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문화적 역량의 개념과 요소를 미술교육 관점에서 조망하기 위해 미술에서의 문화적 역량과 미술교육에서의 문화적 역량의 의미를 살펴보고, 다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문화적 역량의 개념과 요소를 미술교육 관점에서 조망하기 위해 미술에서의 문화적 역량과 미술교육에서의 문화적 역량의 의미를 살펴보고, 다문...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문화적 역량의 개념과 요소를 미술교육 관점에서 조망하기 위해 미술에서의 문화적 역량과 미술교육에서의 문화적 역량의 의미를 살펴보고, 다문화 미술교육과 시각문화미술교육의 문화교육적 관점, 문화교육 관점애서 연구한 국내 미술교육의 동향 등을 소개했다. 선행 연구물과 현행 및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문화교육 관련 목표와 내용을 기초로 미술교육에서의 문화적 역량의 의미를 제시했다. 특히 DeSeCo 프로젝트에서 제시한 개인과 가정, 사회 측면에서 전 생애 과정에서 학습되고 사용되는 역량을 기초로 미술교육에서 문화적 역량의 의미와 요소를 제시했다. 본고에서 논의된 미술교육에서의 문화적 역량의 의미는 미술교육에서 문화적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실천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iscussed the concept and elements of cultural competency from the view of art education. We examined the meanings of cultural competency in art and art education and introduced how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visual cultural art educat...
This study discussed the concept and elements of cultural competency from the view of art education. We examined the meanings of cultural competency in art and art education and introduced how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visual cultural art education view cultural education and the trend of art education studying from the view of cultural education in the country. We discussed the meaning of cultural competency in art education based on preceding studies and the goals and contents related with cultural education in the current art curriculum and the revised art curriculum. Specially, we presented the meaning and elements of cultural competency in art education based on the competency to be learned and used in a whole lifetime from individual, domestic, and sodal aspects presented by the DeSeCo project. This discussion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to strengthen cultural competency. To make cultural competence exhibited meaningfully for the benefit of individual and society, we need to consider the following in the study of educational practice scheme. First, we must utilize diverse symbols of art in social interaction and build meanings of the symbols through cultural transition. Second, we must apply the ability using instruments achieved from artistic experience to communicate with others and society. Third, we must understand the meaning of special and innovative experiments in the change of new art culture and connect them with individual life. Fourth, we must not accept passively interpretation about art culture but create new interpretation. Fifth, we must use new technology related to art in individual's life and the interaction with others and society. Sixth, we must establish meaning and value in the context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diverse communit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Spencer,L.M., "핵심역량모델의 개발과 활용" PIS 컨설팅 1998
2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초․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해설 연구 개발" 2007
3 Ueno,Naoki, "실천과 네트워크로서의 문화: “문화적 능력” 재고" 1-12, 2007
4 김정선, "시각적 의사소통의 이해에 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18 (18): 29-44, 2004
5 안인기, "시각문화교육의 담론 연구" 서울대학교 2008
6 황연주, "시각문화교육으로서 동영상교육"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16 (16): 199-220, 2004
7 안혜리, "시각문화(Visual Culture)로의 패러다임 변화와 미술교과 교사교육의 새로운 방향"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17 (17): 117-132, 2005
8 최진욱, "시각문화 교육 목표와 내용체계 발표" 2-31, 2003
9 Walker,John A., "비주얼 컬처〔Visual culture:An introduction〕" 루비박스 2004
10 Adams,Laurie S, "미술탐험" 아트 북스 2005
1 Spencer,L.M., "핵심역량모델의 개발과 활용" PIS 컨설팅 1998
2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초․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해설 연구 개발" 2007
3 Ueno,Naoki, "실천과 네트워크로서의 문화: “문화적 능력” 재고" 1-12, 2007
4 김정선, "시각적 의사소통의 이해에 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18 (18): 29-44, 2004
5 안인기, "시각문화교육의 담론 연구" 서울대학교 2008
6 황연주, "시각문화교육으로서 동영상교육"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16 (16): 199-220, 2004
7 안혜리, "시각문화(Visual Culture)로의 패러다임 변화와 미술교과 교사교육의 새로운 방향"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17 (17): 117-132, 2005
8 최진욱, "시각문화 교육 목표와 내용체계 발표" 2-31, 2003
9 Walker,John A., "비주얼 컬처〔Visual culture:An introduction〕" 루비박스 2004
10 Adams,Laurie S, "미술탐험" 아트 북스 2005
11 심광현, "미술교육에서 시각문화교육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77-89, 2003
12 정연희, "미술교사의 문화적 실천을 위한 미술교사 문화 역량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 대학교 2007
13 이병준, "독일에서 문화적 역량 담론 연구" 29-52, 2008
14 김정희, "교육에서 미술문화 교육의 의의와 실천에 관한 연구" 12 : 1-26, 2001
15 Hall,Stuart, "Representation:Cultural Representations and Signifying Practices" Sage Publications & Open University 1997
16 Ballengee-Morris,Christine, "Multicultural art and visual cultural education in changing world" 54 (54): 6-13, 2001
17 Mcfee,J.K, "Cross-cultural inquiry into the social meaning of art : implication for art education" 4 (4): 6-15, 1986
18 Barnard,Malcolm, "Approches to understanding visual culture" Palgrave 2001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8-04-1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문화교육학회 -> 한국문화교육학회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Education (KSCE)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2 | 1.01 | 1.133 | 0.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