der Grundrechte, Bd Ⅲ" Heidelberg 2009

      18 B. Pieroth, "Grundrechte, Staatsrecht Ⅱ" Heidelberg 2008

      19 Michael, "Grundrechte" Baden-Baden 2008

      20 J. Pietzker, "Die Rechtsfigur des Grundrechtsfigur des Grundrechtsverzichts" 17 : 527-, 1978

      21 P. S. Fischinger, "Der Grundrechtsverzicht" 808-,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0-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학연구소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영문명 : 미등록 -> Law Research Institute in University of Seoul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7 1.118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