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沿海州 韓人社會의 갈등과 鄭淳萬의 피살 = Factional Strife in Korean Society in Primorie, Russia and Jeong Soon-Man murder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순만(1876~1911)은 한말부터 망국에 이르는 시기에 국내는 물론 연해주에서 국권회복운동을 전개한 중요한 인물이다. 1906년 그는 이상설, 이동녕 등과 함께 망명하여 북간도에서 민족교육의 ...

      정순만(1876~1911)은 한말부터 망국에 이르는 시기에 국내는 물론 연해주에서 국권회복운동을 전개한 중요한 인물이다. 1906년 그는 이상설, 이동녕 등과 함께 망명하여 북간도에서 민족교육의 요람인 서전서숙을 건립하여 운영하다가, 헤이그 특사 파견 지원을 위해 블라디보스토크로 온 이래 사거할 때까지 연해주의 독립운동을 주도하였다. 그는 자금 모금을 통해 헤이그 특사 사행을 지원하였고, 海潮新聞을 창간하여 주간·주필·총무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는 논설을 통해 냉혹한 사회진화론적 국제질서를 이겨나가기 위해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그러나 국내에서 초빙해 온 장지연과 극심한 불화 관계가 조성된 것은 안타까운 일이었다.
      그는 공립협회에도 참여하여 국민회 지회장에 피선되는 등 미주 동포사회와 연계를 맺으며 민족운동을 전개하였으며, 뒤 이어 창간된 大東共報에도 주필로 참여하였다. 당시 정순만은 同義會라는 비밀결사에 안중근과 함께 참여하였는데, 이를 배경으로 안중근의거를 계획하고, 의거후에도 안중근의 변호에 힘을 쏟았다. 이는 그가 민족운동을 위해서는 대립되는 계몽운동과 무장투쟁을 병행할 수 있다는 독립운동 이념의 포용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연해주 한인사회의 분파와 파쟁은 조국 독립을 위한 그의 꿈을 접게 만들고 말았다. 그는 연해주에서 ‘정순만파’나 기호파(경성파)의 수장으로 성장하였으나, 자신이 연해주 한인사회로부터 신망을 잃었다고 여긴데다 민회에서 서북파에게 밀린 나머지 격정을 이기지 못하고 1910년 1월 23일 양성춘을 사살하는 ‘양성춘 사건’을 일으켰다. 이 사건은 우발적 상황에서 오발에 의해 발생한 사고였으나, 이를 둘러싸고 제기된 각종의 설은 복잡다기한 한인 사회의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 여파는 양성춘의 형 양덕춘과 미망인의 개인적 복수 참극을 일으켰고, 결국 출옥 후 의병투쟁 등 재기를 도모하던 정순만은 1911년 6월 21일 처참한 최후를 맞이하고 말았다.
      정순만의 36년 일생은 민족운동 시기의 양면성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즉, 국권회복을 다방면으로 모색한 모범적 측면과 아울러, 지역적 파쟁과 개인의 격정을 관용하지 못한 편협성은 반성하여 마땅한 것이다. 그는 민족운동 시기의 지역적 분파와 파쟁이 가져온 가해자요 피해자였다. 그러나 그의 죽음은 결국 연해주 한인사회의 반성과 단합을 촉구하여 권업회를 창립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적지 않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eong Soon-Man(1876~1911) is an important figure who led a movement to restore Korea’s national sovereignty in Primorie, Russia as well as Korea from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till national ruin. He went into exile into North Jiandao together wit...

      Jeong Soon-Man(1876~1911) is an important figure who led a movement to restore Korea’s national sovereignty in Primorie, Russia as well as Korea from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till national ruin. He went into exile into North Jiandao together with Sang-Seol Lee, Dong-Nyeong Lee and others in 1906, and established and managed Seojeonseossok(a school to educate Koreans abroad for the restor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and then le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Primorie till the last since he came to Vladivostok to support dispatching a special envoy to The Hague. He supported dispatching a special envoy to The Hague through fund raising and began publication of “Haejoshinmun(Haejo Newspaper)” and did his part as its chief manager, chief editor and manager. In his editorials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o overcome the grim international order, however, unfortunately a bitter feud with Ji-Yeon Jang who was invited to Vladivostok was bred.
      As he took part in Gongriphyeobhoi(a body established in San Francisco in 1905 for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and was elected branch chairman of Gookminhoi(Grand Korean’s National Assembly), he establishedties with the Korean communities in America and participated in the racial movement. After that, he worked for Daedonggongbo(a newspaper published by Korean National Assembly in Vladivostok) as the chief editor, too. As Soon-Man Jeong participated in a secret society “Dongeuihoi” together with An Jung-geun at that time, he planned the noble undertaking of An Jung-geun and did his best to defend him after the undertaking on this background. This shows us that his ideolog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embraced the two conflicting movements, that is, enlightenment movement and armed struggle for the racial movement.
      But the factional strife in Korean society in Primorie, Russia collapsed his dream for the independence of his fatherland. He grew into the head of Jeong Soon-Man faction or Geeho faction(or Gyeongseong faction), however, as he considered that he lost his confidence and popularity in Korean society in Primorie and he couldn’t restrain his passion driven by being overpowered by Seobook faction(Northwest faction), he caused the case of murdering Seong-Choon Yang on 23rd of January, 1910. Though the case was caused by an accidental shooting in an accidental situation, various views raised on his murder reflected the complicated situation of Korean society, however, in the aftermath of the incident, as Deok-Choon Yang, Seong-Choon Yang’s brother, and his widow avenged his death, Soon-Man Jeong who attempted to make a comeback after his coming out of prison met with a violent end on 21st of June, 1911.
      His 36 year life clearly shows the double-sideness of the time of the racial movement, that is, there was a model side seeking the recovery of national sovereignty in various fields, however, a factional strife based on the region and bigotry which didn’t tolerate a private passion should be reconsidered. He was the harmer as well as victim of the factional strife based on the region. But what is important is, as his death demanded the reflection and unity of Korean society in Primorie, it served as a momentum to establish Kwoneobhoi(a body for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정순만의 민족운동
      • 3. 연해주 한인사회의 갈등과 피살
      • 4. 맺음말
      • 참고문헌
      • 1. 머리말
      • 2. 정순만의 민족운동
      • 3. 연해주 한인사회의 갈등과 피살
      • 4.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영문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걸순, "李相卨의 民族運動과 後人 論贊"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12 : 2007

      2 이정식, "혁명가들의 항일회상" 민음사 1988

      3 반병률, "성재 이동휘 일대기" 범우사 1998

      4 韓圭茂, "상동청년회에 대한 연구, 1897~1914" 126 : 1990

      5 "방사겸평생일기"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6

      6 안형주, "박용만과 한인소년병학교" 지식산업사 2007

      7 박환, "러시아한인민족운동사" 탐구당 1995

      8 桂奉瑀, "꿈속의 꿈"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 : 1996

      9 韓圭茂, "韓國基督敎史硏究" 22 : 1998

      10 申世羅, "鄭淳萬의 생애와 민족운동" 한국근현대사학회 25 : 227-259, 2003

      1 박걸순, "李相卨의 民族運動과 後人 論贊"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12 : 2007

      2 이정식, "혁명가들의 항일회상" 민음사 1988

      3 반병률, "성재 이동휘 일대기" 범우사 1998

      4 韓圭茂, "상동청년회에 대한 연구, 1897~1914" 126 : 1990

      5 "방사겸평생일기"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6

      6 안형주, "박용만과 한인소년병학교" 지식산업사 2007

      7 박환, "러시아한인민족운동사" 탐구당 1995

      8 桂奉瑀, "꿈속의 꿈"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 : 1996

      9 韓圭茂, "韓國基督敎史硏究" 22 : 1998

      10 申世羅, "鄭淳萬의 생애와 민족운동" 한국근현대사학회 25 : 227-259, 2003

      11 趙東杰, "白農의 『海港日記』"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92

      12 "海潮新聞"

      13 張志淵, "海港日記 in : 抗日獨立運動家의 日記" 瑞文堂 1975

      14 "新韓民報"

      15 李薰玉, "張志淵의 변혁사상의 형성배경과 전개 in : 韋庵 張志淵의 思想과 活動" 민음사 1993

      16 島山安昌浩先生紀念事業會, "島山安昌浩全集" 2000

      17 朴敏泳, "大韓帝國期 義兵硏究" 한울 아카데미 1998

      18 "大東共報"

      19 尹炳奭, "增補 李相卨傳" 일조각 1998

      20 尹炳奭, "國外韓人社會와 民族運動" 일조각 1990

      21 "勸業新聞"

      22 박걸순, "儉隱 鄭淳萬의 民族運動 연구" 충북학연구소 2008

      23 Dae-Sook Suh, "The Writings of Henry Cu Kim" University of Hawaii 1987

      24 국사편찬위원회, "CD-ROM 한국독립운동사 3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2 1.442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