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不逞鮮人刊行物 「奪還」 金左鎭に關する 記事 - 奪還 1930年 4月 20日 發行 第9号 譯文" 205 (205): 12977-, 1930
2 "흥풍회 경영 남녀야학 성황 그 중에도 여자부"
3 "흉보를 확전(確傳)하는 백야 김좌진 부음"
4 김헌순, "현대작가론 1" 조선작가동맹출판사 291-340, 1961
5 이정식, "혁명가들의 항일회상" 민음사 1988
6 이강훈, "항일독립운동사" 정음사 1977
7 "하얼빈 일본영사관 신민부원 다수 검거"
8 유문선, "카프 작가와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24 : 331-356, 2004
9 김경재, "최근의 북만 정세, 동란의 간도에서(속)" 1932
10 "장연 근우지회 야유"
1 "「不逞鮮人刊行物 「奪還」 金左鎭に關する 記事 - 奪還 1930年 4月 20日 發行 第9号 譯文" 205 (205): 12977-, 1930
2 "흥풍회 경영 남녀야학 성황 그 중에도 여자부"
3 "흉보를 확전(確傳)하는 백야 김좌진 부음"
4 김헌순, "현대작가론 1" 조선작가동맹출판사 291-340, 1961
5 이정식, "혁명가들의 항일회상" 민음사 1988
6 이강훈, "항일독립운동사" 정음사 1977
7 "하얼빈 일본영사관 신민부원 다수 검거"
8 유문선, "카프 작가와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24 : 331-356, 2004
9 김경재, "최근의 북만 정세, 동란의 간도에서(속)" 1932
10 "장연 근우지회 야유"
11 임강, "자유공론" 1982
12 신민부원 생존자 일동, "자유공론" 1982
13 채훈, "일제강점기 재만 한국문학연구" 깊은 샘 1990
14 오동룡, "일본 외무성 외교사료관 문서 입수 - 최종 확인 - 김좌진 암살범은 고려공산청년회 김신준(金信俊) = ‘하얼빈 일본총영사관의 배후 조종설’은 확인 안 돼" 2007
15 "외교선 착수로 주로(住露)위원 특파"
16 최정희, "예술조선 2" 1948
17 이성호, "영고탑(寧古塔)가는 길" 동천문학사 2015
18 양환준, "연변문사자료 4" 1986
19 "여인사전" (29) : 1933
20 이이녕, "실록 소설, 암살지령 <장쭤린과 김좌진 장군 암살 사건> 배신과 음모, 추악한 일본인들" 대한교육문화원 2016
21 "신민부의 수령 김좌진 피살설"
22 이을규, "시야 김종진 선생 전" 한흥인쇄소 1963
23 이상경, "수정 증보 강경애전집" 소명출판 2002
24 "북만주를 진동케 한 산시 김좌진 씨 사건 (자유연합신문에서)"
25 이강훈, "민족해방운동과 나" 제삼기획 1994
26 이이녕, "민족반세기사-일제하 36년 독립운동실록 17-최후의 광란" 동도문화사 1984
27 임순득, "문학예술" 1949
28 박환, "만주벌의 영웅 김좌진" 도서출판 선인 2016
29 동북지역조선인항일력사사료집 편찬위원회, "동북지역 조선인항일력사사료집 (제1권)" 흑룡강 조선민족출판사 2004
30 이강훈, "내가 밝혀야 할 두 악한" 1992
31 이강훈, "김좌진 장군의 생애" 41 : 1981
32 신규수, "구영필의 독립 활동과 친일 논란" 37 : 31-56, 2007
33 이강훈, "공산당에 암살 당한 김좌진 장군의 최후" 1984
34 이규희, "강경애 연구-빛과 어둠의 절규" 이화여대 대학원 1974
35 최유학, "강경애 문학에 나타난 초민족적 계급연대의식 연구" 35 : 183-210, 2016
36 韓族總聯合會, "現狀及同會規約, 保安條例幷ニ地方農務協規定ニ關スル件" 外務城 - 滿洲ノ部 12885-12886, 1930
37 "新民府機關紙「新民報」ノ記事ニ關スル件" (193) : 1926
38 "新民府 幹部 崔昌益 取調 狀況に 關 スル件" (12939) : 1925
39 "不穩新聞 「新民報」 記事に 關 スル件" (463) : 1926
40 최학송, "‘만주’ 체험과 강경애 문학" 인하대하교 2007
41 오동룡, "<의혹 추적> 문화부는 왜 ‘이 달의 문화인물’에 프로문학가 강경애를 선정했나 = “소설가 강경애는 김좌진 장군 암살 교사범의 동거녀” (전 광복회장 이강훈 옹의 회고)" 2005
42 이상경, "3월의 문화 인물 강경애" 문화관광부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