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전통공예 분류체계 기초연구 -문화재 제도를 중심으로- = A Basic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Korea Traditional Crafts -Focusing on the Cultural Property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450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system in 1962, Korean traditional crafts were separated into crafts and craftsmen by the concept of tangible cultural property and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the field of the cultural pro...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system in 1962, Korean traditional crafts were separated into crafts and craftsmen by the concept of tangible cultural property and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the field of the cultural property system. This separation is the result of the combination of the Japanes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and the lack of cultural competence during the introduction of the domestic empire. Traditional crafts were recognized as separate beings as art works and traditional craftsmen.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culture and crafts is separated, traditional crafts have become difficult to understand in three dimensions.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UNESCO has put domestic cultural heritage policy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Al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on the traditional craft classification system to cope with these changes, it still has not escaped the inertia that is limited to the viewpoint of law.
      To overcome this phenomenon, a basic study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that can recognize the integrated recognition of traditional crafts separated by art crafts and traditional craftsmen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comparative studies on other classification system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rafts were analyzed to extract important factors for the classification system to be constructed in the future. This paper fully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afts manufacturing system that had been neglected before, and conducts research on categories and concepts of crafts in a quantitative manner rather than an ideological approach, and considers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rafts.
      Through this new perspective and methodology, it was confirmed that the two essential elements that can fully understand traditional crafts are the environment of the traditional production system and crafts, and this important factor was made as the most important warp and woof in operating the traditional craft classification system. One of the important criteria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raditional crafts is the production system of craftsmen, and this is called the production environment of traditional crafts. Another important criterion for the classification system is the use of crafts, and this is called the use environment of traditional crafts. These two criteria were set up in each standard so that they could be used without superiority by combining them like Legos as needed or operated according to the use of each policy. Although there are several shortcomings in many ways, we have set important standards and detailed standards for each standard so that we can fully understand traditional crafts. Therefore, we expect to use them well in creating a complete classification system suitable for use in the field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62년 문화재보호제도의 도입과 함께 한국 전통공예는 문화재 제도 현장에서 유형문화재와 무형문화재란 법률상의 개념에 의해 공예품과 장인으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분...

      1962년 문화재보호제도의 도입과 함께 한국 전통공예는 문화재 제도 현장에서 유형문화재와 무형문화재란 법률상의 개념에 의해 공예품과 장인으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분리는 근대 제국주의 시기 정책과 긴밀한 일본 「문화재보호법」과 국내 도입기 문화적 역량의 미진함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하겠다. 이렇게 전통공예는 미술품과 전통장인으로 제 각각 별개의 존재로 인식되었다. 이렇게 전통 문화와 공예의 관계가 분리됨으로써 전통공예는 입체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존재가 되었다. UNESCO 무형문화유산 국제협약으로 국내 문화재정책은 급변하는 환경에 처했다.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전통공예 분류체계 연구가 여러 번 있었지만 법률의 관점에 제한되는 관성을 여전히 벗어나지 못하였다.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미술공예품과 전통장인으로 분리된 전통공예의 통합적 인식이 가능한 분류체계의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타 분야 분류체계의 비교연구에서 얻은 성과와 전통공예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구축될 분류체계에 필요한 중요요소를 추출하였고 이것을 연구의 나침반 역할로 삼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경시되었던 공예의 제작시스템 특징을 충분히 반영하고 관념적 접근보다는 정량적 방식으로 공예에 대한 범주와 개념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며 전통공예의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였다.
      이같은 새로운 관점과 방법론을 통하여 전통공예를 온전히 이해할 수 있는 2가지 필수 요소는 전통적 생산시스템과 공예품의 환경임을 확인하였고, 이 중요 요소를 전통공예 분류체계를 운영하는 데 가장 중요한 씨줄과 날줄로 삼았다. 전통공예 분류체계의 중요 기준 중의 하나는 장인(匠人)제작체계이며 이것을 전통공 예의 생산환경이라고 하였다. 또 다른 분류체계의 중요 기준은 공예품의 쓰임이고 이것을 전통공예의 사용환 경이라 이름 지었다. 이러한 2가지의 체계 기준은 필요에 따라 레고처럼 조합하여 통합적으로 우열 없이 사용 하거나 정책별 용도에 따라 제 각각 운용할 수 있도록 각 기준에는 대중소의 분류를 설정하였다. 완벽하지는 않으나 나름 전통공예에 대한 온전한 이해가 가능하도록 중요 기준과 각 기준별 세부기준을 설정하였으니 향후 현장에서 용도에 적합한 완성형 분류체계를 만드는 데 잘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공호, "한국공예유산 Archive구축을 위한 기록화방안"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2010

      2 이승주, "한국 전통공예 기능 분류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10) : 2012

      3 최공호, "한국 공예사학의 장르관습과 위계구조"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1 : 375-408, 2007

      4 김지선, "조선총독부 문화재정책의 변화와 특성 : 제도적 측면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5 최공호, "조선초기의 공예정책과 그 이념" 한국미술사학회 (194·195) : 1992

      6 최공호, "조선 전기 경공장의 기술 통제와 분업" 한국미술연구소 (47) : 115-138, 2018

      7 김종수, "일제강점기 문화재 법제 연구-「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1933년)」 제정·시행 관련 -" 국립문화재연구소 53 (53): 156-179, 2020

      8 이필영, "분류체계와 지원 관리방안연구 용역 보고서" 문화재청 2004

      9 국립중앙박물관 유물관리부, "박물관전산화를 위한 유물분류 표준화방안" 국립중앙박물관 1995

      10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미학강의" 지식을만드는지식 2013

      1 최공호, "한국공예유산 Archive구축을 위한 기록화방안"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2010

      2 이승주, "한국 전통공예 기능 분류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10) : 2012

      3 최공호, "한국 공예사학의 장르관습과 위계구조"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1 : 375-408, 2007

      4 김지선, "조선총독부 문화재정책의 변화와 특성 : 제도적 측면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5 최공호, "조선초기의 공예정책과 그 이념" 한국미술사학회 (194·195) : 1992

      6 최공호, "조선 전기 경공장의 기술 통제와 분업" 한국미술연구소 (47) : 115-138, 2018

      7 김종수, "일제강점기 문화재 법제 연구-「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1933년)」 제정·시행 관련 -" 국립문화재연구소 53 (53): 156-179, 2020

      8 이필영, "분류체계와 지원 관리방안연구 용역 보고서" 문화재청 2004

      9 국립중앙박물관 유물관리부, "박물관전산화를 위한 유물분류 표준화방안" 국립중앙박물관 1995

      10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미학강의" 지식을만드는지식 2013

      11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12 "문화재보호법(법률 제16596호, 시행 2020. 5. 27.)"

      13 "문화재보호법(법률 제13249호, 시행 2016. 3. 28.)"

      14 "문화재보호법 시행령(대통령령 제30704호, 시행 2020. 5. 27.)"

      15 "문화재보호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5873호, 시행 2015. 1. 29.)"

      16 "문화재보호법 시행규칙(문화관광부령 제77호, 시행 2003. 7. 14.)"

      17 "무형문화재법 진흥 및 보전에 관한 법률 시행령(법률 제13248호, 시행 2015. 3. 27.)"

      18 정수진, "무형문화유산의 문화정치학-유네스코 체제에 대한 한국의 대응을 중심으로-" 실천민속학회 26 : 287-316, 2015

      1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무형문화유산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제정 연구" 문화재청 2011

      20 조시내, "대한제국기 궁중 연향용 가구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7

      21 하워드 리사티, "기능적 공예: 현대 테크놀로지 시대에 있어서 정체성과 가치에 대한 의문들"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조직위원회 2003

      22 "국립고궁박물관"

      23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국가무형문화재 종목 분류체계 및 명칭 개선안 마련 연구용역" 문화재청 2018

      24 이승주, "국가무형문화재 범주 운용에 대한 개선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32 (32): 59-82, 2018

      25 글렌 아담스, "공예의 발명" 미진사 2017

      26 최공호, "공예사 방법론의 성찰과 다문화적 상상력" 한국미술사학회 295 (295): 207-230, 2017

      27 "日本 國立公文書館"

      28 정수진, "‘무형문화재’의 향방: 한일 양국의 제도 비교로부터" 동아연구소 31 (31): 265-296, 2012

      29 "UNESCO"

      30 김용철, "1962년 제정 「문화재보호법」과 일본의 문화재 보호 법령" 한국미술사학회 308 (308): 207-231,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