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역사전쟁을 성찰하며―정사(正史)·정통성(正統性)론의 함정 = Rethinking History Wars in South Ko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난 역사전쟁은 주로 역사교과서 문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왜 역사교과서였을까? 아직도 한국사회에는 은연중에 역사교과서를 국가적 차원의 공식적인 역사서술 또는 일종의 정사(正...

      지난 역사전쟁은 주로 역사교과서 문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왜 역사교과서였을까? 아직도 한국사회에는 은연중에 역사교과서를 국가적 차원의 공식적인 역사서술 또는 일종의 정사(正史) 같은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민주적이고 다원적인 사회로 갈수록 교과서의 기능과 역할은 절대화되기보다는 상대화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지난 역사전쟁의 과정에서 교과서는 더욱 절대적인 중요성을 부여받았으며, 나아가 국가 전체의 공식적인 역사서술로 오해되는 경향이 있었다. 단일한 국정역사교과서, 이른바 “올바른(正) 역사교과서”의 추진은 그 극단이었다. 이에 역사논쟁은 국가 정체성, 정통성 문제로 과잉 정치화, 이념화되었다. 친일/반일, 종북/반북의 이분법적 논리가 성행하고, 이승만·박정희 찬양론 대 악마론이 맞붙었다. 이는 역사논쟁에서 복합적이고 다원적인 역사인식의 실종을 가져왔고, 치열한 이념 논쟁 속에서 오히려 이념은 변질되거나 퇴행하였다. 시대착오적인 정사(正史)의 추구, 정통론적 역사인식이 중요한 원인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istory Wars in South Korea were mainly centered on the issue of history textbooks. Why was it a history textbook? Still, Korean society tends to regard history textbooks in the schools as official historical writings or authentic history(正史) ...

      The History Wars in South Korea were mainly centered on the issue of history textbooks. Why was it a history textbook? Still, Korean society tends to regard history textbooks in the schools as official historical writings or authentic history(正史) on a state level. Increasingly toward a democratic and pluralistic society, the function and role of textbooks tend to be relative rather than absolute. In the course of the past history wars, however, textbooks were given more absolute importance. The attempt by Park Geunhae government for a single state history textbook, the so-called “right history textbook”, was its extreme. History debates tended to be over-politicized and ideologicalized over the issue of national identity and state legitimacy. As a result, in the course of historical debate, historical perception has become narrower rather than expansive. The pursuit of anachronistic authentic history and orthodox recognition were important reas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춘, "한국의 우익, 한국의 자유주의자―상처받은 자유주의" (30) : 2001

      2 황운룡, "한국사연구에 있어 正史·野史의 위치" 15 : 1989

      3 남기학, "중국에 있어서의 역사인식의 전개―正史개념의 정립과 演變" (7) : 1983

      4 신승하, "중국사학사"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0

      5 김중락, "영국의 역사교육과 국가교육과정" 25 : 1999

      6 김정인, "역사전쟁, 과거를 해석하는 싸움" 책세상 2016

      7 김종준, "역사교육의 정치적 성격과 다양성 논의" 역사교육학회 (58) : 59-92, 2016

      8 김한종, "역사교과서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국가 이데올로기" 역사교육연구회 (131) : 103-129, 2014

      9 김태우, "역사교과서 이념논쟁과 학문의 위기 :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8종의 현대사 서술 비교" 한국역사연구회 (92) : 123-161, 2014

      10 방지원, "역사교과서 발행 제도의 세계적 추이에 비추어 본 최근 한국사 교과서 국정제 전환 시도의 부당성" 20 : 2014

      1 김동춘, "한국의 우익, 한국의 자유주의자―상처받은 자유주의" (30) : 2001

      2 황운룡, "한국사연구에 있어 正史·野史의 위치" 15 : 1989

      3 남기학, "중국에 있어서의 역사인식의 전개―正史개념의 정립과 演變" (7) : 1983

      4 신승하, "중국사학사"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0

      5 김중락, "영국의 역사교육과 국가교육과정" 25 : 1999

      6 김정인, "역사전쟁, 과거를 해석하는 싸움" 책세상 2016

      7 김종준, "역사교육의 정치적 성격과 다양성 논의" 역사교육학회 (58) : 59-92, 2016

      8 김한종, "역사교과서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국가 이데올로기" 역사교육연구회 (131) : 103-129, 2014

      9 김태우, "역사교과서 이념논쟁과 학문의 위기 :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8종의 현대사 서술 비교" 한국역사연구회 (92) : 123-161, 2014

      10 방지원, "역사교과서 발행 제도의 세계적 추이에 비추어 본 최근 한국사 교과서 국정제 전환 시도의 부당성" 20 : 2014

      11 지수걸, "역사교과서 국정화의 진상과 역사학계의 반성문 쓰기" 한국역사연구회 (109) : 1-25, 2018

      12 김태우, "역사교과서 국정화가 역사교육 현장에 미치는 문제점" (61) : 2015

      13 편집부,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 논리와 반대 의견을 기록한다" (13) : 2016

      14 윤상원, "식민지 인식의 새로운 접근을 위한 모색 - 2016~2017년 일제 식민지시기(1910~1945) 연구의 현황과 전망 -" 역사학회 (239) : 51-87, 2018

      15 염복규, "식민지 인식의 ‘비동시성의 동시성’과 극복을 위한 모색: 2014~2015 일제 식민지시기(1910~1945) 연구의 현황과 전망" 역사학회 (231) : 47-76, 2016

      16 린다 심콕스, "세계의 역사교육 논쟁" 푸른역사 2016

      17 앤서니 아블라스터, "서구 자유주의의 융성과 쇠퇴" 나남 2007

      18 허수, "새로운 역사인식과 방법론의 모색 - 일제 식민지 시기 연구의 현황과 전망 -" 역사학회 (223) : 55-88, 2014

      19 김기봉, "미국의 역사전쟁에 비춰보는 한국사교과서 논쟁" (90) : 2011

      20 김현숙, "미국의 교과서 발행 제도와 그 문제점" (35) : 2009

      21 김정욱, "미국 역사교과서 논쟁을 통해 본 교과서 발행제도의 문제: 한국의 역사교과서 논쟁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역사연구소 (84) : 225-260, 2015

      22 에드가 볼프름, "무기가 된 역사" 역사비평사 2007

      23 홍석률, "대안교과서'의 난감한 역설 ―현대사 서술 분석" 역사문제연구소 (83) : 335-349, 2008

      24 최갑수, "국가, 과거의 힘, 역사의 효용 - 이른바 '역사교과서 갈등'에 부쳐" 역사문제연구소 (85) : 14-26, 2008

      25 홍후조, "교과서 발행 구분 준거와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방안" 2014

      26 이동기, "공공역사: 개념, 역사, 전망" 한국독일사학회 (31) : 119-142, 2016

      27 이기훈, "경계 허물기와 가로지르기 –일제 식민지 시기 연구의 현황과 과제" 역사학회 (215) : 43-72, 2012

      28 山室信一, "日本における歷史認識の位相の歷史家の役割" 2018

      29 손세호, "『미국 역사 표준서』와 개정판을 둘러싼 논쟁" 한국아메리카학회 36 (36): 102-130, 2004

      30 이나미, "‘자유’의 추가인가, ‘민주’의 삭제인가―역사교과서의 자유민주주의 논쟁" (52) : 2013

      31 Hyatt, A. M. J., "Official Histrory in Canada" 1 : 1966

      32 Moses, A. Dirk, "Moving the Genocide Debate Beyond the History Wars" 43 (43): 2008

      33 Bluemenson, Martin, "Can Official History Be Honest History?" 1 : 1963

      34 전영욱, "8, 90년대 ‘진보적’ 한국사학계의 ‘올바른 역사인식’이라는 자기규정" 역사문제연구소 21 (21): 55-92, 2017

      35 김중락, "20세기 말, 21세기 초 영국 보수당의 역사교육정책과 역사전쟁" 영국사학회 (34) : 207-240, 2015

      36 최완기, "(批評論文) 歷史敎育에 있어서 敎科書 活用의 問題" 역사교육연구회 (84) :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5 1.637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