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원도 지역 산림습원의 식물다양성 연구 = Plants Species Diversity and Flora of Wetlands in the Forest of Gangwon Prov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483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indigenous habitat of Simjeok forest wetland, Mt. Jeombomg forest wetland, Mt. Sohwangbyung forest wetland, Jilmoi-neup, and Mt. Myeon forest wetland in Gangwon Province. The vascular plants were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indigenous habitat of Simjeok forest wetland, Mt. Jeombomg forest wetland, Mt. Sohwangbyung forest wetland, Jilmoi-neup, and Mt. Myeon forest wetland in Gangwon Province.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547 taxa; 92 families, 296 genera, 468 species, 4 subspecies, 67 varieties, 8 forms. The plants that are specially noteworthy are 17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3 taxa of Critical Endangered Species (CR), 4 taxa of Endangered Species (EN), 8 taxa of Vulnerable Species (VU) and 17 taxa of Least Concemed Species (LC) in rare plants as categorized by the Korean Forest Service. Furthermore, V, IV, III degrees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as categoriz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included 9 taxa, 14 taxa and 34 taxa, respectively. In addition, 25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observed. In this study, we identified a variety of plants observed in the wetlands of Gangwon Province. We believ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data for future research on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etlan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산림습원인 심적 산림습원, 점봉산 산림습원, 소황병산 산림습원, 질뫼늪 및 면산 산림습원을 대상으로 식물상 및 식물상의다양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지역에서확...

      산림습원인 심적 산림습원, 점봉산 산림습원, 소황병산 산림습원, 질뫼늪 및 면산 산림습원을 대상으로 식물상 및 식물상의다양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지역에서확인된 관속식물은 92과 296속 468종 4아종 67변종 8품종 총547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지역별로 살펴보면 심적 산림습원은 유역에서 269분류군이 습원 내에서 8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점봉산 산림습원은 유역에서 303분류군이 습원 내에서8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소황병산 산림습원은 유역에서 303분류군이 습원 내에서 111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질뫼늪은 유역에서 209분류군이 습원 내에서 14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면산산림습원은 유역에서 25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습원 내에서 11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탄산림습원으로 알려진 용늪, 심적 산림습원, 점봉산 산림습원, 소황병산 산림습원, 질뫼늪및 면산 산림습원을 대상으로 식물상을 유집분석한 결과, 종조성은 습지의 형태 및 지리적 분포와 비교적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습원의 유역의 식물상 유사성을 보면, 점봉산 산림습원과면산 산림습원이 종유사성이 가깝게 나타났으며, 용늪과 질뫼늪도 종유사성이 비교적 가깝게 확인되었다. 습원 내의 식물상유사성은 심적 산림습원과 면산 산림습원이 가장 가깝게 나타났으며, 소황병산 산림습원과 질뫼늪도 종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절대습지식물(Obligate wetland plant, OBW) 의 유사성은 소황병산 산림습원과 질뫼늪이 가장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심적 산림습원과 면산 산림습원 또한 비교적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순옥, "한반도 고산습지의 식생환경과 역사시대 기후변화" 한국지형학회 21 (21): 69-83, 2014

      2 이유미,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한국식물분류학회 41 (41): 87-101, 2011

      3 손호준, "청옥산(경북 봉화) 산림습원의 식물상 및 식생" 한국임학회 103 (103): 313-320, 2014

      4 손명원, "천성산 화엄늪의 형성과정" 한국지역지리학회 15 (15): 204-214, 2009

      5 양해근, "지리산 왕등재습지의 수문학적 특성과 역할" 한국지형학회 15 (15): 77-85, 2008

      6 장병오, "지리산 왕등재늪의 식생 변천사 연구" 한국생태학회 29 (29): 287-293, 2006

      7 배정진, "정족산 무제치늪 식물의 무기이온, 질소 및 인의 양상" 한국생태학회 26 (26): 4-114, 2003

      8 윤순옥, "점봉산 고산습지의 화분분석과 홀로세 후기 기후변화" 한국지형학회 20 (20): 101-115, 2013

      9 김재근, "오대산 물이끼 이탄습지의 생태특성: I. 소황병산늪" 한국습지학회 11 (11): 15-27, 2009

      10 박지현, "오대산 물이끼 이탄습지의 생태적 특성: Ⅱ. 질뫼늪 보호구역" 한국습지학회 14 (14): 101-120, 2012

      1 윤순옥, "한반도 고산습지의 식생환경과 역사시대 기후변화" 한국지형학회 21 (21): 69-83, 2014

      2 이유미,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한국식물분류학회 41 (41): 87-101, 2011

      3 손호준, "청옥산(경북 봉화) 산림습원의 식물상 및 식생" 한국임학회 103 (103): 313-320, 2014

      4 손명원, "천성산 화엄늪의 형성과정" 한국지역지리학회 15 (15): 204-214, 2009

      5 양해근, "지리산 왕등재습지의 수문학적 특성과 역할" 한국지형학회 15 (15): 77-85, 2008

      6 장병오, "지리산 왕등재늪의 식생 변천사 연구" 한국생태학회 29 (29): 287-293, 2006

      7 배정진, "정족산 무제치늪 식물의 무기이온, 질소 및 인의 양상" 한국생태학회 26 (26): 4-114, 2003

      8 윤순옥, "점봉산 고산습지의 화분분석과 홀로세 후기 기후변화" 한국지형학회 20 (20): 101-115, 2013

      9 김재근, "오대산 물이끼 이탄습지의 생태특성: I. 소황병산늪" 한국습지학회 11 (11): 15-27, 2009

      10 박지현, "오대산 물이끼 이탄습지의 생태적 특성: Ⅱ. 질뫼늪 보호구역" 한국습지학회 14 (14): 101-120, 2012

      11 신영호, "신불산 산지습지의 지화학적 특성과 역할" 한국지형학회 12 (12): 133-149, 2005

      12 박성준, "무제치늪 식물상의 다양성" 한국식물분류학회 41 (41): 370-382, 2011

      13 남보미, "면산·묘봉(태백시, 삼척시, 봉화군)의 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 27 (27): 501-517, 2014

      14 Joosten, C, "Wise use of mires and peatland-background and principles including a framework for decision-making" International Mire Conservation Group and International Peat Society 2002

      15 Mitsch, W.J, "Wetlands" John Wiley & Sons 2007

      16 Tarnocai, C,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carbon in Canadian peatlands" (53) : 222-232, 2006

      17 Lee, Y.N, "Swamp plants on Mt. Dae-Am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1 (1): 7-14, 1969

      18 Kang, S.J,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the high moor in Mt. Daeam" 2 (2): 117-131, 2000

      19 Choung, Y.S, "Review on the herbaceous flora of Keunyongneup in Mt. daeam, Korea" 20 : 205-227, 2009

      20 Korea National Arboretum, "Rare Plants Data Book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1-332, 2008

      21 Maddison, D.R, "MacClade 4: analysis of phylogeny and character evolution, version 4.08a"

      22 Miyawaki, A, "Handbook of Japanese Vegetation" Shibundo co., LTD 1978

      23 Choi, H.J, "Flora monitoring of Yongneup, an alpine wetland, in Mt. Daeam" 3 (3): 93-104, 2009

      24 Oh, B.U,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Daesin Publishing Co 205-, 2005

      25 Choung, Y.S, "Categorizing Vascular Plant Species Occurring in Wetland Ecosystems of the Korean Peninsula" Center for Aquatic Ecosystem Reatoration 243-, 2012

      26 Kim, C.H,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Ⅰ. Selection of plant taxa" 18 (18): 163-198, 2000

      27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2013

      28 Melchior, H,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Geburder Borntraeger 196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67 1.157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