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후기 왜주홍(倭朱紅)의 수입과 활용 = The Import & Application of Waejuhong of the late Chosun 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316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d-pigment of the late Chosun age, showing on the historical documents, is various like Danmok, Juhong, Dangjuhong, Banjuhong, Beonjuhong, Waejuhong, Seokganju, Juto and etc. But, so far only Seokganju was identified where it’s from and what it...

      The red-pigment of the late Chosun age, showing on the historical documents, is various like Danmok, Juhong, Dangjuhong, Banjuhong, Beonjuhong, Waejuhong, Seokganju, Juto and etc. But, so far only Seokganju was identified where it’s from and what it’s applied and the others were not as the traditional pigments.
      Waejuhong was imported from Japan, which was named to distinguish Danjuhong imported from China. Juhong can be compared with Juto, Seokganju in the aspect of mineral red-pigment and its main ingredient is mercury that has the similarity of Jinsa. But, compared with the other pigment, Waejuhong was used very specially in Chosun royal family. It was used as the finest painting material limited to the craftworks for the royal family, after mixing with the lacquer, the luxurious varnishing material.
      This report focuses on the domestic inflow of Waejuhong in late Chosun age, and its applications in the royal family. It reveals its inflow situation concretely and, therefore, it has the significance for disclosing how Waejuhong was applied practically as taking a close look at the connectivity of the existing real-one and the application of the royal family written in the Uigwe.(The record of national ritual rites).
      The first chapter describes the social recognition for Waejuhong, its inflow route from Japan and import volume, and the second chapter shows the examples that Waejuhing was applied in the important events of the royal family like the national funeral and wedding ceremony as well as presents the existing remains lacquered with Waejuhong, disclosing its production year.
      The historical documents that disclose them are the written papers about the relation between Chosun and Japan, and [Kukjangdogam Uigwe] which was the record of national rite centered around the king, the high majesty and [Garyedogam Uigwe]. As the written papers about relation between Chosun and Japan, the data sourced from Chosun-side like [Jeungjeonggyorinji] and the part of the ones from Japan-side was the main research materials.
      So far, Waejuhong varnish was perceived only in the broad category of ‘Juchil’(Red Varnish) used in the high class of Chosun Society, but this report has the significance on that the deeper research has been taken on the inflow and applications of Waejuhong that had the special uses and value in the late Chosun 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문헌에 등장하는 조선 후기 붉은 안료는 단목(丹木), 주홍(朱紅), 당주홍(唐朱紅), 반주홍(磻朱紅), 번주홍(燔朱紅), 왜주홍(倭朱紅), 석간주(石磵朱), 주토(朱土) 등 다양하다. 그런데 오늘날 ...

      문헌에 등장하는 조선 후기 붉은 안료는 단목(丹木), 주홍(朱紅), 당주홍(唐朱紅), 반주홍(磻朱紅), 번주홍(燔朱紅), 왜주홍(倭朱紅), 석간주(石磵朱), 주토(朱土) 등 다양하다. 그런데 오늘날 그 산지와 활용방법에 관해 확인되는 것은 석간주 정도일 뿐이며, 그 외 전통 안료로서 산지와 활용방법이 확인된 것은 거의 없다.
      왜주홍은 일본에서 수입된 것으로, 중국에서 수입했던 당주홍과 구별하여 불렸다. 주홍은 광물성 붉은 안료라는 면에서 주토, 석간주와 비교될 수 있고, 주성분이 수은으로 진사(辰砂)와 매우 흡사한 안료로 분류할 수 있다. 하지만 왜주홍은 조선왕실에서 매우 특별하게 사용된 안료로서 다른 붉은 안료들과 차별화된다. 조선 시대 가장 고급 도료인 옻칠과 섞어서, 왕실공예품에만 한정적으로 사용되는 최고급 칠 재료로 쓰였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조선 후기 왜주홍의 국내 유입과 왕실의 쓰임에 집중하고자 하였다. 왜주홍의 유입양상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의궤를 통해 언급된 왕실에서의 왜주홍 사용을 현존하는 실물자료와 연결하여 왜주홍의 사용양상을 실체적으로 밝힌다는 것이 이 연구의 주요한 의의가 될 것이다.
      본론의 1장에서는 조선 후기 왜주홍에 관한 사회적 인식과 일본으로부터 유입되는 왜주홍의 경로, 이를 통한 수입량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국장과 가례와 같은 왕실의 중요 행사에서 왜주홍이 사용된 실상을 파악해보았다. 아울러 제작년을 알 수 있는 현존 왜주홍칠 유물을 살펴보았다.
      이를 밝히기 위한 문헌 자료는 조일 관계 기록지와 당시 최고위 신분이었던 국왕 중심의 의례 기록인 󰡔국장도감의궤(國葬都監儀軌)󰡕, 󰡔가례도감의궤(嘉禮都監儀軌)󰡕을 중심으로 하였다. 조일 관계 기록지로는 󰡔증정교린지󰡕를 비롯한 조선 측 자료와 일부 일본 측 자료를 연구의 토대로 삼았다.
      지금까지 왜주홍칠을 조선 시대 상류층에서 사용한 ‘주칠(朱漆)’의 넓은 범주 안에서만 파악했다면, 논고를 통해 조선 후기 특별한 사용과 가치를 가졌던 왜주홍의 유입과 활용에 대한 밀도 있는 연구를 시도하였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