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사용되고 있는 방화문은 중량으로 인해 건축물의 자중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며, 자중 증가로 인해 지반의 침하거동 및 침하량 증가에 영향을 준다. 또한 현재 목재방화문에 사용되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방화문은 중량으로 인해 건축물의 자중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며, 자중 증가로 인해 지반의 침하거동 및 침하량 증가에 영향을 준다. 또한 현재 목재방화문에 사용되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방화문은 중량으로 인해 건축물의 자중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며, 자중 증가로 인해 지반의 침하거동 및 침하량 증가에 영향을 준다. 또한 현재 목재방화문에 사용되는 광물질 소재는 인체에 유해한 분진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화문의 재료에 인계난연제를 활용하여 난연성능을 확보하며, 축소 내화시험을 통해 재료 및 구조의 내화성능을 평가하여, 선정된 재료와 구조를 통해 경량화된 목재방화문 개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콘칼로리미터 실험 결과 합판은 0.7㎏f/㎠의 진공압력 상에서 난연제 함침 시 50kW/㎡ 열선속에서 착화되지 않았으며, 축소 내화시험 결과 직물방화원단 사용 시 60분 내화성능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마그네슘보드와 함께 사용 시 차열성능이 나타났다. 난연 합판, 난연 스티로폼, 직물방화원단과 마그네슘 보드 1장을 사용한 시험체는 을종 비차열 방화문의 성능을 확보하였으며, 기존 방화문에 비해 21.2% 경량화 되었다. 마그네슘 보드 2장을 사용한 시험체는 차열 을종 방화문의 성능이 나타났으며, 6.39% 경량화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재료에 대한 내화시험의 실험실적 검증방법 사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내화구조 시험 시 재료의 축소 시험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화재 발생 시 재실자의 안전을 확보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