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발간된 문서인 놀이이해자료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놀이이해자료에서 놀이를 어떻게 제시하고 있으며 그 방식이 적절한지 살펴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146626
2024
Korean
070
학술저널
222-227(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발간된 문서인 놀이이해자료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놀이이해자료에서 놀이를 어떻게 제시하고 있으며 그 방식이 적절한지 살펴보...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발간된 문서인 놀이이해자료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놀이이해자료에서 놀이를 어떻게 제시하고 있으며 그 방식이 적절한지 살펴보고, 놀이 연속성 개념에 근거하여 제언점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 대상은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이해자료에 제시된 19개의 놀이 사례 텍스트였으며, 분석을 위해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이해자료에서는 자유놀이를 여러 측면에서 강조하고 있었으며, 놀이 사례는 일정한 스토리텔링 형식이 반복적으로 적용되고 있어서 획일적인 구조를 지니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놀이 연속성 개념에 근거하여 제언점을 살펴본 결과, 자유놀이만이 아니라 다른 형태의 놀이에서도 유아중심의 본질을 바탕으로 배움이 일어날 수 있음에 대해 숙고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또한 놀이 흐름 여부에 집중하기보다, 유아주도와 교사주도의 역동성을 도모함으로써 그 가운데 일어나는 교육과정의 유연한 실행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동료교사 및 원장 간 관계가 교사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집 실습과정에서 나타난 예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전문성 인식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