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중등학교 체육교사의 표현활동 인식과 표현활동 교수전문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 How Expressive Activity is Perceived by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PE Teachers’ and an Examination of Important Feature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PE teachers' perceive the concept of expressive activity, identify the limitations and challenges in teaching expressive activity, and the ide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PE teachers' perceive the concept of expressive activity, identify the limitations and challenges in teaching expressive activity, and the ide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are effective in teaching expressive activity.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5 to September 206, and all materials from data collection, literature review, pilot study, in-depth interview, survey and inductive categorical system were collected and analyzed during this period. This study concludes the following: First, elementary school PE teachers perceive expressive activity as ‘movement’ and ‘play’ while secondary school PE teachers perceive expressive activity as ‘physical activity’, ‘dance’. Secondly, the main difficulties in teaching expressive activity were identified as the number of allocated class hours, use of equipment and space, confusion around the objectives of PE class, lack of training in techniques preferred by students, lack of information around different types of techniques, and lack of information around different levels in classes causing difficulty in deciding difficulty level in each class. Third, the type of expressive activity perceived by elementar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require the following three types of expertise: technical professionalism, artistic professionalism, and spiritual professional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 체육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표현활동의 개념과 표현활동을 가르치는 과정에서의 한계와 어려움을 파악하고, 표현활동을 잘 가르치기 위한 전문성의 특성 및 요소는 ...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 체육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표현활동의 개념과 표현활동을 가르치는 과정에서의 한계와 어려움을 파악하고, 표현활동을 잘 가르치기 위한 전문성의 특성 및 요소는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15년 9월부터 2016년 9월까지 문헌고찰, 예비면담, 교사 12명과의 심층면담, 75명의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표현활동에서 초등체육교사는 ‘움직임’, ‘놀이’, 중등체육교사는 ‘신체활동’, ‘무용’ 개념에 주목하고 있었다. 둘째, 표현활동 교수의 제약과 난점은 표현활동 교육 시수의 자율화, 표현활동 수업에 필요한 기자재 및 공간의 활용도 및 관리 부실, 체육수업의 정체성에 관한 인식, 학생 선호 종목에 대한 전문기술 부족, 종목별 교수방법에 대한 정보 부족, 학교급간의 수업내용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인한 수업 수준 설정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중등 체육교사가 인식한 표현활동 교수전문성은 실천적 지식과 상황적 지식의 특성을 지녔으며, 그 요소는 능력적 전문성(표현활동 지식, 표현활동 교수지식), 예술적 전문성(예술적 인지, 예술가적 소양), 심성적 전문성(신념, 소통, 돌봄)으로 구분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주, "표현활동 창의적으로 가르치기 : 중학교 표현활동 지도의 어려움 파악 및 통합적 지도방안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2 남궁 선주, "표현활동 수업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 박정준, "통합적 스포츠맨십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중등 학교체육에서의 가능성과 한계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4 홍애령, "초등 무용교육자의 정체성과 수업 전문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초등체육학회 22 (22): 107-118, 2017

      5 유지영, "체육교사의 무용교육 교수활동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 서울지역 중등학교 '무용을 전공한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6 교육부, "체육과 교육과정" 교육부

      7 김현정, "창작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인식 :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8 홍희정, "중등학교 표현활동 교수·학습 모델 및 지도 전략 개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9 김보미, "중등체육교사의 무용교육 수행과정 현황분석 : 무용전공교사와 체육전공교사의 대비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0 조남용, "예비체육교사의 표현활동 교수능력 향상을 위한 ‘스포츠교육학’수업 사례연구 -‘전통표현’단원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213-235, 2011

      1 이현주, "표현활동 창의적으로 가르치기 : 중학교 표현활동 지도의 어려움 파악 및 통합적 지도방안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2 남궁 선주, "표현활동 수업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 박정준, "통합적 스포츠맨십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중등 학교체육에서의 가능성과 한계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4 홍애령, "초등 무용교육자의 정체성과 수업 전문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초등체육학회 22 (22): 107-118, 2017

      5 유지영, "체육교사의 무용교육 교수활동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 서울지역 중등학교 '무용을 전공한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6 교육부, "체육과 교육과정" 교육부

      7 김현정, "창작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인식 :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8 홍희정, "중등학교 표현활동 교수·학습 모델 및 지도 전략 개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9 김보미, "중등체육교사의 무용교육 수행과정 현황분석 : 무용전공교사와 체육전공교사의 대비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0 조남용, "예비체육교사의 표현활동 교수능력 향상을 위한 ‘스포츠교육학’수업 사례연구 -‘전통표현’단원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213-235, 2011

      11 김두련, "예비 초등교사의 표현활동 인식 및 교수전문성 발달과정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27 (27): 235-252, 2016

      12 송미숙, "예비 초등 교사의 무용 수업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우리춤연구소 11 (11): 53-69, 2015

      13 정진남, "예비 교사 교육에서의 무용 교육 실태 조사 연구 : 11개 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4 홍애령, "역량중심 체육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표현 영역의 내용체계 및 역량 요소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551-571, 2019

      15 박주희, "신체표현활동을 통한 창의적인 교수-학습지도안 연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6 홍애령, "문화예술교육의 창의·인성교육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무용교수학습과정 탐색" 한국예술연구소 (15) : 265-287, 2017

      17 홍애령, "문화다양성과 사회통합을 위한 학교무용의 가치체계와 교육목표 탐색" 한국체육학회 57 (57): 399-411, 2018

      18 김지영, "무용교육자의 전문성 구성요인 탐색 및 검증" 대한무용학회 71 (71): 23-42, 2013

      19 문영, "무용교사 전문성의 구성 요인에 관한 이론적, 경험적 탐색" 한국무용교육학회 25 (25): 1-21, 2014

      20 Strauss, Anselm L., "근거이론의 단계" 현문사 2001

      21 임수진, "‘즐거운 생활’신체표현활동 잘 가르치기 :교사수업지도의 난점과 개선방안" 한국초등체육학회 19 (19): 1-13, 2013

      22 Denzin, Norman K.,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Prentice Hall 1989

      23 Spradley, James P., "The Ethnographic Interview" Holt, Rinehart & Winston 1979

      24 Elbaz, Freema, "Teacher’s Thinking: A Study of Practical Knowledge" Nichols Publishing Company 1983

      25 Brown, John Seely, "Situated Cognition and the Culture of Learning" 18 (18): 1989

      26 Miles, Mattew B., "Qualitative Data Analysis" Sage Publications 1994

      27 Polkinghorne, Donald 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Plenum 1989

      28 Lincoln, Yvonna S.,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1985

      29 Shulman, Lee,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57 (57): 1987

      30 Guba, Egon G., "Criteria for Assessing the Trustworthiness of Naturalistic Inquiries" 29 (29): 1981

      31 Stenhouse, Lawrence, "An Introduction to Curriculum Research and Development" Heineman 197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07-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For Arts -> Korean National Research Center for the Art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