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임상미술치료 작품 분석을 통해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미술치료 작품의 특징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495825
포천 : 차의과학대학교, 2016
학위논문(박사) --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 2016
2016
한국어
512.5156 판사항(6)
615.85156 판사항(23)
경기도
iii, 71장 : 삽화, 도표 ; 26 cm
지도교수: 김선현
권말부록: 어린 시절 주제 작품 명도-채도 분석 등
참고문헌: 장 49-5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임상미술치료 작품 분석을 통해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미술치료 작품의 특징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
본 연구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임상미술치료 작품 분석을 통해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미술치료 작품의 특징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12년까지 경기도 ‘나눔의 집’에서 차의과학대학교 김선현 교수가 실시한 임상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위안부’ 피해자의 작품 중에서 조형 작품을 제외한 58점의 작품을 연구대상으로, 내용적 분석, 형식적 분석, 색채 분석을 실시하였다. 내용적 분석은 주제별 작품 분류, 형식적 분석은 Grünwald의 공간 배치도에 따른 분석, 색채 분석은 한국표준색 색채 분석, 스에나가 타미오의 Heart & Color Method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위안부’ 피해자들의 작품 내용적 특징은 어린 시절, 위안부 시절, 광복 이후, 희망이나 바람의 주제로 나뉘어 각각의 주제마다 표현되는 소재들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작품의 형식적 특징으로 Grünwald의 공간 배치도에 따른 형식적 분석은 각 주제별 보여지는 그림의 위치가 달랐으며, 내향적 심리와 수동적 상태를 나타내는 배치가 많았다. 그리고 한국표준색 색채 분석에 따른 명도-채도에 따른 분석에서는 각 주제별 명도-채도의 분포가 각기 보여주는 특징이 달랐으며, 색채를 통한 정서 표현의 객관적 측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위안부’ 미술치료 작품에서 각 분석 기준에 따라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자기보고식 설문지나 면접·면담에서 얻기 어려운 임상적 특징을 임상미술치료가 보여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미술활동 과정에서 ‘위안부’ 피해자들의 과거나 욕구, 관심분야, 해결하지 못한 갈등이나 부정적 감정이 표출되면서 자발적인 표현을 유도하여 다양한 측면에서의 자료 수집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용할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가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임상미술치료의 분석틀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aise the understanding of the ‘comfort women’ victims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rt therapy artwork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linical art therapy artworks of ‘comfort women’ victims. To achi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aise the understanding of the ‘comfort women’ victims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rt therapy artwork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linical art therapy artworks of ‘comfort women’ victims. To achieve this purpose, of the artworks of the ‘comfort women’ victims who participated in the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conducted by Professor Kim Seon-hyeon of CHA University from 2006 to 2012, the formative works were excluded and on the remaining 58 artworks as the research objects, the content analysis, the formal analysis, and the color analysis were conducted. Th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artworks by themes, the formal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space arrangement of Grünwald, and the color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Korea standard color analysis, Senaga Timor’s Heart &Colo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 ‘comfort women’ victims’ artworks were that the themes were divided into the themes of childhood, of the days after the Korean Independence, and of hopes and wishes and the material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hemes. As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artworks,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formal analysis according to Grundwald’s space arrangement, the positions of the pictures shown by each theme were different.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arrangements representing introvert mentality and passive state. And in the analysis of brightness-chroma according to Korea standard color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shown by the distribution of brightness-chroma in each theme were different and the objective aspect of the expression of emotions through color was confirm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 therapy artworks of the ‘comfort women’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analysis criteria and this implies that the clinical art therapy can show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that can hardly be obtained through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And in the process of art activities, it is useful in that the collection of data from diverse aspects is possible by inducing voluntary expression as the past of ‘comfort women’ victims, desires, interesting fields, or negative emotions are expressed.
Als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basic data for the analytic framework of the clinical art therapy that can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comfort women’ victim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