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사회에서 저항의 고조기의 정체성 정치의 특성 = 1970~1980년대 저항정체성 담론과 광주항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976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에서 1960년대 이래 최대의 대중적 저항행동이었던 1980년 광주항쟁에서 표출된 집단적 정체성이, 1970~1980년대 저항운동의 정체성 담론의 역사 속에서 어떤 독특한 특성을 보여...

      이 연구는 한국에서 1960년대 이래 최대의 대중적 저항행동이었던 1980년 광주항쟁에서 표출된 집단적 정체성이, 1970~1980년대 저항운동의 정체성 담론의 역사 속에서 어떤 독특한 특성을 보여주는지를 고찰했다. 이를 위해 1970년대 초반부터 1987년 6월 항쟁 이전까지 시기의 중요한 정치적 사건들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던 20개의 텍스트, 그리고 1980년 광주항쟁 당시 국가권력과 항쟁주체들이 주고받은 총 67개의 전단지ㆍ유인물ㆍ선언문ㆍ집회연설문 등을 분석했다. 1970~1980년대 저항운동의 정체성 담론에서는 민주ㆍ민중ㆍ민족을 핵심어로 하는 다중적 정체성과 그에 상응하는 적대적 정체성들이 대체로 등가적 지위를 부여받는 담론구조가 상당히 일관되게 지속되고 있었다. 이에 비해 광주항쟁에선 ‘민주’과 ‘애국’이 정체성 담론의 중심적 응축상징 역할을 하면서, 한편으론 보편성을 획득하기 위한 헤게모니 담론의 기능을, 다른 한편으론 계급적ㆍ영토적 정체성을 표현하는 언어적 형식으로서 기능을 수행했다. 광주항쟁이라는 저항의 고조기에 격렬히 충돌했던 권위주의 국가권력과 저항적 시민사회 세력은 공통적으로 ‘국민’(‘시민’)과 ‘애국’을 각자의 방식으로 정의내리는 일에 몰두하고 있었고, 각각 반공권위주의와 민주공화주의에 입각하여 나라공동체의 구성원과 적을 규정함을 통해 스스로를 정당화하고 상대를 탈정당화하는 담론투쟁을 전개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focuses on the uniqueness of the collective identities constituted in the civic uprising in Gwangju 1980 in comparison to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identity discourses of South Korean protest movements from the early 1970s to the lat...

      This article focuses on the uniqueness of the collective identities constituted in the civic uprising in Gwangju 1980 in comparison to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identity discourses of South Korean protest movements from the early 1970s to the late 1980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20 texts which made a particular impact upon the significant political events in the 1970s and the 1980s, and 67 texts which were spread by the government, the military, and protest participants during the Gwangju uprising. In the protest movements of the 1970s and the 1980s, a discursive structure in which the democratic, popular, and nationalist symbols possessed relative equivalent positions continued with considerable consistency. In the Gwangju uprising, to the contrary, the ‘democratic-patriotic’ discourses played a central role, performing a function of claiming the universal legitimacy of the protest actions and of providing the linguistic form for expressing the class-based and territorial identities. In the Gwangju uprising, which was the most intense peak event within the protest cycles from the early 1960s to the late 1980s, both the authoritarian state and the resistant civil society endeavored to legitimate themselves and delegitimate their respective opponents by way of defining what is ‘patriotic’ and who are the ‘citizens’ of the nation, and of demarcating the boundaries between members and enemies of the nation in their own way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이론적 기초와 연구 설계
      • 3. 1970~1980년대 저항운동의 정체성 담론
      • 4. 광주항쟁에서 지배담론의 정체성 규정
      • 5. 항쟁주체들의 정체성 정치
      • 1. 서론
      • 2. 이론적 기초와 연구 설계
      • 3. 1970~1980년대 저항운동의 정체성 담론
      • 4. 광주항쟁에서 지배담론의 정체성 규정
      • 5. 항쟁주체들의 정체성 정치
      • 6. 결론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호철, "현대 한국정치: 이론과 역사, 개정증보 2판" 사회평론 2004

      2 최장집, "한국 민주주의와 광주항쟁의 세 가지 의미" 아세아문제연구소 50 (50): 144-171, 2007

      3 조희연, "저항담론의 변화와 분화에 관한 연구: ‘급진화’와 ‘대중화’의 긴장을 중심으로, In 한국의 정치사회적 저항담론과 민주주의 동학" 함께읽는책 29-101, 2004

      4 유시춘, "우리 강물이 되어: 70·80 실록 민주화운동 I"

      5 박원순, "역사가 이들을 무죄로 하리라: 한국 인권 변론사" 두레 2003

      6 박구용, "서로주체의 형성사로서 동학농민전쟁과 5?18광주민중항쟁" 5.18연구소 7 (7): 5-38, 2007

      7 신진욱, "사회운동의 연대 형성과 프레이밍에서 도덕감정의 역할" 비판사회학회 (73) : 203-245, 2007

      8 김광식, "사월혁명과 혁신세력의 등장과 활동, In 한국사회 변혁운동과 사월혁명(1)" 한길사 182-213, 1990

      9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민주화운동사2" 돌베개 2009

      10 최장집,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2002

      1 손호철, "현대 한국정치: 이론과 역사, 개정증보 2판" 사회평론 2004

      2 최장집, "한국 민주주의와 광주항쟁의 세 가지 의미" 아세아문제연구소 50 (50): 144-171, 2007

      3 조희연, "저항담론의 변화와 분화에 관한 연구: ‘급진화’와 ‘대중화’의 긴장을 중심으로, In 한국의 정치사회적 저항담론과 민주주의 동학" 함께읽는책 29-101, 2004

      4 유시춘, "우리 강물이 되어: 70·80 실록 민주화운동 I"

      5 박원순, "역사가 이들을 무죄로 하리라: 한국 인권 변론사" 두레 2003

      6 박구용, "서로주체의 형성사로서 동학농민전쟁과 5?18광주민중항쟁" 5.18연구소 7 (7): 5-38, 2007

      7 신진욱, "사회운동의 연대 형성과 프레이밍에서 도덕감정의 역할" 비판사회학회 (73) : 203-245, 2007

      8 김광식, "사월혁명과 혁신세력의 등장과 활동, In 한국사회 변혁운동과 사월혁명(1)" 한길사 182-213, 1990

      9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민주화운동사2" 돌베개 2009

      10 최장집,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2002

      11 신진욱, "구조해석학과 의미구조의 재구성" 한국사회학회 42 (42): 191-230, 2008

      12 신진욱, "광주항쟁과 애국적 민주공화주의의 탄생 : 저항적 시민사회의 정체성 구성에 대한 구조해석학적 분석" 한국사회학회 45 (45): 58-90, 2011

      13 조대엽, "광주항쟁과 80년대의 사회운동문화 -이념 및 가치를 중심으로-" 5.18연구소 3 (3): 175-210, 2003

      14 김두식, "광주항쟁, 5월운동, 다중적 집단정체성" 5.18연구소 3 (3): 99-134, 2003

      15 유경남, "광주5월항쟁 시기 ‘광주’의 표상(表象)과 ‘광주민주시민’의 형성" 호남사학회 (35) : 141-176, 2009

      16 정근식, "광주 민중항쟁에서의 저항의 상징 다시 읽기: 시민적 공화주의를 중심으로" 16 : 143-182, 2007

      17 김상봉, "[5.18연구]응답으로서의 역사-5.18을 생각함-" 5.18연구소 6 (6): 139-156, 2006

      18 Steinberg, Marc M., "The Roar of th Crowd: Repertoires of Discourses and Collective Action among the Spitalfields Silk Weaves in Nineteenth-Century London, In Repertoires and Cycles of Collective Action" Duke UP 57-87, 1995

      19 Tilly, Charles, "The Contentious French" Harvard University Press 1986

      20 Gamson, William A., "Talking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21 Matthiesen, Ulf, "Standbein-Spielbein. Deutungsmusteranalysen im Spannungsfeld von objektiver Hermeneutik und Sozialphänomenologie, In Die Welt als Text" Suhrkamp 73-113, 1994

      22 Simmel, Georg, "Soziologie, In GSG 11" Suhrkamp 1992

      23 Gamson, William A., "Political Discourse and Collective Action, In From Structure to Action" JAI Press 219-244, 1988

      24 Snow, David A., "Master Frames and Cycles of Protest, In Frontiers in Social Movement Theory" Yale University Press 133-155, 1992

      25 Snow, David A., "Identiy Work Processes in the Context of Social Movements: Clarifying the Identity/Movement Nexus, In Self, Identity, and Social Movement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41-67, 2000

      26 Laclau, Ernesto, "Identity and Hegemony: The Role of Universality in the Constitution of Political Logics, In Contingency, Hegemony, Universality" Verso 44-89, 2000

      27 Hunt, Scott A., "Identity Fields: Framing Processes and the Social Construction of Movement Identities, In New Social Movements: From Ideology to Identity" Temple University Press 185-208, 1994

      28 Stryker, Sheldon, "Identity Competition: Key to Differential Social Movement Participation?, In Self, Identity, and Social Movement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1-40, 2000

      29 Klandermans, Bert, "Group Identification and Political Protest, In Self, Identity, and Social Movement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68-90, 2000

      30 Melucci, Alberto, "Getting Involved: Identity and Mobilization in Social Movements, In From Structure to Action" JAI Press 329-348, 1988

      31 Britt, Lory, "From Shame to Pride in Identity Politics, In Self, Identity, and Social Movement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52-268, 2000

      32 Benford, Robert, "Framing Processes and Social Movements: An Overview and Assessment" 26 : 611-639, 2000

      33 Laclau, Ernesto, "Emancipation(s)" Verso 1997

      34 Ward, Jane, "Diversity Discourse and Multi-Identity Work in Lesbian and Gay Organization, In Identity Work in Social Movement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33-256, 2008

      35 Tarrow, Sidney, "Democracy and Disorder" Clarendon Press 1989

      36 Roth, Silke, "Dealing with Diversity: The Coalition of Labor Union Women, In Identity Work in Social Movement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13-232, 2008

      37 Tarrow, Sidney, "Cycles of Collective Action, In Repertoires and Cycles of Collective Action" Duke University Press 89-115, 1995

      38 Tilly, Charles, "Contentious Connections in Great Britain, 1828-34, In Social Movements and Networks" Oxford University Press 147-172, 2003

      39 Butler, Judith, "Competing Universalities, In Contingency, Hegemony, Universality" Verso 136-181, 2000

      40 Taylor, Verta, "Collective Identiy in Social Movement Communities: Lesbian Feminist Mobilization, In Frontiers in Social Movement Theory" Yale University Press 104-132, 1992

      41 Traugott, Mark, "Barricades as Repertoire, In Repertoires and Cycles of Collective Action" Duke University Press 43-56, 1995

      42 Myers, Daniel J., "Ally Identity: The Politically Gay, In Identity Work in Social Movement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67-188, 2008

      43 문한영, "60년대의 민족자주통일운동: 민자통을 중심으로, In 한국사회 변혁운동과 사월혁명(2)" 한길사 149-159, 1990

      44 김영택, "5월 18일, 광주" 역사공간 2010

      45 박광주, "5·18의 정치적 배경, In 5·18 민중항쟁사" 81-102, 2001

      46 정근식, "5·18의 경험과 코뮌적 상상력, In 저항, 연대, 기억의 정치 1" 문화과학사 285-309, 2003

      47 고성국, "4월혁명의 이념, In 한국사회 변혁운동과 사월혁명(1)" 한길사 141-181, 1990

      48 조대엽, "1980년대 학생운동의 이념과 민주화운동의 급진적 확산 - 반미주의의 분화와 대중화전략을 중심으로 -" 극동문제연구소 21 (21): 189-215,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산업사회학회 -> 비판사회학회
      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Korean Researchers On Industrial Society -> Korean Critical Sociological Association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7 1.37 1.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8 1.56 1.76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