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조직배양에 의한 Baicalin, Baicalein 및 Wogonin 생산 = Production of Baicalin, Baicalein, and Wogonin on Plant Tissue Culture of Scutellaria baicalen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483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SJ) is a perennial plant and its root has been used in oriental traditional medicine for treatment of fever, inflammation, diarrhea and anticancer effect, etc. In this study, plant tissue culture system for SJ was devel...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SJ) is a perennial plant and its root has been used in oriental traditional medicine for treatment of fever, inflammation, diarrhea and anticancer effect, etc. In this study, plant tissue culture system for SJ was developed. Stem piece of younger plant was optimum explant for callus induction and growth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NAA 1.0 ㎎/L plus BA 0.5 ㎎/L. Plantlet regeneration through callus culture was well on MS medium containing NAA 1.0 mg/L. SJ has been known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such as baicalin, baiclein, and wogoni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for production of baicalin, baicalein, and wogonin through callus culture. The HPLC pattern of callus extract was identical to that of standard solution, it shows that the callus produced by tissue culture has the same flavonoids composition of SJ. Baicalin, baicalein, and wogonin production was 471.5~52.8 ㎍/g, 137.6~4.0 ㎍/g, and 16.6~1.3 ㎍/g, respectively, on MS media with nine different plant growth regulator combinations.
      This may indicate that plant tissue culture of SJ possible to produce the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effective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황금의 식물조직배양 체계 확립 및 2차대사산물 생성 적정조건을 확인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황금 조직배양은 MS 배지에 여러 가지 explant를 치상한 결과 어린 식물의 줄기를 사용하여 PGR...

      황금의 식물조직배양 체계 확립 및 2차대사산물 생성 적정조건을 확인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황금 조직배양은 MS 배지에 여러 가지 explant를 치상한 결과 어린 식물의 줄기를 사용하여 PGRs인 NAA와 BA를 소량 혼합처리한 조건에서 callus의 분화가 수월하였으며, shoot는 explant에서 발생된 callus를 소량의 NAA가 첨가된 배지에 배양할 때 분화율이 높게 나타났다.
      Shoot는 PGRs가 포함되지 않은 MS배지에서 뿌리가 분화되었고 조직배양으로 재분화된 황금 식물개체는 토양으로 이식 후에도 왕성하게 생장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황금의 식물조직배양 체계를 확립할 수 있었다. 한편, 식물조직배양을 통하여 2차대사 산물 축적이 가능한 지를 확인하고자 황금 callus를 대상으로 몇 가지 flavonids 함량을 HPLC 기기로 분석한 바 callus에서 baicalin, baicalein 및 wogonin을분석할 수 있었다. 이들 함량은 배지에 함유된 PGRs 농도에 따라 baicalin 471.5~52.8 ㎍/g, baicalein 137.6~4.0 ㎍/g, wogonin 16.6~1.3 ㎍/g의 함량 변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식물조직배양을 통하여 황금에 함유된 baicalin, baicalein 및wogonin 등의 flavonoids를 생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지현, "황금(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추출물의 식중독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3 (33): 35-40, 2005

      2 강민희, "황금 Baicalein의 위염 및 H. pylori균에 미치는 효과" 대한약학회 51 (51): 68-74, 2007

      3 임현수, "열처리에 의한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추출물의 생리활성 변화" 한국생명과학회 17 (17): 1381-1386, 2007

      4 김석주, "알코올성 지방간에서 Baicalin의 허혈 및 재관류로 인한 간 손상 보호 효과" 대한약학회 56 (56): 260-267, 2012

      5 김효재, "근적외선분광분석기를 이용한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의 baicalin 및 baicalein 함량 분석" 한국자원식물학회 27 (27): 286-292, 2014

      6 Heller, W, "The Flavonoids" Chapman & Hall 339-425, 1988

      7 Bing-rong Zhou, "Protective Effect of Baicalin against Multiple Ultraviolet B Exposure-mediated Injuries in C57BL/6 Mouse Skin" 대한약학회 34 (34): 261-268, 2011

      8 Seo, W.T, "Production of flavone glycosides in cell suspension culture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Kon-Kuk Univ 1995

      9 Shin, S.W, "Production of baicalin by cell culture of Scutellaria baicalensis" 26 (26): 159-163, 1995

      10 Lee, M.S, "Plant regeneration from leaf tissue culture and some effective substances in Scutellaria baicalensis G" 1 (1): 43-48, 1993

      1 배지현, "황금(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추출물의 식중독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33 (33): 35-40, 2005

      2 강민희, "황금 Baicalein의 위염 및 H. pylori균에 미치는 효과" 대한약학회 51 (51): 68-74, 2007

      3 임현수, "열처리에 의한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추출물의 생리활성 변화" 한국생명과학회 17 (17): 1381-1386, 2007

      4 김석주, "알코올성 지방간에서 Baicalin의 허혈 및 재관류로 인한 간 손상 보호 효과" 대한약학회 56 (56): 260-267, 2012

      5 김효재, "근적외선분광분석기를 이용한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의 baicalin 및 baicalein 함량 분석" 한국자원식물학회 27 (27): 286-292, 2014

      6 Heller, W, "The Flavonoids" Chapman & Hall 339-425, 1988

      7 Bing-rong Zhou, "Protective Effect of Baicalin against Multiple Ultraviolet B Exposure-mediated Injuries in C57BL/6 Mouse Skin" 대한약학회 34 (34): 261-268, 2011

      8 Seo, W.T, "Production of flavone glycosides in cell suspension culture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Kon-Kuk Univ 1995

      9 Shin, S.W, "Production of baicalin by cell culture of Scutellaria baicalensis" 26 (26): 159-163, 1995

      10 Lee, M.S, "Plant regeneration from leaf tissue culture and some effective substances in Scutellaria baicalensis G" 1 (1): 43-48, 1993

      11 Young Hoon Kim, "Pharmacokinetics of Baicalein, Baicalin and Wogonin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a Standardized Extra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PF-2405 in Rats" 대한약학회 30 (30): 260-265, 2007

      12 Piao, H.Z, "Neuroprotective effect of wogonin: Potential roles of inflammatory cytokines" 27 (27): 930-936, 2004

      13 Lee, H.J, "Inhibition effe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extracts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bone resorption" Keimyung University 2005

      14 Seo, O.N, "Determination of polyphenol components of Korean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using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Contribution to overall antioxidant activity" 1741-1750, 2013

      15 Kim, J.H, "Comparative studies on change of flavonoid composition and pharmacological activity of Scutellaria baicalensis by processing" Sookmyung Women’s Univ 1998

      16 Zheng, J, "Baicalin induces apoptosis in leukemia HL-60/ADR cells via possible down-regulation of the PI3K/Akt signaling pathway" 13 (13): 1119-1124, 2012

      17 Ikemoto, S, "Antitumor effects of Scutellariae radix and its components baicalein, baicalin, and wogonin on bladder cancer cell lines" 55 (55): 951-955, 2000

      18 Lee, J.K,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Kyungwon Univ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67 1.157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