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읽기방식에 따른 초등학교 1, 3, 5학년의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 발달특성 = Reading fluency reading comprehension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1st, 3rd, and 5th grade students according to reading metho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8027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find out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reading fluency ability an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ccording to reading methods (oral reading and silent reading) with the childre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s the target...


      This study intended to find out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reading fluency ability an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ccording to reading methods (oral reading and silent reading) with the childre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s the targets.
      Study subjects were total of 48 children including 17 1st grade students, 16 3rd grade students, and 15 5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within Gyeonggi region. Total of 4 texts were selected as study tools including 2 narrative texts and 2 expository texts from ‘Korean Language Reading Book 3, Story and Descriptive Disclosure' (Kyeong Hee, Jeong. et. al, 2017). Reading methods were divided to silent reading and oral reading to study reading fluency and children were asked to answer to reading comprehension assessment questions. Questions types were divided to literal comprehension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and were composed of total of 24 questions including 4 literal comprehension questions and 2 inferential comprehension questions for each tes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grade gets higher, reading fluency capability increased, and ha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st grade and 5th grade groups and 3rd grade and 5th grade groups. According to reading methods, it showed higher capability in silent reading than oral reading. In oral readin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st grade and 5th grade groups and 3rd grade and 5th grade groups, and in silent readin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st grade and 5th grade groups. But no interaction effect was shown between groups and reading methods.
      Second, as the grade gets higher, reading comprehension capability increased,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st grade and 3rd grade groups and 1st grade and 5th grade groups. According to reading methods, it showed higher capability in oral reading than silent reading. In oral reading and silent readin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st grade and 3rd grade groups and 1st grade and 5th grade groups, but no interaction effect was shown between groups and reading methods.
      As a result of this study,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capability was found to develop as grade increases, and reading comprehension capability was found to be higher in oral reading than silent reading. Such result implies that consideration for oral reading is necessary during the teaching of reading comprehension not just in low grade but also in high grade in elementary schoo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읽기방식(음독 및 묵독)에 따른 읽기유창성 능력과 읽기이해 능력의 발달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 지역 내 초등학교에 재학 중...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읽기방식(음독 및 묵독)에 따른 읽기유창성 능력과 읽기이해 능력의 발달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 지역 내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17명, 3학년 16명, 5학년 15명으로 총 48명이었다. 연구도구는 ‘한국어 해독해 3권 이야기와 설명 담화 독해’(정경희 등, 2017)에서 이야기글 2개, 설명글 2개 총 4개의 텍스트를 선정하였다. 읽기방식을 묵독과 음독으로 나누어 읽도록 하여 읽기유창성을 살펴보고, 읽기이해 평가문항에 답하도록 하였다. 질문 유형은 사실이해와 추론이해로 나누고, 각 텍스트별 사실이해 4문항, 추론이해 2문항씩, 총 2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읽기유창성 수행력이 높아졌으며, 1학년과 5학년, 3학년과 5학년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읽기방식에 따라서는 음독보다 묵독에서 더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음독에서는 1학년과 5학년, 3학년과 5학년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묵독에서는 1학년과 5학년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집단과 읽기방식 간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읽기이해 수행력이 높아졌으며, 1학년과 3학년, 1학년과 5학년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읽기방식에 따라서는 묵독보다 음독에서 더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음독 및 묵독에서 1학년과 3학년, 1학년과 5학년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집단과 읽기방식 간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 능력이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발달하며 묵독보다는 음독에서 읽기이해 수행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저학년뿐만 아니라 고학년에서도 읽기이해 지도 시 음독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5
      • 3. 제한점 5
      • 4. 용어의 정리 6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5
      • 3. 제한점 5
      • 4. 용어의 정리 6
      • Ⅱ. 이론적 배경 8
      • 1. 읽기발달 8
      • 2. 읽기유창성의 발달 10
      • 3. 읽기이해 14
      • Ⅲ. 연구방법 17
      • 1. 연구대상 17
      • 2. 연구도구 17
      • 3. 연구절차 21
      • 4. 자료분석 23
      • 5. 신뢰도 24
      • Ⅳ. 결과 논의 25
      • 1. 읽기방식에 따른 학년별 읽기유창성 능력 비교 25
      • 2. 읽기방식에 따른 학년별 읽기이해 능력 비교 30
      • V. 결론 및 제언 35
      • 참고문헌 37
      • ABSTRACT 44
      • 부 록 4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