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초등 교사의 통합적 관점에서 본 체육교육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168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초등교육의 특성과 전문성 속에서 체육교과교육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의 근본적인 원인을 다시 찾아보고 초등체육교과교육의 문제해결방법을 ...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초등교육의 특성과 전문성 속에서 체육교과교육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의 근본적인 원인을 다시 찾아보고 초등체육교과교육의 문제해결방법을 좀 더 다양하게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2006년 6월부터 9월까지 초등교사 6명을 대상으로 1:1 개인 심층면담과 2인 이상이 참여하는 집단면담, 문서자료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사례기록과 귀납적 범주 분석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고 자료의 수집 및 분석과정에서 구성원간 검토와 동료간 협의를 통해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초등교사들이 인식하는 체육교과교육의 특성으로는 교육과 체육교육의 목적의 합일성, 초등교사로써의 역할, 초등체육교사로써의 역할로 범주화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reconsider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hrough the viewpoint on characteristic and experti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lso to find the various ways for the promote expertis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For this purpo...

      This study was to reconsider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hrough the viewpoint on characteristic and experti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lso to find the various ways for the promote expertis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1:1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group interviews involving more than 2 people, and documentary data on six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done to gather the data from June to September of 2006.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case records and inductive category analysis, and also evaluation between the members and peer and professional consultation were done to raise the credibility of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education 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were categorized into the goal of physical education, the ro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o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teach physical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recognized the goal of physical education to actualize the goal of elementary education as educational material, so through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ut importance on the basics/basis of life education, and also they expected for the children to enjoy the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both in class times and everyday life naturally. These sorts of recognition can be interpreted that educational objectives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secondary physical education`s. In addition, teachers thought the importance of the skill on physical education. but they thought it`s more important that integrating viewpoint with extensive experience and subject characteristic.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관식, "효율적인 중학교 혼성반 체육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체육교육학회 14 (14): 105-123, 2009

      2 이승배, "초등학생의 교과관" 6 (6): 71-92, 1999

      3 안옥연, "초등학교 학교체육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교육대학원 1999

      4 김인상, "초등학교 체육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심층적 분석" 경기대학교대학원 2004

      5 김정호, "초등학교 체육교과전담제에 따른 실태조사 연구" 청주대학교대학원 2002

      6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Ⅴ)"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7

      7 김정효, "초등학교 교실현장에서 드러나는 초등학교교육목적의 성격" 한국초등교육학회 17 (17): 1-26, 2004

      8 신기철, "초등체육지도교사의 효율적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분석" 18 (18): 141-154, 1997

      9 고전규, "초등체육지도교사 유형에 따른 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정서 및 수업만족도 관계"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2009

      10 안양옥, "초등체육의 현실과 이상" 무지개사 2004

      1 황관식, "효율적인 중학교 혼성반 체육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체육교육학회 14 (14): 105-123, 2009

      2 이승배, "초등학생의 교과관" 6 (6): 71-92, 1999

      3 안옥연, "초등학교 학교체육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교육대학원 1999

      4 김인상, "초등학교 체육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심층적 분석" 경기대학교대학원 2004

      5 김정호, "초등학교 체육교과전담제에 따른 실태조사 연구" 청주대학교대학원 2002

      6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Ⅴ)"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7

      7 김정효, "초등학교 교실현장에서 드러나는 초등학교교육목적의 성격" 한국초등교육학회 17 (17): 1-26, 2004

      8 신기철, "초등체육지도교사의 효율적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분석" 18 (18): 141-154, 1997

      9 고전규, "초등체육지도교사 유형에 따른 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정서 및 수업만족도 관계"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2009

      10 안양옥, "초등체육의 현실과 이상" 무지개사 2004

      11 유승희, "초등교육학의 학문적 성격과 탐구영역" 13 (13): 181-203, 2000

      12 이병진, "초등교육학개론" 문음사 2001

      13 정광순, "초등교육의 통합성에 관한연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2001

      14 고재천, "초등교육의 정체성 탐색. in: 21세기를 여는 초등교육의 쟁점들" 303-326, 2000

      15 엄태동, "초등교육의 재개념화" 학지사 2003

      16 박상호, "초등교육론" 집문당 1997

      17 장찬익, "초등교사의 전문성과 양성대학의 교과교육" 13 (13): 353-376, 2001

      18 하종백, "체육전담교사와 일반교사의 체육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 비교" 인천대학교 대학원 2002

      19 최지혜, "체육수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비교분석" 부산대학교대학원 2005

      20 유정애, "체육과 교육과정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

      21 교육부,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해설.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22 전현욱, "다중지능 이론의 초등학교 체육수업 적용가능성 탐색"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2006

      23 김낭규, "뉴스포츠의 혼성체육수업 적용 가능성 탐색: 학생체험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6 (16): 17-34, 2009

      24 이병진, "교직 생애 주기에 따른 교원 연수체제에 관한 연구" 34 (34): 315-345, 1996

      25 허미화, "교육에서의 질적사례연구법" 양서원 1997

      26 이용숙,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교육과학사 2002

      27 Fogarty, R., "교사를 위한 교육과정 통합의 방법" 원미사 1991

      28 Hellison, D., "Teaching responsibility through physical activity" Human Kinetics. 1995

      29 Placek, J., "Rethinking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68 (68): 20-24, 1992

      30 Cone, T., "Interdisciplinary teaching through physical education" Human Kinetics 1998

      31 Sidentop, D., "Developing teaching skills in physical education(4th ed.)" Mayfield 2000

      32 McBride, R., "Critical Thinking: An idea whose time has come!" 66 (66): 22-52,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8 1.78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1 1.8 1.668 0.5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