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미디어기기 이용역량과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가 비판적 이해 역량으로서 정보 분석 및 평가에 미치는 영향: 독립변수 vs. 매개변수로서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의 역할 규명을 중심으로 = Effects of Media Device Literacy and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on Information Analysis and Evaluation as Critical Understanding Literacy: Focusing on the Role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s an Independent Variable vs. a Mediating Variab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815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의 확장에 따라 미디어 리터러시 간 관계에 관한 연구가 조금씩 진행되고 있다. 그중 하나는 단순 미디어기기 이용역량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이고, 다른 하나는 좀 더 본질적인 내용 분석 역량으로서 비판적 이해 역량인 미디어 리터러시이다. 이와 함께 이러한 미디어 리터러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가 주목받고 있다. 한편, 미디어 리터러시와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는 연령에 따라, 즉 디지털 원주민과 디지털 이주민 간에 상당히 다른 수준을 나타낸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이러한 기존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이번 연구는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의 2022년 <한국 미디어 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앞서 언급한 세 가지 변수, 즉 미디어 기기 이용역량,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 그리고 비판적 이해 역량으로서의 정보 분석 및 평가 간 인과성을 밝혀내고자 했다. 연구 결과, 3가지 변수 모두에서 디지털 원주민이 디지털 이주민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변수 간 인과성의 경우, 디지털 원주민과 이주민 간에는 일부 변수 간 관계에서 효과 크기에 차이가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유사한 결과를나타냈다.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와 미디어기기 이용역량은 모두 비판적 이해 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디어기기 이용역량에 비해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가 상대적으로 비판적 이해 역량을 더욱더 강력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미디어기기 이용역량과비판적 이해 역량 간 인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의 간접 효과는 미디어기기 이용역량의 직접 효과보다 약한 것으로 드러나, 개별 독립변수로서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의 역할에 대한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와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연구 마지막에 제시해 뒀다.
      번역하기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의 확장에 따라 미디어 리터러시 간 관계에 관한 연구가 조금씩 진행되고 있다. 그중 하나는 단순 미디어기기 이용역량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이고, 다른 하나는 좀 더...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의 확장에 따라 미디어 리터러시 간 관계에 관한 연구가 조금씩 진행되고 있다. 그중 하나는 단순 미디어기기 이용역량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이고, 다른 하나는 좀 더 본질적인 내용 분석 역량으로서 비판적 이해 역량인 미디어 리터러시이다. 이와 함께 이러한 미디어 리터러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가 주목받고 있다. 한편, 미디어 리터러시와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는 연령에 따라, 즉 디지털 원주민과 디지털 이주민 간에 상당히 다른 수준을 나타낸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이러한 기존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이번 연구는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의 2022년 <한국 미디어 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앞서 언급한 세 가지 변수, 즉 미디어 기기 이용역량,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 그리고 비판적 이해 역량으로서의 정보 분석 및 평가 간 인과성을 밝혀내고자 했다. 연구 결과, 3가지 변수 모두에서 디지털 원주민이 디지털 이주민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변수 간 인과성의 경우, 디지털 원주민과 이주민 간에는 일부 변수 간 관계에서 효과 크기에 차이가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유사한 결과를나타냈다.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와 미디어기기 이용역량은 모두 비판적 이해 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디어기기 이용역량에 비해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가 상대적으로 비판적 이해 역량을 더욱더 강력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미디어기기 이용역량과비판적 이해 역량 간 인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의 간접 효과는 미디어기기 이용역량의 직접 효과보다 약한 것으로 드러나, 개별 독립변수로서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의 역할에 대한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와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연구 마지막에 제시해 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there has been a growing body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literacies. There are two types of media literacy: media literacy, which is the ability to use media devices, and media literacy, which is the ability to analyze content and evaluate it critically. In addition,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have been recognized as a factor that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media literacy. On the other hand, research has shown that media literacy and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differ significantly by aga, that is, between digital natives and digital immigrants. Based on these existing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KISDI)’s <2022 Korea Media Panel Survey> to explore the causality between the three variables mentioned above: media device use literacy,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nd information analysis and evaluation as critical understanding literac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digital natives had higher overall levels than digital immigrants on all three variables. In the terms of causalit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ffect sizes for some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digital natives and immigrants, but overall the results were similar. Both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nd media device use literac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ritical understanding literacy, but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were found to be a stronger predictor of critical understanding literacy than media device use literacy.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edia device use literacy and critical understanding litera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However, the indirect effect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was found to be weaker than the direct effect of media device use literacy, suggesting the possible role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 in-depth discussion of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at the end of the study.
      번역하기

      With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there has been a growing body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literacies. There are two types of media literacy: media literacy, which is the ability to use media devices, and media li...

      With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there has been a growing body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literacies. There are two types of media literacy: media literacy, which is the ability to use media devices, and media literacy, which is the ability to analyze content and evaluate it critically. In addition,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have been recognized as a factor that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media literacy. On the other hand, research has shown that media literacy and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differ significantly by aga, that is, between digital natives and digital immigrants. Based on these existing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KISDI)’s <2022 Korea Media Panel Survey> to explore the causality between the three variables mentioned above: media device use literacy,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nd information analysis and evaluation as critical understanding literac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digital natives had higher overall levels than digital immigrants on all three variables. In the terms of causalit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ffect sizes for some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digital natives and immigrants, but overall the results were similar. Both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nd media device use literac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ritical understanding literacy, but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were found to be a stronger predictor of critical understanding literacy than media device use literacy.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edia device use literacy and critical understanding litera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However, the indirect effect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was found to be weaker than the direct effect of media device use literacy, suggesting the possible role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 in-depth discussion of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at the end of the stud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