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모의 온라인미디어 사용시간이 청소년 인터넷게임 시간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ffects of Parents’ Online Media Usage Time on Youth Internet Game Tim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s’ Social-Economic Statu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546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온라인미디어 사용시간이 청소년 인터넷게임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부모의 온라인미디어 사용시간과 청소년 인터넷게임 시간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부모의 교육수준, 가구 총소득)가 갖는 조절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의 인터넷게임 시간에 대한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자료로는 통계청의 『2019년 생활시간조사』를 활용하였으며 부모 모두와 함께 거주하며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3~18세의 청소년이 있는 가구 응답 1,686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와 어머니 각각의 온라인미디어 사용시간은 청소년의 인터넷게임 시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아버지 모형에서 청소년의 주중 인터넷 사용시간에 있어 가구 총소득은 조절효과를 나타냈으며, 어머니 모형에서는 청소년의 주중 인터넷 사용시간에 있어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아버지 모형에서 아버지의 교육수준, 어머니 모형에서 가구 총소득은 조절효과가 없었다. 즉, 청소년의 인터넷게임 시간에는 아버지보다 어머니의 개인 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개인 요인은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임노동 여부 등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인터넷게임 중독 예방과 대책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온라인미디어 사용시간이 청소년 인터넷게임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부모의 온라인미디어 사용시간과 청소년 인터넷게임 시간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사...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온라인미디어 사용시간이 청소년 인터넷게임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부모의 온라인미디어 사용시간과 청소년 인터넷게임 시간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부모의 교육수준, 가구 총소득)가 갖는 조절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의 인터넷게임 시간에 대한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자료로는 통계청의 『2019년 생활시간조사』를 활용하였으며 부모 모두와 함께 거주하며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3~18세의 청소년이 있는 가구 응답 1,686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와 어머니 각각의 온라인미디어 사용시간은 청소년의 인터넷게임 시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아버지 모형에서 청소년의 주중 인터넷 사용시간에 있어 가구 총소득은 조절효과를 나타냈으며, 어머니 모형에서는 청소년의 주중 인터넷 사용시간에 있어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아버지 모형에서 아버지의 교육수준, 어머니 모형에서 가구 총소득은 조절효과가 없었다. 즉, 청소년의 인터넷게임 시간에는 아버지보다 어머니의 개인 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개인 요인은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임노동 여부 등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인터넷게임 중독 예방과 대책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arents’ online media usage time on youth Internet game time,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s’ social-economic status (parent’s education level, gross household income) in relation to parents’ online media usage time. The analysis used the Statistics Korea’s “2019 Life Time Survey” and surveyed 1,686 household responses with teenagers aged 13 to 18 living with both parents and attending middle and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online media usage time of each father and mothe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rnet game time of teenagers. Second, in the father model, the total household income during the week was modulating effect, and in the mother model, the mother’s education level during the week was modulating effect. In other words, the Internet game time of adolescents showed that their mother’s personal factors had a greater impact than their father’s, such as her level of education and whether she worked or no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policy measures for preventing and countermeasures against Internet game addiction among teenagers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arents’ online media usage time on youth Internet game time,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s’ social-economic status (parent’s education level, gross household income) in rel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arents’ online media usage time on youth Internet game time,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s’ social-economic status (parent’s education level, gross household income) in relation to parents’ online media usage time. The analysis used the Statistics Korea’s “2019 Life Time Survey” and surveyed 1,686 household responses with teenagers aged 13 to 18 living with both parents and attending middle and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online media usage time of each father and mothe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rnet game time of teenagers. Second, in the father model, the total household income during the week was modulating effect, and in the mother model, the mother’s education level during the week was modulating effect. In other words, the Internet game time of adolescents showed that their mother’s personal factors had a greater impact than their father’s, such as her level of education and whether she worked or no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policy measures for preventing and countermeasures against Internet game addiction among teenagers we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유진, "한국인의 일상생활 시간변화: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자녀양육 시간" 한국인구학회 34 (34): 45-65, 2011

      2 김지경,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0 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3 이봉주, "한국 아동 발달에 대한 탐색적 연구-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사회자본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31) : 107-142, 2010

      4 은기수, "한국 농촌 맞벌이부부의 규모 추정 및 사회·인구학적 특성 : 도시 맞벌이부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농촌사회학회 22 (22): 83-132, 2012

      5 안차수, "초등 청소년의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이 인터넷 중독과 예방프로그램의 효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언론학회 8 (8): 347-380, 2008

      6 아영아,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부적응 관계에서 인터넷중독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18 (18): 27-50, 2011

      7 이계원, "청소년의 인터넷중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8 류진아,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2 (12): 65-80, 2004

      9 진형인, "청소년의 여가능력에 대한 여가교육 프로그램 효과"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7

      10 안권순,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과 자기조절 능력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0 (20): 333-363, 2013

      1 송유진, "한국인의 일상생활 시간변화: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자녀양육 시간" 한국인구학회 34 (34): 45-65, 2011

      2 김지경,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0 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3 이봉주, "한국 아동 발달에 대한 탐색적 연구-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사회자본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31) : 107-142, 2010

      4 은기수, "한국 농촌 맞벌이부부의 규모 추정 및 사회·인구학적 특성 : 도시 맞벌이부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농촌사회학회 22 (22): 83-132, 2012

      5 안차수, "초등 청소년의 자기통제력과 자아존중감이 인터넷 중독과 예방프로그램의 효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언론학회 8 (8): 347-380, 2008

      6 아영아,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부적응 관계에서 인터넷중독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18 (18): 27-50, 2011

      7 이계원, "청소년의 인터넷중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8 류진아,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2 (12): 65-80, 2004

      9 진형인, "청소년의 여가능력에 대한 여가교육 프로그램 효과"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7

      10 안권순,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과 자기조절 능력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0 (20): 333-363, 2013

      11 이희경, "청소년의 게임 이용요인과 개인·사회적 요인이 게임몰입과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0 (10): 355-380, 2003

      12 김교현, "청소년들의 컴퓨터 사용실태와 컴퓨터 중독" 충남대 학생 생활 연구소 2001

      13 박승민, "청소년들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대한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영향 요인 분석" 한국상담학회 19 (19): 203-224, 2018

      14 하상희, "청소년들의 여가활동요구를 통한 여가공간 활성화 방안" 생활과학연구소 24 (24): 11-18, 2020

      15 조현섭,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인터넷게임중독 실태 분석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6 (26): 291-310, 2019

      16 신준섭,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대한 자기 통제력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05-128, 2010

      17 임병익,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18 변보기, "청소년 여가실태 및 여가 장애 수준에 관한 연구-대전시 고교생을 중심으로" 10 (10): 1-34, 2005

      19 류승우,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생태체계변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20 김소연, "중학생이 지각한 부와 모의 양육행동이 인터넷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불안의 매개효과" 한국여성심리학회 18 (18): 257-277, 2013

      21 이상배,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방식 및 인터넷 게임중독간의 관계"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2 서민정, "중년층의 인터넷 미디어 레저에 관한 연구-레저 친밀도, 레저 유형별 만족도의차이를 중심으로" 9 : 27-39, 2008

      23 이향수, "저소득층의 디지털 정보화수준과 여가 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29-36, 2018

      24 송명준, "인터넷 중독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세 명의 사례를 중심으로" 5 (5): 34-50, 2001

      25 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 중독 회복자 사후관리 지원체계 및 프로그램 개발연구" 2012

      26 김청택, "인터넷 중독 예방 상담 및 예방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2

      27 김상문, "인터넷 사용과 여가시간의 감소: 생활시간조사 분석" 한국조사연구학회 19 (19): 21-45, 2018

      28 아영아, "인터넷 매체특성과 청소년 인터넷 중독의 관계에서 인터넷 사용시간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8 : 29-52, 2010

      29 장하림, "인터넷 게임중독 청소년의 회복과정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30 임명희, "유아의 스마트폰·태블릿 PC 이용실태와 부모인식과 유아의 중독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14 (14): 237-260, 2014

      31 안도연, "외로움이 자기애 성향자들의 인터넷 중독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32 배영, "어린이 집단의 미디어 이용과 사회적 관계" 한국방송학회 19 (19): 307-350, 2005

      33 박은영, "아동의 컴퓨터·모바일 게임시간과 부모영향요인 연구 :2009년과 2014년 생활시간조사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소 51 : 77-103, 2016

      34 배성만, "성별에 따른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의 관련 요인" 한국청소년학회 22 (22): 385-405, 2015

      35 이춘호, "사회적 인프라구축을 통한 청소년 전자게임 중독 예방교육"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14) : 181-188, 2008

      36 박인경, "부모의 통제가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7 김현숙, "부모의 인적자본, 사회자본, 문화자본이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빈곤 학생과 비빈곤 학생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 : 123-150, 2011

      38 송유진, "부모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청소년의 생활시간 비교" 한국가족학회 25 (25): 31-53, 2013

      39 정재기,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청소년의 컴퓨터 이용실태: 생활시간 자료를 바탕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4 (24): 51-78, 2007

      40 방그린,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행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41 강선경,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청소년들의 인터넷 이용 및 학습 행태 비교: 2014년 생활시간조사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생명문화연구소 48 : 335-374, 2018

      42 박창남,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2) : 281-303, 2005

      43 장갑수,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유형이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 가족기능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27 (27): 181-188, 2014

      44 박정윤, "부모 관련 변인이 청소년 자녀의 생활시간 사용에 미치는 영향" 2016

      45 전효정, "대학생의 인터넷중독에 따른 애착유형과 심리적 특성" 한국청소년학회 13 (13): 134-156, 2006

      46 송요셉, "다매체 환경에서 청소년의 미디어 활용 방식에 대한 FGI 연구: 성별과 환경적 요인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46 (46): 33-65, 2009

      47 전유석, "노인의 정보통신기술(ICT) 활용능력이 여가활동참여 및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48 전신현, "고등학생들의 인터넷사용 및 그 유형과 우울의 관계: 성별 차이의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학회 (31) : 153-173, 2012

      49 성욱준, "게임 셧다운(shutdown)제 정책이 청소년의 게임사용시간에 미치는 효과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30 (30): 233-256, 2014

      50 김광혁, "가족의 경제적 결핍과 구조적 결손, 이웃환경이 청소년기 아동의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19): 115-138, 2008

      51 구인회,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 : 가족구조와 가족소득, 빈곤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2 : 5-32, 2003

      52 허지정, "가구특성에 따른 여가시간 배분 및 여가장소 선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53 Bianchi, M. Suzanne, "What Did You Do Today? Children’s Use of Time, Family Composition, and The Acquisition of Social Capital" 59 : 332-334, 1997

      54 Griffiths, M, "Violent video games and aggress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4 (4): 203-212, 1999

      55 Bronfenbrenner, U.,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56 Coleman, J. S,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94 : 95-120, 1988

      57 Kelly, J. R., "Leisure" Prentice Hall 1996

      58 Becker, G. S., "Human Capital: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with Special References to Educa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3

      59 Bonke, Jens, "Family Investments in Children: Productivities, Preferences, and Parental Childcare" 1-13, 2009

      60 Brightbill, C. K., "Educating for leisure-centered living" John Wiley 1977

      61 Griffiths, M., "Does internet and computer addiction exist? Some case evidence" 1997

      62 배성만, "Data Mining을 이용한 아동 및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의 예측 요인 탐색" 한국청소년학회 21 (21): 259-278, 2014

      63 Young, K. S., "Caught in the Net: How to recognize the signs of internet adiction and a wining strategy for recovery" John Wiley & Sons Inc 1998

      64 Tokunaga, R. S., "An Evaluation of Two Characterization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blematic Internet Use, Time Spent Using the Internet, and Psychosocial Problems" 36 : 512-545, 2010

      65 Reay, Diane, "A Useful Extension of Broudieu’s Conceptual Framework? Emotional Capita1 as A Way of Understanding Mother’s Involvement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48 (48): 568-585, 2000

      66 한국콘텐츠진흥원, "2020 게임이용자 실태조사" 한국콘텐츠진흥원 2020

      67 통계청, "2019년 생활시간조사 지침서"

      68 통계청, "2019년 생활시간조사 결과" 2020

      69 문화체육관광부, "2019년 국민여가활동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019

      70 한국정보화진흥원, "2019 인터넷이용 실태조사" 한국정보화진흥원 2020

      71 한국콘텐츠진흥원, "2019 게임 과몰입 종합 실태조사" 한국콘텐츠진흥원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학교사회사업 -> 학교사회복지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9 1.89 2.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9 2.1 2.71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