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말 鄭地의 생애와 군사활동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106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지는 1347년 羅州에서 태어났다. 恭愍王 대에 李僖와 함께 防倭策을 내세우며 정지는 수군으로서의 첫 入仕를 하게 되었다. 정지의 방왜책은 海道에서 나고 자란 사람을 훈련시켜 倭寇와의...

      정지는 1347년 羅州에서 태어났다. 恭愍王 대에 李僖와 함께 防倭策을 내세우며 정지는 수군으로서의 첫 入仕를 하게 되었다. 정지의 방왜책은 海道에서 나고 자란 사람을 훈련시켜 倭寇와의 전투를 준비하겠다는 수군 정비에 관한 상소였다.
      정지의 방왜책은 수군 정비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전함 건조로 이어졌다. 후대의 기록에 정지가 처음으로 전함을 건조했다고 나타난다. 이는 기존의 전함과 어떠한 차이를 두고 있음을 의미한다. 정지가 건조했다는 전함은 아마도 화포가 장착된 전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닐까 한다. 화약 무기를 실은 전함으로 큰 전과를 올린 鎭浦 전투를 통해, 정지는 전함에 화포를 장착하기에 이른다. 觀音浦 전투는 정지의 수많은 전투 중에서도 그 의의가 다르다 할 수 있다. 火㷁都監의 설치 이후, 관음포 전투에서는 처음으로 전함에 화포를 장착해 이동 중 해상에서 싸워 크게 승리하였다. 관음포 전투 이후 정지는 화포를 장착한 전함 건조에 힘을 쏟았다. 이것이 정지의 두 번째 방왜책이었다.
      정지가 왜구와의 전투에서 많은 승리를 거두었음에도 왜구의 평정을 이루지 못하니 禑王은 이를 책망하였다. 이에 정지는 對馬島 征伐을 건의했다. 정지의 대마도 정벌은 당시에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하지만 정지는 왜구의 근거지가 對馬島와 壹岐島임을 정확히 파악했고, 경인년 왜구 침입 이후 단 한 번도 시도되지 않았던 동정을 건의하였다. 정지는 탁월한 전략가였으며, 왜구 침입의 근원적인 문제를 해결하려 했던 대마도 정벌의 선구자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당시 수군의 최고 지휘자로서 큰 전공을 남긴 정지에게도 고려 말 격동기의 비운은 지나칠 수 없었다. 威化島 回軍 후 李成桂의 정변으로 이어지는 김저사건과 윤이·이초 사건에 연루되어 정지는 유배되었다. 일평생 왜구 격퇴에 앞장서며 수군의 수장으로서 백성들에게 높이 평가되었던 정지의 존재는 이성계에게 경계해야할 대상이었고, 이에 이성계는 정지를 포함한 위협적인 세력을 역모사건에 연루시켜 제거하려 했던 것이다.
      정지는 1391년 회군의 공으로 이등공신에 선정되고, 옥에서 풀려나 명예회복에 나섰으나 광주로 은퇴해 정계에서 물러나 살다가 病死했다. 그의 나이 마흔다섯으로, 병사의 이유는 밝혀진 바가 없다.
      본고는 정지의 생애와 활동에 대한 연구이다. 정지가 방왜책으로 내세운 전함건조에 대해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후대의 기록에 처음으로 전함을 만든 이가 왜 정지가 되었는지, 이러한 전함을 언제 건조하였는지 등에 대해서 현재까지 밝혀진 바가 없다. 이에 필자는 정지의 전함 건조에 대해 심화된 견해를 제시하고, 더불어 정지의 대마도 정벌 건의에 대해서도 상세히 규명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家系와 入仕
      • Ⅲ. 수군 정비와 전함 건조
      • Ⅳ. 觀音浦 전투와 對馬島 정벌 건의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家系와 入仕
      • Ⅲ. 수군 정비와 전함 건조
      • Ⅳ. 觀音浦 전투와 對馬島 정벌 건의
      • Ⅴ. 김저사건, 윤이·이초사건과 政治的 肅淸
      • Ⅵ.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 "홍무제의 화약·화포 지원과 고려 수군의 재건" 2016

      2 오종록, "한국해양사" 한국해양재단 2013

      3 중앙일보사 편집부, "한국성씨대백과" 중앙일보사 1989

      4 나종우, "한국사 20" 국사편찬위원회 1994

      5 박가영,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6 송정현, "정지장군 연구" 25 : 1997

      7 이영, "잊혀진 전쟁 왜구, 그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에스피메테 2007

      8 구산우, "일본 원정, 왜구 침략과 경상도 지역의 동향" 한국중세사학회 (22) : 217-249, 2007

      9 김재근, "우리 배의 역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9

      10 이영, "왜구와 고려 일본 관계사" 혜안 2011

      1 이영, "홍무제의 화약·화포 지원과 고려 수군의 재건" 2016

      2 오종록, "한국해양사" 한국해양재단 2013

      3 중앙일보사 편집부, "한국성씨대백과" 중앙일보사 1989

      4 나종우, "한국사 20" 국사편찬위원회 1994

      5 박가영, "조선시대의 갑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6 송정현, "정지장군 연구" 25 : 1997

      7 이영, "잊혀진 전쟁 왜구, 그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에스피메테 2007

      8 구산우, "일본 원정, 왜구 침략과 경상도 지역의 동향" 한국중세사학회 (22) : 217-249, 2007

      9 김재근, "우리 배의 역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9

      10 이영, "왜구와 고려 일본 관계사" 혜안 2011

      11 오종록, "여말선초 지방군제 연구" 국학자료원 2014

      12 장준혁, "여말선초 동아시아 국제정세 속의 대마도 정벌"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3

      13 박종기, "대은 변안열의 생애와 업적" 지식산업사 2013

      14 이형우, "공양왕대 윤이·이초 사건" 포은학회 18 : 169-207, 2016

      15 김정자, "고려시대 갑주에 대한 고찰" 29 : 1996

      16 한정훈, "고려시대 ‘해항도시’ 나주에 관한 시론" 국제해양문제연구소 (19) : 77-112, 2018

      17 이형우, "고려말 정치적 추이와 김저 사건" 포은학회 16 : 227-262, 2015

      18 김당택, "고려말 이성계의 정적" 한국중세사학회 (31) : 407-445, 2011

      19 이강욱, "고려말 수군체계의 정비와 성과"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1

      20 이영, "고려말 수군의 재건과 해양 지배권의 장악"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49-63, 2016

      21 구산우, "고려말 성곽 축조와 향촌사회의 동향" 부산경남사학회 (75) : 233-273, 2010

      22 홍영의, "고려말 군사개편안의 기본방향과 성격 -공민왕·우왕대를 중심으로-"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45) : 265-300, 2002

      23 임용한, "고려 후기 수군 개혁과 전술변화"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54) : 265-304, 2005

      24 구산우, "고려 치소성 건설에 동원된 지방군에 관한 새로운 기와 명문 -固城의 保勝軍 一品軍 二品軍 養戶의 기와 명문 사례-" 한국목간학회 (21) : 287-318, 2018

      25 이령, "고려 말의 왜구와 마산" 한국중세사학회 (17) : 103-133, 2004

      26 오종록, "고려 말의 도순문사" 62 : 1986

      27 신성재, "고려 말 정지의 해방론과 수군활동" 23 : 2015

      28 朴宗基, "고려 말 왜구와 지방사회" 한국중세사학회 (24) : 173-207, 2008

      29 정두희, "高麗末期의 添設職" 44 : 1977

      30 홍영의, "高麗末 政治史 硏究" 혜안 2005

      31 김기섭, "高麗後期 崔茂宣의 생애와 화약제조" 한국중세사학회 (26) : 265-298, 2009

      32 Pelliot Paul, "高麗史에 실려 있는 蒙古語" 4 : 1968

      33 "高麗史節要"

      34 "高麗史"

      35 최정환, "高麗 祿俸制의 運營實態와 그 性格" 2 : 1980

      36 文化財管理局, "韓國의 甲冑" 世信文化社 1987

      37 김재근, "韓國船舶史硏究"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4

      38 "海東名將傳"

      39 "東文選"

      40 "新增東國輿地勝覽"

      41 조계찬, "斗溪李丙燾博士九旬記念韓國私學論叢" 1987

      42 "成宗實錄"

      43 이영, "庚寅年 倭寇와 일본의 국제정세" 92 : 2000

      44 "太祖實錄"

      45 "太宗實錄"

      46 "中宗實錄"

      47 "世宗實錄"

      48 김기섭, "14세기 왜구의 동향과 고려의 대응" 9 : 1997

      49 최성욱, "14세기 왜구 침구와 고려의 대응" 동의대학교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7 1.01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