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中國歷史地圖集』의 編纂過程과 疆域認識 = The Process of Compilation on <The Historical Atlas of China> and Perception of Terri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617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淸代 역대 황제들은 내중국과 외중국을 통합한 ‘滿漢㊀家’ ‘四海㊀家’ 등의 이념을 부르짖었고, 그 이념은 『皇輿全覽圖』에도 나타나고 있었다. 반면漢人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中國’이라고 하면 ‘內中國’만을 지칭하는경우가 많았는데, 이 점은 淸末 楊守敬의 『歷代輿地圖』에서도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淸末民初時期의 漢人 중심주의가 근본적으로 변화하여몽골, 만주, 티베트, 신강까지를 포함하고 있는 외중국까지 확장되는 계기는,바로 외부의 충격, 즉 1911년 몽골공화국의 독립선언과 더 나아가서는 특히1931년 918사변을 비롯한 일본 제국주의의 만주 침략이었다. 이와 아울러서 일본 학자들은 만주는 원래 중국의 것이 아니라는 입장을공개적으로 천명하였는데, 이러한 입장은 중국 역사학자들에게 실로 커다란충격으로 다가오게 되었다. 1949년 신중국 성립 이후, 譚其驤을 중심으로 하여 歷史地圖集 작업이 개시되었는데, 이들은 과연 어디까지 ‘역사상 중국’의강역인가에 대해서 크게 고심하지 않을 수 밖에 없었다.
      이 역사지도집은 文革이라는 우여곡절을 거친 뒤에, 다시 1969년 프로젝트가 재개되었고, 1975년 초고가 완성, 1982년부터 1권이 출간되어, 1987년에야 전8권이 모두 출간되기에 이르렀고, 그 사이에 역시 譚其驤의 발의에따라 ‘역사상의 중국’은 淸朝, 특히 1750년부터 1840년대까지의 淸朝 전성기를 기준으로 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 청조 최대 판도에 포함된 모든 지역은‘역사상의 중국’의 일부로 간주되었고, 土司나 土官, 羈縻州 등도 일일이 판별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모두 ‘역사상의 중국’으로 편입되었다.
      번역하기

      淸代 역대 황제들은 내중국과 외중국을 통합한 ‘滿漢㊀家’ ‘四海㊀家’ 등의 이념을 부르짖었고, 그 이념은 『皇輿全覽圖』에도 나타나고 있었다. 반면漢人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여전...

      淸代 역대 황제들은 내중국과 외중국을 통합한 ‘滿漢㊀家’ ‘四海㊀家’ 등의 이념을 부르짖었고, 그 이념은 『皇輿全覽圖』에도 나타나고 있었다. 반면漢人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中國’이라고 하면 ‘內中國’만을 지칭하는경우가 많았는데, 이 점은 淸末 楊守敬의 『歷代輿地圖』에서도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淸末民初時期의 漢人 중심주의가 근본적으로 변화하여몽골, 만주, 티베트, 신강까지를 포함하고 있는 외중국까지 확장되는 계기는,바로 외부의 충격, 즉 1911년 몽골공화국의 독립선언과 더 나아가서는 특히1931년 918사변을 비롯한 일본 제국주의의 만주 침략이었다. 이와 아울러서 일본 학자들은 만주는 원래 중국의 것이 아니라는 입장을공개적으로 천명하였는데, 이러한 입장은 중국 역사학자들에게 실로 커다란충격으로 다가오게 되었다. 1949년 신중국 성립 이후, 譚其驤을 중심으로 하여 歷史地圖集 작업이 개시되었는데, 이들은 과연 어디까지 ‘역사상 중국’의강역인가에 대해서 크게 고심하지 않을 수 밖에 없었다.
      이 역사지도집은 文革이라는 우여곡절을 거친 뒤에, 다시 1969년 프로젝트가 재개되었고, 1975년 초고가 완성, 1982년부터 1권이 출간되어, 1987년에야 전8권이 모두 출간되기에 이르렀고, 그 사이에 역시 譚其驤의 발의에따라 ‘역사상의 중국’은 淸朝, 특히 1750년부터 1840년대까지의 淸朝 전성기를 기준으로 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 청조 최대 판도에 포함된 모든 지역은‘역사상의 중국’의 일부로 간주되었고, 土司나 土官, 羈縻州 등도 일일이 판별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모두 ‘역사상의 중국’으로 편입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mperors in Qing Dynasty advocated the unification of inner-and-outerChina with such an idea like “one family of Manchu-Han peoples”(滿漢㊀家) through Atlas of the Chinese Empire(皇輿全覽圖). Meanwhile, it isresearched that Han tribe intellects regarded China just with inner-Chinathrough Lidai yudi tu(Historical Atlas, 歷代輿地圖) of Yang Shoujing(楊守敬)in the late Qing Dynasty. Outer triggers such as Independence of MongolianPeople’s Republic in 1911 and Manchurian Incident by Japanese imperialismmade the perception of territory changed from Han-centrism to involvingouter-China.
      Further to this, Japanese scholars claimed that Manchuria is not of Chinain history. This claim made Chinese history scholars be shocked. Since newChina established in1949, work on the Historical Atlas got started with TanQixiang(譚其驤) and the scholars had to think deeply about the genuineterritory of ‘Historical China’.
      번역하기

      Emperors in Qing Dynasty advocated the unification of inner-and-outerChina with such an idea like “one family of Manchu-Han peoples”(滿漢㊀家) through Atlas of the Chinese Empire(皇輿全覽圖). Meanwhile, it isresearched that Han tribe inte...

      Emperors in Qing Dynasty advocated the unification of inner-and-outerChina with such an idea like “one family of Manchu-Han peoples”(滿漢㊀家) through Atlas of the Chinese Empire(皇輿全覽圖). Meanwhile, it isresearched that Han tribe intellects regarded China just with inner-Chinathrough Lidai yudi tu(Historical Atlas, 歷代輿地圖) of Yang Shoujing(楊守敬)in the late Qing Dynasty. Outer triggers such as Independence of MongolianPeople’s Republic in 1911 and Manchurian Incident by Japanese imperialismmade the perception of territory changed from Han-centrism to involvingouter-China.
      Further to this, Japanese scholars claimed that Manchuria is not of Chinain history. This claim made Chinese history scholars be shocked. Since newChina established in1949, work on the Historical Atlas got started with TanQixiang(譚其驤) and the scholars had to think deeply about the genuineterritory of ‘Historical Chin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崔晶姸, "理藩院考" 20‧21 : 1982

      2 彭明輝, "歷史地理學與現代中國史學" 東大圖書公司 1995

      3 白壽彛, "論歷史上祖國國土問題的處理"

      4 김한규, "티베트와 중국의 역사적 관계" 혜안 2003

      5 미야와키 준코, "최후의 몽골유목제국" 백산 2000

      6 구범진, "청나라, 키메라의 제국" 민음사 2012

      7 피터 C. 퍼듀, "중국의 서진-청(淸)의 중앙유라시아 정복사" 길 2012

      8 閔斗基, "중국근대사연구 – 신사층의 사상과 행동" 일조각 1973

      9 호리 도시카즈, "중국과 고대 동아시아 세계 – 중화적세계와 여러 민족들" 동국대학교출판부 2012

      10 김종박, "중국 역사교과서의 통일적 다민족 국가론" 동북아역사재단 2001

      1 崔晶姸, "理藩院考" 20‧21 : 1982

      2 彭明輝, "歷史地理學與現代中國史學" 東大圖書公司 1995

      3 白壽彛, "論歷史上祖國國土問題的處理"

      4 김한규, "티베트와 중국의 역사적 관계" 혜안 2003

      5 미야와키 준코, "최후의 몽골유목제국" 백산 2000

      6 구범진, "청나라, 키메라의 제국" 민음사 2012

      7 피터 C. 퍼듀, "중국의 서진-청(淸)의 중앙유라시아 정복사" 길 2012

      8 閔斗基, "중국근대사연구 – 신사층의 사상과 행동" 일조각 1973

      9 호리 도시카즈, "중국과 고대 동아시아 세계 – 중화적세계와 여러 민족들" 동국대학교출판부 2012

      10 김종박, "중국 역사교과서의 통일적 다민족 국가론" 동북아역사재단 2001

      11 이준갑, "중국 없는 중화" 2009

      12 사카모토 히로코, "중국 민족주의의 신화" 지식의 풍경 2006

      13 세오 다쓰히코, "장안은 어떻게 세계의 수도가 되었나" 황금가지 2006

      14 니시지마 사다오, "일본의 고대사인식 - ‘동아시아세계론’과 일본" 역사비평사 2008

      15 거자오광, "이 중국에 거하라" 글항아리 2012

      16 제임스 A. 밀워드, "신장의 역사 : 유라시아의 교차로" 사계절 2013

      17 오카다 히데히로, "세계사의 탄생" 황금가지 2002

      18 孫文, "삼민주의" 범우사 2000

      19 이영옥, "북방민족과 중원왕조의민족인식" 동북아역사재단 2009

      20 조너선 스펜스, "반역의 책" 이산 2004

      21 王柯, "민족과 국가 – 중국 다민족통일국가 사상의 계보" 동북아역사재단 2007

      22 마크 C. 엘리엇, "만주족의 청제국" 푸른역사 2009

      23 패멀라 카일 크로슬리, "만주족의 역사" 돌베개 2013

      24 이시바시 다카오, "대청제국 1616-1799" 휴머니스트 2009

      25 모테기 도시오, "국사의 신화를 넘어서" 휴머니스트 2004

      26 김한규, "고대 동아시아의 민족관계사에 대한 현대 중국의 사회주의적 이해" 1992

      27 譚其驤, "長水集" 人民出版社 2011

      28 王文楚, "譚其驤與中國歷史地圖集" 9 : 1995

      29 張杰, "試論淸前期的東北封禁" 1996

      30 田亮, "禹貢學會和禹貢半月刊" 3 : 1999

      31 胡運宏, "清末楊守敬及其歷代輿地圖考述" 4 : 2010

      32 片岡㊀忠, "淸朝新疆統治硏究" 雄山閣出版 1991

      33 浜下武志, "朝貢システムと近代アジア" 岩波書店 1997

      34 高儁, "明淸兩代全國和省區地圖集編制槪況" 5 (5): 1962

      35 武內房司, "明淸時代史の基本問題" 汲古書院 1997

      36 宮崎市定, "宮崎市定全集 卷3 「古代」" 岩波書店 1991

      37 김한규, "天下國家" 소나무 2005

      38 茂木敏夫, "変容する近代東アジアの国際秩序" 山川出版社 1997

      39 茂木敏夫, "地域の成り立ち" 山川出版社 2000

      40 若林幹夫, "地圖の想像力" 講談社 1995

      41 中見立夫, "周縁からの歴史" 東京大学出版会 1994

      42 江夏由樹, "周緣からの歷史" 東京大學出版會 1994

      43 西順藏編, "原典中國近代思想史" 岩波書店 1977

      44 이성규, "中華帝國의 팽창과 축소: 그 이념과 실제" 역사학회 (186) : 87-133, 2005

      45 吉開將人, "中國歷史地圖集 の論理 -歷史地理と疆域觀-" 36 : 2003

      46 譚其驤, "中國歷史地圖集"

      47 이인철, "中國統一的多民族國家의 歷史認識과 그에 대한 對應論理" 동북아역사재단 26 (26): 297-341, 2009

      48 萩原守, "中國法制史-基本資料の硏究" 東京大學出版會 1993

      49 渡邊信㊀郞, "中國古代の王權と天下秩序-日中比較史の視點から" 校倉書房 2003

      50 大島立子, "モンゴルの征服王朝" 大東出版社 1992

      51 吉開將人, "シリーズ 20世紀中國史2 - 近代性の構造" 東京大學出版會 2009

      52 조영래, "‘新중화주의’ 속의 ‘통일적다민족국가론’ : 20세기 중국통사 저술을 중심으로" 한중사회과학학회 7 (7): 301-328, 2009

      53 Paine, Sara., "The Sino-Japanese War of 1894-1895, Perceptions, Power and Prim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54 Farquhar, David, "Emperors as Bodhisttava in the Governance of the Ch’ing Empire" 38 : 1978

      55 Howland, Douglas, "Borders of Chinese Civilization: Geography and History at Empire’s End" Duke University Press Books 1996

      56 王柯, "20世紀中國の國家建設と「民族」" 東京大學出版會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59 1.72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