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윤자, "후행모음의 피치를 고려한 한국어 평음, 경음, 격음의 인지 실험" 우리말학회 (27) : 73-94, 2010
2 배주채, "한국어의 발음" 삼경문화사 2013
3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한국어교육학사전" 도서출판하우 2014
4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1" 집문당 2015
5 초미희, "한국 EFL 학생들의 영어철자 인지와 발화의 관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1 (11): 183-190, 2017
6 김미진, "프랑스어 화자의 한국어 파찰음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2
7 신승용, "표기 오류와 발음의 상관성 고찰 ― 한국어 L2 학습자를 대상으로 ―" 우리말학회 (52) : 161-177, 2018
8 정효정,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장애음 청취와 조음 특성 연구 : Kalvin과 Praat를 활용한 음성 실험을 바탕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2
9 김주희,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폐쇄음 발음에 대한 음향 음성학적 연구" 한양대학교 2015
10 노미숙,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파찰음 발음 교육 방안 연구" 5 (5): 63-88, 2011
1 정윤자, "후행모음의 피치를 고려한 한국어 평음, 경음, 격음의 인지 실험" 우리말학회 (27) : 73-94, 2010
2 배주채, "한국어의 발음" 삼경문화사 2013
3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한국어교육학사전" 도서출판하우 2014
4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1" 집문당 2015
5 초미희, "한국 EFL 학생들의 영어철자 인지와 발화의 관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1 (11): 183-190, 2017
6 김미진, "프랑스어 화자의 한국어 파찰음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2
7 신승용, "표기 오류와 발음의 상관성 고찰 ― 한국어 L2 학습자를 대상으로 ―" 우리말학회 (52) : 161-177, 2018
8 정효정,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장애음 청취와 조음 특성 연구 : Kalvin과 Praat를 활용한 음성 실험을 바탕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2
9 김주희,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폐쇄음 발음에 대한 음향 음성학적 연구" 한양대학교 2015
10 노미숙,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파찰음 발음 교육 방안 연구" 5 (5): 63-88, 2011
11 백승현, "영어교육과 응용언어학 연구를 위한 SPSS의 활용" 전남대학교출판부 2012
12 김선해, "연령별·성별에 따른 한국인의 기본주파수 연구" 한림대학교 대학원 2008
13 성태제, "연구방법론" 학지사 2003
14 이선희, "소음구간 무게중심으로 측정한 보통화 설첨전·후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징" 한국중국언어학회 (45) : 305-323, 2013
15 임성숙, "불어권 캐나다인 한국어 습득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 양상" 61 : 59-95, 2007
16 김영옥,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자음 발음 교육 전략 : 실험음성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7 정영호, "발음 및 표기 오류의 음운 교육적 접근" 우리말글학회 48 : 1-27, 2010
18 김미옥, "맞춤법 오류에 관한 연구 - 재미교포를 중심으로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526 : 331-359, 2001
19 홍진혁, "라오스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두초성 장애음 발음 교육 연구" 이중언어학회 (64) : 279-326, 2016
20 Flege, J., "Phonological development: Models, research, and application. Timonium" York Press 565-604, 1992
21 Flege, J., "Native Italian speakers’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vowels" 106 (106): 2973-2987,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