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다문화가정 유아와 한국어 교사의 상호작용 지원 전략 연구 = Interactive Support Strategies for Multicultural Children and Korean Language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593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유아와 한국어 교사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지원 전략을 연구하는 데 있다. 유아기의 언어 발달은 주변 환경과의 활발한 상호작용으로 이루이지며, 유아의 주변 환경 중에서 언어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주 양육자인 어머니를 들 수 있다. 다문화가정 유아는 외국인 어머니의 한국어 실력 부족으로 인한 충분한 언어적 자극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다문화가정 유아가 처한 환경을 고려하고 언어 발달 지연을 방지하며, 언어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다문화가정 유아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한국어 교사는 유아에게 충분하고 올바른 언어적 자극을 제공하여 언어 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데, 이는 교사와 유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가능하다. 수업 내에서 교사와 유아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교사가 사용하는 지원 전략의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수업의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에 나타난 지원 전략을 연구하기 위하여 다문화 센터 소속의 한국어 교사와 만 3, 4, 5세 다문화가정 유아의 40분 수업 총 10회를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다문화가정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수업에 나타난 상호작용 지원 전략은 활동의 목표나 성격, 상황마다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분석 기준으로 삼은 지원 전략 항목 대부분을 수업에서 관찰할 수 있었고, 교사는 상황에 따라 한 가지 전략 혹은 두 가지 이상의 전략을 복합적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관찰한 수업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난 항목은 교사 모델링 보이기, 요청하기, 반복하기 전략이었고, 관찰할 수 없었던 항목은 활동 단순화하기, 과제 세분화하기, 선호도 활용하기였다. 또한 교사마다 선호하고 사용하는 지원 전략 항목이 다양했지만, 교사가 사용하는 지원 전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유아의 반응이었다.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은 증가하고 있는 데 반해 학령 전기 유아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분야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유아와 한국어 교사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지원 전략을 연구하는 데 있다. 유아기의 언어 발달은 주변 환경과의 활발한 상호작용으로 이루이지며, 유아의 ...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유아와 한국어 교사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지원 전략을 연구하는 데 있다. 유아기의 언어 발달은 주변 환경과의 활발한 상호작용으로 이루이지며, 유아의 주변 환경 중에서 언어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주 양육자인 어머니를 들 수 있다. 다문화가정 유아는 외국인 어머니의 한국어 실력 부족으로 인한 충분한 언어적 자극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다문화가정 유아가 처한 환경을 고려하고 언어 발달 지연을 방지하며, 언어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다문화가정 유아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한국어 교사는 유아에게 충분하고 올바른 언어적 자극을 제공하여 언어 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데, 이는 교사와 유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가능하다. 수업 내에서 교사와 유아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교사가 사용하는 지원 전략의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수업의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에 나타난 지원 전략을 연구하기 위하여 다문화 센터 소속의 한국어 교사와 만 3, 4, 5세 다문화가정 유아의 40분 수업 총 10회를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다문화가정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수업에 나타난 상호작용 지원 전략은 활동의 목표나 성격, 상황마다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분석 기준으로 삼은 지원 전략 항목 대부분을 수업에서 관찰할 수 있었고, 교사는 상황에 따라 한 가지 전략 혹은 두 가지 이상의 전략을 복합적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관찰한 수업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난 항목은 교사 모델링 보이기, 요청하기, 반복하기 전략이었고, 관찰할 수 없었던 항목은 활동 단순화하기, 과제 세분화하기, 선호도 활용하기였다. 또한 교사마다 선호하고 사용하는 지원 전략 항목이 다양했지만, 교사가 사용하는 지원 전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유아의 반응이었다.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은 증가하고 있는 데 반해 학령 전기 유아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분야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다문화가정 유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support strategies which are used in interaction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Korean language teachers. Learning languages in early childhood occurs through active inter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Mother is often the main and the most influential source of language development for children. However,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re unable to receive sufficient Korean language input from their mothers whose Korean ability is often insufficient. The important role of a Korean language teacher is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nd prevent such impediments from occurring. Korean language teachers should provide the children with sufficient and accurate stimulus to accelerate their language development. This process is possible only through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children. It is important for the teachers to use support strategies that will help them maintain active interaction between themselves and the children.
      Ten 40-minute Korean language classes with a Korean teacher and 3, 4, 5-year-old children were observed and analyzed in order to study support strategies for interac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multicultural children.
      Various interactive support strategies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to multicultural children have been used depending on goals and nature of the activity or the situation. Most of the analyzed strategies have been used in real classroom environment. The teachers used one or even multiple strategi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most common strategies were modeling, requesting and repeating. Strategies such as activity simplification, task fragmentation or preferential application were not used. Although each individual teacher had different preferences regarding various support strategies, the child's reaction to those strategies was still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ciding on which strategy to use.
      Yet, the current state of studies in the field is still very unsatisfactory. It is hoped that more studies on the subject will be actively conducted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support strategies which are used in interaction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Korean language teachers. Learning languages in early childhood occurs through active inter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Mo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support strategies which are used in interaction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Korean language teachers. Learning languages in early childhood occurs through active inter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Mother is often the main and the most influential source of language development for children. However,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re unable to receive sufficient Korean language input from their mothers whose Korean ability is often insufficient. The important role of a Korean language teacher is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nd prevent such impediments from occurring. Korean language teachers should provide the children with sufficient and accurate stimulus to accelerate their language development. This process is possible only through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children. It is important for the teachers to use support strategies that will help them maintain active interaction between themselves and the children.
      Ten 40-minute Korean language classes with a Korean teacher and 3, 4, 5-year-old children were observed and analyzed in order to study support strategies for interac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multicultural children.
      Various interactive support strategies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to multicultural children have been used depending on goals and nature of the activity or the situation. Most of the analyzed strategies have been used in real classroom environment. The teachers used one or even multiple strategi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most common strategies were modeling, requesting and repeating. Strategies such as activity simplification, task fragmentation or preferential application were not used. Although each individual teacher had different preferences regarding various support strategies, the child's reaction to those strategies was still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ciding on which strategy to use.
      Yet, the current state of studies in the field is still very unsatisfactory. It is hoped that more studies on the subject will be actively conducted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1
      •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1.2 선행 연구 7
      • 1.2.1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 발달에 대한 연구 7
      • 1.2.2 다문화가정 유아의 상호작용에 관련된 연구 10
      • 1. 서 론 1
      •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1.2 선행 연구 7
      • 1.2.1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 발달에 대한 연구 7
      • 1.2.2 다문화가정 유아의 상호작용에 관련된 연구 10
      • 1.3 연구 방법 12
      • 2. 이론적 배경 14
      • 2.1 언어 습득과 상호작용 14
      • 2.1.1 구성주의 이론 14
      • 2.1.2 언어 습득에서 상호작용의 중요성 17
      • 2.2 유아의 언어 발달 18
      • 2.2.1 유아의 언어 발달 특성 19
      • 2.2.2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 발달 실태 21
      • 2.3 상호작용의 유형과 지원 전략 22
      • 3.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상호작용 지원 전략 26
      • 3.1 다문화가정 유아 한국어 교재의 교사용 지도서 26
      • 3.1.1 교사용 지도서의 개요 26
      • 3.1.2 교사용 지도서의 구성 30
      • 3.2 교사용 지도서의 상호작용 지원 전략 항목 37
      • 3.3 교수-학습 활동에 나타난 상호작용 지원 전략 42
      • 3.3.1 도입 단계에 나타난 상호작용 지원 전략 42
      • 3.3.2 전개 단계에 나타난 상호작용 지원 전략 45
      • 3.3.3 마무리 단계에 나타난 상호작용 지원 전략 51
      • 4. 다문화가정 유아 대상 한국어 수업의 상호작용 지원 전략 54
      • 4.1 분석 대상 및 방법 54
      • 4.2 수업에 나타난 상호작용 지원 전략 57
      • 4.2.1 관심 끌기 57
      • 4.2.2 사전 경험 유도하기 59
      • 4.2.3 교사 모델링 보이기 62
      • 4.2.4 요청하기 67
      • 4.2.5 반복하기 70
      • 4.2.6 역할 부여하기 74
      • 4.2.7 명명하기 77
      • 4.2.8 시각적 단서 제시하기 80
      • 4.2.9 복합적으로 나타난 지원 전략 82
      • 5. 결론 및 제언 88
      • 참고문헌 90
      • 영문초록 95
      • 국문초록 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