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20세기 전반 한국의 춤 문화와 비평 = Korean Culture and Dance Criticism Early in the 199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473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시대를 불문하고 인류가 염원하는 아상은 언제나 지난한 과거가 아닌 찬란한 미래를 향하고 있다. 때문에 전통시대의 문화를 소극적이고 진부한 역사의 잔여물로 치부 해버리거나, 때론 이 조차 홀대하기 십상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우리는 20세기 전반 당시의 신문화 사조가 의미하는 새로움에 대해 어쩌면 막연한 혜택만을 기대하고 있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외세의 잦은 침탈과 시달림으로 행방이 묘연해진 전통 예술의 자취를 못내 아쉬워 할 수밖에 없었던 것 마저 당시 또 하나의 모습이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때문에 20세기 전반의 한국은 근대화의 도입과 함께 서민의 삶은 물론 사회문화 전반의 지형을 전환하는 중요한 시점이었음을 분명히 해야 할 것 이다.
      특히 역사적 암흑기이기도 했던 1920년대의 경우, 예술은 물론 그 비평을 기대하기란 결코 쉽지 않았을 것이다. 즉, 그러한 열악함에도 우리의 예술은 또 다른 새로움을 잉태하였고 이에 대한 평가의 작업도 조심스레 형성되기 시작하였다는 것 또한 근대유입기의 현실이었으니 말이다. 일제의 민족문화말살정책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예술분야는 상당한 발전을 꾀한 시기였으며 이에 비평가들의 출현과 함께 춤 비평작업의 역사도 시작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00년대 전반의 한국의 문화와 춤 비평의 탄생을 되짚어보고, 이는 한국의 춤 비평에 있어서 어떠한 태생적 근간이 되었는가에 대해 유추해 보는 계기를 마련코자 한다. 역사의 완성이란 과거도 현재도 아닌 바로 미래의 몫이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과거의 사태를 파악하고 현재를 통찰할 수 있어야 할 것이며 이것이 곧 미래를 도약하기 위한 또 하나의 기반이 될 것이다.
      번역하기

      시대를 불문하고 인류가 염원하는 아상은 언제나 지난한 과거가 아닌 찬란한 미래를 향하고 있다. 때문에 전통시대의 문화를 소극적이고 진부한 역사의 잔여물로 치부 해버리거나, 때론 이 ...

      시대를 불문하고 인류가 염원하는 아상은 언제나 지난한 과거가 아닌 찬란한 미래를 향하고 있다. 때문에 전통시대의 문화를 소극적이고 진부한 역사의 잔여물로 치부 해버리거나, 때론 이 조차 홀대하기 십상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우리는 20세기 전반 당시의 신문화 사조가 의미하는 새로움에 대해 어쩌면 막연한 혜택만을 기대하고 있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외세의 잦은 침탈과 시달림으로 행방이 묘연해진 전통 예술의 자취를 못내 아쉬워 할 수밖에 없었던 것 마저 당시 또 하나의 모습이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때문에 20세기 전반의 한국은 근대화의 도입과 함께 서민의 삶은 물론 사회문화 전반의 지형을 전환하는 중요한 시점이었음을 분명히 해야 할 것 이다.
      특히 역사적 암흑기이기도 했던 1920년대의 경우, 예술은 물론 그 비평을 기대하기란 결코 쉽지 않았을 것이다. 즉, 그러한 열악함에도 우리의 예술은 또 다른 새로움을 잉태하였고 이에 대한 평가의 작업도 조심스레 형성되기 시작하였다는 것 또한 근대유입기의 현실이었으니 말이다. 일제의 민족문화말살정책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예술분야는 상당한 발전을 꾀한 시기였으며 이에 비평가들의 출현과 함께 춤 비평작업의 역사도 시작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00년대 전반의 한국의 문화와 춤 비평의 탄생을 되짚어보고, 이는 한국의 춤 비평에 있어서 어떠한 태생적 근간이 되었는가에 대해 유추해 보는 계기를 마련코자 한다. 역사의 완성이란 과거도 현재도 아닌 바로 미래의 몫이라 생각된다. 그러므로 과거의 사태를 파악하고 현재를 통찰할 수 있어야 할 것이며 이것이 곧 미래를 도약하기 위한 또 하나의 기반이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arly in the 1990s, the culture of traditional era was likely to be regarded as the passive and old-fashioned remains of the out-dated history due to the aspiration for the new by the age. Thus, in the early 1990s, the new meant by the new-culture trend then may have represented ever-lasting advantages. It was the reality of the modernity introducing age that Korean culture was pregnant of another newness and criteria for evaluation of such newness was also getting formed carefully.
      Considering this background, in this study, I looked back over the birth of Korean culture and dance criticism in the early 1900s. Also, I tried to analogize the impact such Korean culture had on the birth of Korean dance criticism. The Korean political and cultural situation accepting the modern era then was projected into arts and reflected as it was into new literature, drama, music and dance. The art criticism also could not avoid such reflection. Such matter as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culture should be one of the issues that continuously emerged also in the dance art and criticism on the extension of the previous age. In this regard,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is to prescribe the character of the very next age. Completion of history is thought to belong to neither the past nor the present but to the future. For, understanding the past and having an insight into the present are another basis for leaping toward the future.
      Along with the annexation of the Great Korean Empire by Japan, the hegemony in the 1900s was transferred to Japan. Especially during the cultural domination era by Japanese, the 1920s in which Japanese culture was massively introduced, Korean race obliteration by Japanese started to systematically eat up the Korean culture through policy implementation. The liberation space assessed as the stagnant or confusion period was the enlightening period to inspire the national spirit through special history based political situations and cultural activities. Therefore, such issue of the national spirit inspiration as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culture could not help but continuously appearing in dance art and criticism on the extension of the previous age.
      The Korean dance criticism first introduced by Dong-Hwan Kim in 1927 stretched its vein to Ee-Moon Kang, Dong-Hwa Cho, Gyoung-Ok Kim and etc through the liberation period till the beginning of 1950s. That is, a new critical culture began but the criticism then did not get up to the earnest critique level because there was no critical journal yet and most of the critique writings were published through daily papers instead of criticism specialized journals that did not exist yet then. It should be, however, noticed that criticism hardly seen in the previous era took its place in that era, so that the relation between creation and criticism was created and then, as a result, criticism was expected to be specialized as social consciousness of dance changed at that time.
      번역하기

      Early in the 1990s, the culture of traditional era was likely to be regarded as the passive and old-fashioned remains of the out-dated history due to the aspiration for the new by the age. Thus, in the early 1990s, the new meant by the new-culture tre...

      Early in the 1990s, the culture of traditional era was likely to be regarded as the passive and old-fashioned remains of the out-dated history due to the aspiration for the new by the age. Thus, in the early 1990s, the new meant by the new-culture trend then may have represented ever-lasting advantages. It was the reality of the modernity introducing age that Korean culture was pregnant of another newness and criteria for evaluation of such newness was also getting formed carefully.
      Considering this background, in this study, I looked back over the birth of Korean culture and dance criticism in the early 1900s. Also, I tried to analogize the impact such Korean culture had on the birth of Korean dance criticism. The Korean political and cultural situation accepting the modern era then was projected into arts and reflected as it was into new literature, drama, music and dance. The art criticism also could not avoid such reflection. Such matter as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culture should be one of the issues that continuously emerged also in the dance art and criticism on the extension of the previous age. In this regard,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is to prescribe the character of the very next age. Completion of history is thought to belong to neither the past nor the present but to the future. For, understanding the past and having an insight into the present are another basis for leaping toward the future.
      Along with the annexation of the Great Korean Empire by Japan, the hegemony in the 1900s was transferred to Japan. Especially during the cultural domination era by Japanese, the 1920s in which Japanese culture was massively introduced, Korean race obliteration by Japanese started to systematically eat up the Korean culture through policy implementation. The liberation space assessed as the stagnant or confusion period was the enlightening period to inspire the national spirit through special history based political situations and cultural activities. Therefore, such issue of the national spirit inspiration as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culture could not help but continuously appearing in dance art and criticism on the extension of the previous age.
      The Korean dance criticism first introduced by Dong-Hwan Kim in 1927 stretched its vein to Ee-Moon Kang, Dong-Hwa Cho, Gyoung-Ok Kim and etc through the liberation period till the beginning of 1950s. That is, a new critical culture began but the criticism then did not get up to the earnest critique level because there was no critical journal yet and most of the critique writings were published through daily papers instead of criticism specialized journals that did not exist yet then. It should be, however, noticed that criticism hardly seen in the previous era took its place in that era, so that the relation between creation and criticism was created and then, as a result, criticism was expected to be specialized as social consciousness of dance changed at that ti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며
      • Ⅱ. 20세기 전반 한국의 춤 문화
      • 1. 1920년대 前·後의 시대적 배경
      • 2. 해방공간 및 전쟁기의 시대적 배경
      • Ⅲ. 20세기 전반 한국의 춤 비평
      • Ⅰ. 들어가며
      • Ⅱ. 20세기 전반 한국의 춤 문화
      • 1. 1920년대 前·後의 시대적 배경
      • 2. 해방공간 및 전쟁기의 시대적 배경
      • Ⅲ. 20세기 전반 한국의 춤 비평
      • 1. 초기 무용비평의 흐름(1920~1945년 해방)
      • 2. 해방이후, 1950년대 무용비평의 흐름
      • Ⅳ. 글을 마치며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라, "해방공간기의 춤" (3) : 13-19, 2006

      2 장을병, "한국의 민족주의와 민주주의, 韓國民主主義의 理想과 現實" 대영문화사 1990

      3 김윤식, "한국문화예술총서2: 우리음악100년" 현암사 2001

      4 민현주, "한국 무용비평의 흐름과 평문에 관한 분석" 경희대학교 2000

      5 김혜니, "한국 근현대 비평문학사 연구" 월인 2003

      6 조동화, "한국 舞踊批評의 주변" (6) : 18-32, 1981

      7 강혜숙, "우리 춤이 나아가야 할 길,민족예술의 이해" 민족문화사 1990

      8 박용구, "오늘의 초상" 일지사 1989

      9 김경옥, "예술평론: 문예연감"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5

      10 김채현, "방일영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총서6 우리무용100년" 현암사 2001

      1 김혜라, "해방공간기의 춤" (3) : 13-19, 2006

      2 장을병, "한국의 민족주의와 민주주의, 韓國民主主義의 理想과 現實" 대영문화사 1990

      3 김윤식, "한국문화예술총서2: 우리음악100년" 현암사 2001

      4 민현주, "한국 무용비평의 흐름과 평문에 관한 분석" 경희대학교 2000

      5 김혜니, "한국 근현대 비평문학사 연구" 월인 2003

      6 조동화, "한국 舞踊批評의 주변" (6) : 18-32, 1981

      7 강혜숙, "우리 춤이 나아가야 할 길,민족예술의 이해" 민족문화사 1990

      8 박용구, "오늘의 초상" 일지사 1989

      9 김경옥, "예술평론: 문예연감"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5

      10 김채현, "방일영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총서6 우리무용100년" 현암사 2001

      11 양재혁, "민족주의의 이상과 현실, 韓國民主主義의 理想과 現實" 대영문화사 1989

      12 조원경, "무용예술" 해문사 1967

      13 심정민, "무용비평이란 무엇인가" 삼신각 2004

      14 박자은, "무용 비평가 강이문의 예술관과 비평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8

      15 김태원, "근·현대 한국 춤 비평의 사적 흐름과 특성: 아시아 춤의 근대화와 한국의 근대춤" 민속원 2005

      16 차기벽, "民族主義 原論" 한길사 1989

      17 박자은, "朝鮮時代 宮中呈才와 禮樂思想" 26 (26): 75-101, 2008

      18 마복일, "日帝下 무용평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84

      19 김현정, "1990년대 한국무용 비평의 내용분석" 이화여자대학교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3-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Journal of Korea Dance -> The Journal of Korean Dance KCI등재후보
      2013-08-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Dance Research Association -> The Society of Korean Dance Studies KCI등재후보
      2013-06-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무용연구회 -> 한국무용연구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Korean Dance Studies -> Korean Dance Research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7 0.789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