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글쓰기 방식이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발달과 함께 지속적으로 변하고 있으며, 그 절차도 이론과 실제가 다른 모순된 현상이 발견되고 있지만, 변화된 글쓰기 환경 및 절차를 지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63884
2015
Korean
300
학술저널
54-67(1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글쓰기 방식이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발달과 함께 지속적으로 변하고 있으며, 그 절차도 이론과 실제가 다른 모순된 현상이 발견되고 있지만, 변화된 글쓰기 환경 및 절차를 지원...
본 연구는 글쓰기 방식이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발달과 함께 지속적으로 변하고 있으며, 그 절차도 이론과 실제가 다른 모순된 현상이 발견되고 있지만, 변화된 글쓰기 환경 및 절차를 지원하기 위한 공학적 도구는 부재하다는 문제 상황에서 비롯되었다. 글쓰기의 계획부터 쓰기까지의 절차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글쓰기 도구의 필요성과 요구되는 기능이 무엇인지 모색하고자 1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글 쓰는 과정 중 경시되는 ‘자료수집, 계획세우기, 개요작성’의 단계를 시각적인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실험을 설계하여 그 과정을 사고 구술법(Think Aloud) 을 통해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글감 분류’의 세 가지 유형과 ‘글의 구조’ 세 가지 유형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글을 쓰기위해 생각을 정리하고 조직화하는 글쓰기 인지 과정을 지원하는 리믹스 글쓰기 도구의 기능과 시각화 방식을 제언하였다. 리믹스 글쓰기 도구는 자료와 생각을 효과적으로 정리하는 기능적 지원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체계적인 글쓰기를 배우기 시작하거나 글쓰기에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들이 글쓰기의 인지 절차를 반영한 실제적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글의 구조화 절차를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학생의 창의력 증진을 위한 첨단 교수 학습-환경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고찰: ALC (Active Learning Classroom)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보편적 학습설계(UDL)를 통한 교실 내 인성교육의 실천
꿈과 끼 함양을 위한 자유학기제 학생 선택프로그램에 대한 모형 연구
무한상상실의 효율적인 활용 및 교수학습 지원 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