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Education policy in Japan and neoliberalism: focusing on the case of school choice = 일본 교육정책과 신자유주의: 학교 선택제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9476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84년 임시교육위원회의 설치 이후 지난 30여 년간 일본에서 추진된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에는 시장의 경쟁원리 도입, 단선제 학교 시스템의 도입, 학교선택제의 확대와 같은 정책들이 포함되어 있다. 신자유주의 개혁의 부정적 측면을 우려하는 입장에서는 이러한 개혁이 교육을 사회적 기본권이 아닌 소비자 주권으로 전환시켜 교육의 시장원리, 과다한 경쟁, 사회불평등의 제도화 등과 같은 부작용을 야기시켰다고 본다. 그 중 학부모에게 학교선택의 폭을 넓혀 더 많은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학생과 학부모에게 학교선택의 기회를 부여하며, 기존에 공교육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보려는 시도로 시작된 학교선택제의 확대는 전세계적으로 나타나는 대표적인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이라 할 수 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전 국민을 대상으로 무상 의무교육을 실시하며 세계에서 가장 평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하던 일본에서도 1997년 이후 일본의 지역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학교선택제를 실시하고 있다. 이는 공립학교간의 경쟁을 촉진하여 각 학교의 질적인 향상을 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중고등학교를 연계한 단선제 개혁과 맞물려 지역 내에서 명문 국·공립 단선제 학교로 진학하려는 학생과 그렇지 못한 학생들 사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선호하는 학교에 진학하려는 경쟁이 늘어남에 따라 사교육 시장이 확대되어 학생들의 학업 능력의 차이보다는 사회경제적 배경 차이에 따른 격차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는 교육의 질까지 보장하는 적극적인 의미의 평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하던 일본의 교육체제가 신자유주의의 도입과 함께 엘리트 중심의 불평등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체제로 구조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번역하기

      1984년 임시교육위원회의 설치 이후 지난 30여 년간 일본에서 추진된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에는 시장의 경쟁원리 도입, 단선제 학교 시스템의 도입, 학교선택제의 확대와 같은 정책들이 포함...

      1984년 임시교육위원회의 설치 이후 지난 30여 년간 일본에서 추진된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에는 시장의 경쟁원리 도입, 단선제 학교 시스템의 도입, 학교선택제의 확대와 같은 정책들이 포함되어 있다. 신자유주의 개혁의 부정적 측면을 우려하는 입장에서는 이러한 개혁이 교육을 사회적 기본권이 아닌 소비자 주권으로 전환시켜 교육의 시장원리, 과다한 경쟁, 사회불평등의 제도화 등과 같은 부작용을 야기시켰다고 본다. 그 중 학부모에게 학교선택의 폭을 넓혀 더 많은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학생과 학부모에게 학교선택의 기회를 부여하며, 기존에 공교육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보려는 시도로 시작된 학교선택제의 확대는 전세계적으로 나타나는 대표적인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이라 할 수 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전 국민을 대상으로 무상 의무교육을 실시하며 세계에서 가장 평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하던 일본에서도 1997년 이후 일본의 지역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학교선택제를 실시하고 있다. 이는 공립학교간의 경쟁을 촉진하여 각 학교의 질적인 향상을 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중고등학교를 연계한 단선제 개혁과 맞물려 지역 내에서 명문 국·공립 단선제 학교로 진학하려는 학생과 그렇지 못한 학생들 사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선호하는 학교에 진학하려는 경쟁이 늘어남에 따라 사교육 시장이 확대되어 학생들의 학업 능력의 차이보다는 사회경제적 배경 차이에 따른 격차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는 교육의 질까지 보장하는 적극적인 의미의 평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하던 일본의 교육체제가 신자유주의의 도입과 함께 엘리트 중심의 불평등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체제로 구조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Table of Contents
      • Abstract (English)
      • Table of Contents
      • List of Figures and Tables
      • 1. INTRODUCTION ............................................................................................ 1
      • Table of Contents
      • Abstract (English)
      • Table of Contents
      • List of Figures and Tables
      • 1. INTRODUCTION ............................................................................................ 1
      • 1.1 Purpose of the research .............................................................................................. 1
      • 1.2 Literature Review ...................................................................................................... 2
      • 2. EDUCATION POLICY IN JAPAN ............................................................. 11
      • 2.1 Education policy before World War Ⅱ ................................................................... 11
      • 2.2 Education policy after World War Ⅱ ..................................................................... 14
      • 2.3 The development of neoliberal education policy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temporary Board of Education in 1984 ............................................................................ 17
      • 2.3.1 Background of the adoption of neoliberal education policy. .................................. 17
      • 2.3.2 Current Japanese education system .............................................................................. 21
      • 2.3.3 The neoliberal education policies in Japan ................................................................. 24
      • 3. SCHOOL CHOICE ...................................................................................... 27
      • 3.1 The introduction of school choice .......................................................................... 27
      • 3.1.1 How school choice came into place ....................................................................... 28
      • 3.1.2 Suggestions for school choice ....................................................................................... 30
      • 3.1.3 Action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31
      • iv
      • 3.2 The spread of school choice ................................................................................... 38
      • 4. SCHOOL CHOICE AND INSTITUTIONALIZED INEQUALITY OF EDUCATION OPPORTUNITY ........................................................................ 40
      • 4.1 Increased competition, increased private education ................................................ 40
      • 4.2 Increased public privileged schools (single-track schools) ..................................... 47
      • 5. CONCLUSION ............................................................................................. 53
      • BIBLIOGRAPHY ............................................................................................... 56
      • 한글초록 .............................................................................................................. 6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