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각된 웰니스 프로그램과 안전보건경영활동 및 혁신행동의 관계 : Covid-19 상황에서 정서적 조직몰입과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Effects of Perceived Wellness Program and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on Employee Innovative Behaviors : via Affective Commitmen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during the Covid-19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7847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한 업무 및 근무 환경의 변화(예: 직장의 변화, 직원 상호 작용, 동기 부여)로 인해 직원의 혁신행동이 위협받고 있다. 혁신이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에게 경쟁 우위를 창출하고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기반 중의 하나임을 고려할 때, 직원들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선행 요소들을 보는 것은 직원들의 혁신행동을 장려하기 위해 필요한 절차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Covid-19로 인한 새로운 상황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직원의 지각된 웰니스 프로그램과 안전보건경영활동이 직원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베트남 현지 근로자 3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효한 총 238명의 응답을 사용하여 SPSS 23과 AMOS 24 프로그램으로 개인수준에서 지각된 웰니스 프로그램과 안전보건경영활동이 직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먼저 살펴보고 그 과정을 보다 심도있게 이해하기 위해 정서적 조직몰입과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각된 웰니스 프로그램이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웰니스 프로그램이 직원의 정서적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적 조직몰입이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안전보건경영활동이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안전보건경영활동이 좋을수록 더 높은 조직지원인식으로 이어질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조직지원인식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매개변수인 정서적 조직몰입이 지각된 웰니스 프로그램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직지원인식이 안전보건경영활동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최근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한 업무 및 근무 환경의 변화(예: 직장의 변화, 직원 상호 작용, 동기 부여)로 인해 직원의 혁신행동이 위협받고 있다. 혁신이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에게 경쟁 우위...

      최근 Covid-19 대유행으로 인한 업무 및 근무 환경의 변화(예: 직장의 변화, 직원 상호 작용, 동기 부여)로 인해 직원의 혁신행동이 위협받고 있다. 혁신이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에게 경쟁 우위를 창출하고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기반 중의 하나임을 고려할 때, 직원들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선행 요소들을 보는 것은 직원들의 혁신행동을 장려하기 위해 필요한 절차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Covid-19로 인한 새로운 상황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직원의 지각된 웰니스 프로그램과 안전보건경영활동이 직원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베트남 현지 근로자 3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효한 총 238명의 응답을 사용하여 SPSS 23과 AMOS 24 프로그램으로 개인수준에서 지각된 웰니스 프로그램과 안전보건경영활동이 직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먼저 살펴보고 그 과정을 보다 심도있게 이해하기 위해 정서적 조직몰입과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각된 웰니스 프로그램이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웰니스 프로그램이 직원의 정서적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적 조직몰입이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안전보건경영활동이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안전보건경영활동이 좋을수록 더 높은 조직지원인식으로 이어질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조직지원인식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매개변수인 정서적 조직몰입이 지각된 웰니스 프로그램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직지원인식이 안전보건경영활동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cent changes in the work and working environment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e.g., changes in the workplace, employee interactions, and motivation) have threatened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Considering that innov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foundations for creating and maintaining a competitive advantage not only for companies but also for individuals, the antecedent factors affecting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is a necessary procedure to encourag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perceived wellness programs and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who are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in new situations caused by Covid-19 on employee innovation behavior.
      A total of 302 respondents were distributed to Vietnamese workers in the study and a total of 238 responses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research with SPSS 23 and AMOS 24 programs. To first examine the impact of perceived wellness program and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at the individual level on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and to understand the process in more depth, the mediation effect of affective commitmen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perceived wellness program had a positive (+)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Secon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wellness program and employee's affective commitment is confirmed. Third, it was confirmed that affective commitment had a positive (+)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Fourth,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Fifth,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had a positive (+) effect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Sixt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Seventh, it was confirmed that affective commitmen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wellness programs and innovative behavior. Finally, it was also confirmed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
      번역하기

      The recent changes in the work and working environment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e.g., changes in the workplace, employee interactions, and motivation) have threatened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Considering that innovation is one of the im...

      The recent changes in the work and working environment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e.g., changes in the workplace, employee interactions, and motivation) have threatened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Considering that innov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foundations for creating and maintaining a competitive advantage not only for companies but also for individuals, the antecedent factors affecting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is a necessary procedure to encourag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perceived wellness programs and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who are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in new situations caused by Covid-19 on employee innovation behavior.
      A total of 302 respondents were distributed to Vietnamese workers in the study and a total of 238 responses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research with SPSS 23 and AMOS 24 programs. To first examine the impact of perceived wellness program and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at the individual level on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and to understand the process in more depth, the mediation effect of affective commitmen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perceived wellness program had a positive (+)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Secon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wellness program and employee's affective commitment is confirmed. Third, it was confirmed that affective commitment had a positive (+)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Fourth,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Fifth,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had a positive (+) effect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Sixt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Seventh, it was confirmed that affective commitmen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wellness programs and innovative behavior. Finally, it was also confirmed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 1.2 연구방법 및 범위 4
      • 제 2 장 이론적 배경 6
      • 제 1 장 서론 1
      • 1.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
      • 1.2 연구방법 및 범위 4
      • 제 2 장 이론적 배경 6
      • 2.1 웰니스 프로그램 6
      • 2.1.1 웰니스 프로그램의 개념 6
      • 2.1.2 웰니스 프로그램의 선행연구 8
      • 2.1.3 지각된 웰니스 프로그램 9
      • 2.2 안전보건경영활동 9
      • 2.2.1 안전보건경영활동의 개념 9
      • 2.2.2 안전보건경영활동의 선행연구 13
      • 2.3 정서적 조직몰입 13
      • 2.3.1 정서적 조직몰입의 개념 13
      • 2.3.2 정서적 조직몰입의 선행연구 16
      • 2.4 조직지원인식 17
      • 2.4.1 조직지원인식의 개념 17
      • 2.4.2 조직지원인식의 구성요인 18
      • 2.4.3 조직지원인식의 선행연구 19
      • 2.5 혁신행동 20
      • 2.5.1 혁신행동의 개념 20
      • 2.5.2 혁신행동의 구성요인 22
      • 2.5.3 혁신행동의 선행연구 23
      • 2.6 변수들 간의 관계성 및 가설 24
      • 2.6.1 지각된 웰니스 프로그램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 24
      • 2.6.2 지각된 웰니스 프로그램과 정서적 조직몰입 간의 관계 25
      • 2.6.3 정서적 조직몰입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 27
      • 2.6.4 안전보건경영활동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 28
      • 2.6.5 안전보건경영활동과 조직지원인식 간의 관계 29
      • 2.6.6 조직지원인식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 30
      • 2.6.7 정서적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31
      • 2.6.8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 32
      • 제 3 장 연구모형 및 설계 35
      • 3.1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35
      • 3.1.1 연구모형의 설계 35
      • 3.1.2 가설의 설정 36
      • 3.2 표본의 설계 및 측정도구 36
      • 3.2.1 표본의 설계 36
      • 3.2.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37
      • 3.2.3 설문의 구성 38
      • 제 4 장 실증분석 39
      • 4.1 인구통계분석 39
      • 4.2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41
      • 4.2.1 확인적 요인분석 설명 41
      • 4.2.2 확인적 요인분석의 적합지수 수용수준 41
      • 4.2.3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42
      • 4.2.4 신뢰도분석 44
      • 4.2.5 상관관계분석 45
      • 4.3 연구가설 검증 47
      • 4.3.1 변수 간 경로분석 47
      • 4.3.2 매개효과 검증 49
      • 4.4 가설검증 결과의 요약 51
      • 제 5 장 결론 52
      • 5.1 연구결과의 요약 52
      • 5.2 시사점 53
      • 5.3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55
      • 참고문헌 56
      • 부 록 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