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과 직무만족 그리고 요양보호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들의 직무환경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수요자인 노인에게 제공되...
이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과 직무만족 그리고 요양보호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들의 직무환경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수요자인 노인에게 제공되는 요양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요양병원 요양보호사가 재가센터 요양보호사보다 적게 받고 있는 것으로 소속기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요양보호사 직무만족도는 재가센터에 요양보호사가 요양병원 요양보호사보다 높은 것으로 소속 기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스트레스 대처 경험과 대처노력은 소속 기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은,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경우 고용형태업무 스트레스, 환자와의 스트레스 요인이었으며, 재가센터 요양보호사와의 경우는 평균임금 고용형태 관리 대상자 수 업무 스트레스, 근무조건 스트레스 대상자의 스트레스 요인 이었다.
넷째, 소속기관 관계없이 공통적인 영향요인은 고용형태가 정규 직인경우, 업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환자와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 만족이 높다.
다섯째,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 조사결과 보수와 동료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시설운영과 상사 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여섯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소진이 낮을수록 소진수준이 높았다. 낮은 직무 만족도와 높은 소진수준이 상관성은 주관적 소진단계에서도 확인되었다. 소진단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직무만족의 하위 속 성별소진 수준의 상관성도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였다. 이직이가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는데 이직의사가 큰 요양보호사 일수록 소진수준이 높았다. 따라서 향후 지속적으로 노인요양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었다.
또한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요양보호사의 전반적인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근무환경, 인사관리의 합리성, 상사 및 동료와의 관계를 제도적으로 개선해야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