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터치스크린 과제수행에서 나타나는 영아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 =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of Infants in Attempts to Solve a Problem in the Touchscreen Tas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196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0-2세 영아를 대상으로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시되는 창의적 문제해결 과제수행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시도 지표를 통해 영아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9~33개월 영아 140명에게 스마트폰으로 문제해결 과제를 제시하고 문제해결시도 지표를 수집하여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문제해결시도 지표들 중 일부 시간적 지표, 시도횟수, 유효시도비율과 월령이 상관이 있었다. 문제해결시도 지표들에서 성차가 있었고, 문제해결시도 지표들은 상호 간에 강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시도가짓수 생성이 창의적 문제해결 성공에서 중요했다. 결론: 문제해결 과정에서 영아가 생성한 시도가짓수가 문제해결 성공을 예측한다는 결과를 통해 영아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확산적 사고와 생성적 능력의 역할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양육환경과 교육현장에서 영아에게 자유로운 탐색과 자발적인 시도 기회가 풍부하게 제공되어야 할 함의를 제공하였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0-2세 영아를 대상으로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시되는 창의적 문제해결 과제수행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시도 지표를 통해 영아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

      연구목적: 본 연구는 0-2세 영아를 대상으로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시되는 창의적 문제해결 과제수행에서 나타나는 문제해결시도 지표를 통해 영아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9~33개월 영아 140명에게 스마트폰으로 문제해결 과제를 제시하고 문제해결시도 지표를 수집하여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문제해결시도 지표들 중 일부 시간적 지표, 시도횟수, 유효시도비율과 월령이 상관이 있었다. 문제해결시도 지표들에서 성차가 있었고, 문제해결시도 지표들은 상호 간에 강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시도가짓수 생성이 창의적 문제해결 성공에서 중요했다. 결론: 문제해결 과정에서 영아가 생성한 시도가짓수가 문제해결 성공을 예측한다는 결과를 통해 영아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확산적 사고와 생성적 능력의 역할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양육환경과 교육현장에서 영아에게 자유로운 탐색과 자발적인 시도 기회가 풍부하게 제공되어야 할 함의를 제공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shows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of infants aged 0-2 through a touchscreen task. Methods: We presented problem solving tasks with smart-phones to 140 infants between 9 and 33 months old and collected problem solving indicators to examine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some of the problem solving indicators had a correlation with time indices, number of attempts, effective attempt ratio(EAR) and monthly age. There was a gender gap in problem solving indicators, and problem solving indicators were strongly interrelated, and the number of entry pattern(NEP) was important in a creative problem solving success. Conclusions: And through the results of NEP which predicted success in problem solving, this study showed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divergent thinking and generative factors in the infant’s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provide infants with ample opportunities for free navigation and spontaneous attempts in the nurturing environment and education scene.
      번역하기

      Objective: This study shows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of infants aged 0-2 through a touchscreen task. Methods: We presented problem solving tasks with smart-phones to 140 infants between 9 and 33 months old and collected problem solving indicat...

      Objective: This study shows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of infants aged 0-2 through a touchscreen task. Methods: We presented problem solving tasks with smart-phones to 140 infants between 9 and 33 months old and collected problem solving indicators to examine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some of the problem solving indicators had a correlation with time indices, number of attempts, effective attempt ratio(EAR) and monthly age. There was a gender gap in problem solving indicators, and problem solving indicators were strongly interrelated, and the number of entry pattern(NEP) was important in a creative problem solving success. Conclusions: And through the results of NEP which predicted success in problem solving, this study showed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divergent thinking and generative factors in the infant’s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provide infants with ample opportunities for free navigation and spontaneous attempts in the nurturing environment and education scen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연구 방법 결 과 논 의
      • 서 론 연구 방법 결 과 논 의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