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AI 시대 문식성 교육이 가지는 의미-서평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 A Study on What it Means to Teach Literacy in the Digital and AI 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726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enerational conflicts and controversies surrounding literacy continue to arise. This paper aims to diagnose the problem of literacy in the digital and AI era, which has entered an irreversible phase, and to emphasize the need for book reviewing education as one of the ways to overcome this issue. To this end, we first critically examine the fact that ‘eye-byte’ is becoming the new norm as print media has been transformed into digital media. In addition, we explore how recently emerged conversational AI services operate in a way that is far from the academic writing system. ChatGPT, which is based on a large-scale language model, is not only exposed to the problem of “hallucination,” where false information is answered plausibly, but also does not disclose the source of the results, even when verification is requir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we tried to reconsider the academic process and the value of literacy education by focusing on the case of book review writing education.
      번역하기

      Generational conflicts and controversies surrounding literacy continue to arise. This paper aims to diagnose the problem of literacy in the digital and AI era, which has entered an irreversible phase, and to emphasize the need for book reviewing educa...

      Generational conflicts and controversies surrounding literacy continue to arise. This paper aims to diagnose the problem of literacy in the digital and AI era, which has entered an irreversible phase, and to emphasize the need for book reviewing education as one of the ways to overcome this issue. To this end, we first critically examine the fact that ‘eye-byte’ is becoming the new norm as print media has been transformed into digital media. In addition, we explore how recently emerged conversational AI services operate in a way that is far from the academic writing system. ChatGPT, which is based on a large-scale language model, is not only exposed to the problem of “hallucination,” where false information is answered plausibly, but also does not disclose the source of the results, even when verification is requir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we tried to reconsider the academic process and the value of literacy education by focusing on the case of book review writing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문해력을 둘러싼 세대론적 갈등과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 논문은 사태의 원인을 규명하기위해서 비가역적인 국면으로 접어든 디지털⋅AI 시대의 문식성 문제를 진단하고, 이를 극복할 방안중 하나로 서평쓰기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 과거의 인쇄 매체가디지털 매체로 전환되어감에 따라 ‘아이-바이트eye byte’, 즉 ‘훑어보기’가 새로운 표준이 되어가고있다는 점에 관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여기에 더해 최근에 등장한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가 학문적글쓰기 체계와 얼마나 거리가 먼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거대언어모델을 기반으로한 챗GPT는 거짓된 정보를 그럴듯하게 답변하는 ‘할루시네이션’ 문제를 노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검증이 필요한 경우라 할지라도 결과값의 원출처를 밝히지 않는다.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평쓰기 교육사례를 중심으로 학문의 체계와 문식성 교육의 가치가 과연 무엇인지 재고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문해력을 둘러싼 세대론적 갈등과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 논문은 사태의 원인을 규명하기위해서 비가역적인 국면으로 접어든 디지털⋅AI 시대의 문식성 문제를 진단하고, 이를 극복할...

      문해력을 둘러싼 세대론적 갈등과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 논문은 사태의 원인을 규명하기위해서 비가역적인 국면으로 접어든 디지털⋅AI 시대의 문식성 문제를 진단하고, 이를 극복할 방안중 하나로 서평쓰기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 과거의 인쇄 매체가디지털 매체로 전환되어감에 따라 ‘아이-바이트eye byte’, 즉 ‘훑어보기’가 새로운 표준이 되어가고있다는 점에 관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여기에 더해 최근에 등장한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가 학문적글쓰기 체계와 얼마나 거리가 먼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거대언어모델을 기반으로한 챗GPT는 거짓된 정보를 그럴듯하게 답변하는 ‘할루시네이션’ 문제를 노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검증이 필요한 경우라 할지라도 결과값의 원출처를 밝히지 않는다.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평쓰기 교육사례를 중심으로 학문의 체계와 문식성 교육의 가치가 과연 무엇인지 재고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남규, "한 권으로 끝내는 서평과 논문" 헤겔의휴일 2022

      2 나민애, "학습자 수준 분석을 통한 서평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대학 이공계열 신입생에 대한 분석 독서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11-27, 2019

      3 최수현, "학술적 글쓰기로서 논문 서평 쓰기 수업 모형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63-195, 2013

      4 미디어오늘, "페이스북은 사회 분열 조장 민주주의위협 플랫폼"

      5 프리드리히 키틀러, "축음기, 영화, 타자기" 문학과지성사 2019

      6 경향신문, "챗GPT한테 과제 맡겨도 될까?"

      7 나민애, "책 읽고 글쓰기" 서울문화사 2020

      8 홍우진, "전생에 천마였던 드래곤 1-8" 인타임 2021

      9 클리퍼드 기어츠, "저자로서의 인류학자 -레비스트로스, 에번스프리처드, 말리노프스키, 베네딕트" 문학동네 2014

      10 김지혜, "이청준의 <원무>에 나타난 신문 연재소설의 서사 문법과 작가의 비판 의식" 한국현대소설학회 (47) : 141-166, 2011

      1 김남규, "한 권으로 끝내는 서평과 논문" 헤겔의휴일 2022

      2 나민애, "학습자 수준 분석을 통한 서평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대학 이공계열 신입생에 대한 분석 독서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11-27, 2019

      3 최수현, "학술적 글쓰기로서 논문 서평 쓰기 수업 모형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163-195, 2013

      4 미디어오늘, "페이스북은 사회 분열 조장 민주주의위협 플랫폼"

      5 프리드리히 키틀러, "축음기, 영화, 타자기" 문학과지성사 2019

      6 경향신문, "챗GPT한테 과제 맡겨도 될까?"

      7 나민애, "책 읽고 글쓰기" 서울문화사 2020

      8 홍우진, "전생에 천마였던 드래곤 1-8" 인타임 2021

      9 클리퍼드 기어츠, "저자로서의 인류학자 -레비스트로스, 에번스프리처드, 말리노프스키, 베네딕트" 문학동네 2014

      10 김지혜, "이청준의 <원무>에 나타난 신문 연재소설의 서사 문법과 작가의 비판 의식" 한국현대소설학회 (47) : 141-166, 2011

      11 사사키 아타루, "야전과 영원 -푸코⋅라캉⋅르장드르" 자음과모음 2015

      12 대학 글쓰기 교재 편찬위원회, "신입생을 위한 대학 글쓰기" 로직아이 2017

      13 MBC, "스마트폰이 익숙한 일본 젊은 세대 “키보드가 낯설어요”"

      14 김나정, "서평쓰기의 모든 것" 지식의날개 2020

      15 김신정, "서평쓰기를 통한 리터러시 교육" 한국 리터러시 학회 11 (11): 217-244, 2020

      16 강여순, "서평쓰기 프로그램 구안" 국어교과교육학회 9 : 193-232, 2005

      17 이원석, "서평 쓰는 법 -독서의 완성" 유유 2016

      18 김민영, "서평 글쓰기 특강" 북바이북 2015

      19 구자황, "서평 교육 이론 정립을 위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107-137, 2017

      20 장-뤽 낭시, "사유의 거래에 대하여 -책과 서점에 대한단상" 도서출판 길 2016

      21 김남미, "비평적 문식성 신장을 위한 서평글쓰기 교육"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175-210, 2017

      22 마셜 매클루언,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 커뮤니테이션북스 2011

      23 이광수, "무정 (1)"

      24 조현행, "독서의 궁극 서평 잘 쓰는 법" 생애 2020

      25 김양선, "대학필독서를 활용한 교양교육 사례 연구 ― 한림대학교 교과, 비교과 영역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9 (9): 167-194, 2018

      26 손혜숙, "대학 글쓰기에서의 서평 쓰기 교육방법 연구" 한민족문화학회 48 (48): 545-575, 2014

      27 최유숙, "대학 글쓰기에서의 서평 교육 연구 - 학술적 글쓰기를 위한 서평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2 (12): 41-63, 2021

      28 정기인 ; 정상우, "대학 교양수업으로서의 “디지털 인문학” 수업 개발"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25-39, 2021

      29 매리언 울프, "다시, 책으로" 어크로스 2019

      30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사진의 작은 역사외" 도서출판 길 2007

      31 엄정희, "그림,소설, 상호텍스트성의 미학적 효과-김영하의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와 『빛의 제국』을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4 : 51-67, 2007

      32 폴 벤느, "그리스인들은 신화를 믿었는가? -구성적 상상력에 대한 논고" 이학사 2002

      33 YTN, "구글 시총 ‘이틀간 200조 원’ 증발...인공지능‘챗봇 오류’ 후유증"

      34 세계일보, "“한자로 숫자도 못 읽는 거 안 무식해?”…때 아닌 ‘한자 논쟁’ 후끈"

      35 머니투데이, "“실리콘밸리 누가 운영?” 묻자 헛소리…저커버그 ‘AI챗봇’ 사라진 이유"

      36 뉴스프리존, "“서버 멀쩡하고 전기만 내려갔는데?”, ‘카카오 먹통’ 해명 문제점"

      37 한경닷컴, "‘심심한 사과’⋅‘질척거리다’ 이런 뜻이었어?…문해력 논란"

      38 심지현, "‌서평쓰기를 위한 읽기 쓰기 통합교육 수업 사례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131-156, 2014

      39 문화체육관광부, "2021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