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 연구의 필요성
- 문헌고찰
- 성공적 노후의 의미
- 성공적 노후관련 이론 및 연구결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14427
2009
Korean
378
KCI등재
학술저널
181-209(29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배,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211-231, 2008
2 기영화, "퇴직준비를 위한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 모델의 이론적 토대" 3 (3): 17-41, 2000
3 허정무, "퇴직자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탐색을 통한 퇴직준비교육프로그램 모델 개발" 18 (18): 1-18, 1998
4 김미혜, "퇴직에 대한 태도화 개념화에 기초한 퇴직준비교육의 개발" 22 : 13-37, 1993
5 김희수, "퇴직교원의 교육활동 참여방안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6 박지영, "초등학교 퇴직교원의 평생교육경험에 따른 사회활동참여와 생활만족도: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7 이수복, "정년퇴직교원의 사회적응실태 분석" 연세대학교대학원
8 이상호, "실직자를 위한 성취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26 (26): 2002
9 조해경, "성공적인 노화에 관한 연구" 연세다학교대학원 2002
10 성혜영, "성공적 노화 개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Q 방법론적 접근 -" 한국노년학회 22 (22): 75-93, 2002
1 김동배,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211-231, 2008
2 기영화, "퇴직준비를 위한 평생교육프로그램 개발 모델의 이론적 토대" 3 (3): 17-41, 2000
3 허정무, "퇴직자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탐색을 통한 퇴직준비교육프로그램 모델 개발" 18 (18): 1-18, 1998
4 김미혜, "퇴직에 대한 태도화 개념화에 기초한 퇴직준비교육의 개발" 22 : 13-37, 1993
5 김희수, "퇴직교원의 교육활동 참여방안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6 박지영, "초등학교 퇴직교원의 평생교육경험에 따른 사회활동참여와 생활만족도: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7 이수복, "정년퇴직교원의 사회적응실태 분석" 연세대학교대학원
8 이상호, "실직자를 위한 성취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26 (26): 2002
9 조해경, "성공적인 노화에 관한 연구" 연세다학교대학원 2002
10 성혜영, "성공적 노화 개념의 인식에 관한 연구 - Q 방법론적 접근 -" 한국노년학회 22 (22): 75-93, 2002
11 홍현방, "생산 활동 수준과 성공적인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29) : 203-235, 2005
12 박종삼, "사회복지학개론" 학지사 2000
13 윤종만, "비자발적 퇴직자의 대처전략의 영향요인과 아웃플레이스먼트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28 (28): 193-221, 2004
14 박은숙,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 및 삶의 질간의 관계연구" 6 (6): 238-251, 1997
15 김태현,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18 (18): 150-169, 1998
16 성미애, "남성 퇴직자의 행활태도 유형화 및 유형별 퇴직 후 적응도" 서울대학교대학원
17 정선욱, "기업체의 퇴직준비프로그램이 퇴직 후 생활적응 예측변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1995
18 기영화, "기업규모와 퇴직준비교육경험에 따른 중ㆍ고령 생산직 근로자들의 퇴직준비교육요구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8 (8): 127-146, 2005
19 이신영, "국내의 성공적 노화연구에 관한 일 고찰" 16 (16): 117-136, 2006
20 허정무, "교원의 정년퇴직 준비과정과 퇴직 후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1 송기창, "교원 퇴직준비교육요구와 필요성" 전남대학교교육대학원 2006
22 호정화, "교사의 일과 은퇴에 대한 태도 연구: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1997
23 김경숙, "공무원의 퇴직준비교육프로그램 필요성에 관한 연구: 경기도 재직 및 퇴직공무원을 중심으로" 강남대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6
24 Siegel, S. R, "characteristics of Existing and Planned Retirement Programs" 1 : 93-99, 1978
25 Atchley.R.C, "What happened to retirement planning in the I WO`s. in Aging and retirement" Ssge publications 39-47, 1981
26 Barfield, R, "Trends in planned early retirernent" 18 (18): 13-18, 1978
27 Connidis, I,A, "To have or have not parent status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older men and women" 33 : 630-636, 1993
28 Larson,R, "Thirty years of research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older Americans" 33 : 109-125, 1978
29 Ognibene,E.C, "The role of education in outplacement"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1998
30 Lentzner, H. R, "The quality of life in the year before year" 82 : 1093-1098, 1992
31 Campbell, H, "The in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retirement education program in an industrial environment" ST. Francis Xavier University 2000
32 Blocklyn, P. L, "The aging workforce personnel"
33 Strawbridge, W. J. Cohen, "Successful aging: predictors and associated activities" 1444 : 135-141, 1996
34 Rowe, J. W, "Successful aging" Dell Publishing A Division of Random House 1998
35 Homans,G.C, "Social behavior: Its elementory forms" Wiley 1961
36 George,L.K, "Role transition in later life" Brooks/Cole 1980
37 Hurwitz,D.S, "Retirement and pension plans in Encyclopedia of Social Work" 25 : 507-512, 1987
38 Montana,P, "Preretirement planning: How corporations help" 31 : 121-128, 1986
39 Brady.E. M, "Preretirement education inodels and ccontent: A new Engliand study" 22 : 329-339, 1996
40 Rook,K, "Positive and negative exchanges: Weighing their effects in the later life" 52 : 167-169, 1997
41 Wethington, E, "Perceived support, received support, and adjustment to stressful life events" 27 : 78-89, 1986
42 Fries, J. F, "Natural death, and the compression of mrobidity" 303 (303): 130-135, 1980
43 Hornstein, G., "Modes of experiencing and adapting to retirerment intermational" 21 : 291-315, 1985
44 Mannel, R. C, "Life Satisfaction. in Encyclopedia of Gerontology" 2 : 1996
45 Merriam, S. B, "Learning in adulthood" Jossey-Bass 1999
46 Morse, D. W, "Early retirement-boon or bane?" Allanheld, Osmun & Co. Publishers, Inc. 1983
47 Kirrane, D, "EAPS: Dawning of a new age" 1 : 30-34, 1990
48 Comish,S.E, "Changing images of self: The efficacy of retiremant preprration programs for women" 1995
49 Conrad, R.C, "An investigation of the refirement preparation and decision-making of teachers in a public school district" The university of Rochester 1993
50 Torres,S, "A preliminary test of a culturally-revant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study of successful aging" 18 : 79-100, 2003
51 Huebbe,S.K, "A gold watch: The transition experiences of recently retired Wisconsin public school teacher" Th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1999
52 Schultz, R, "A Life span model of successful aging" 51 (51): 702-714, 1996
53 모선희, "55세 이상 은퇴자들의 노후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326-349, 2003
지역사회학교의 평생교육 실천적 함의 : 지역사회 학교의 평생교육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학교의 지역사회 평생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stakeholder의 참여에 관한 연구
유영모의 씨알 사상이 평생교육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새마을 성인교육 운동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9-05-3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Korea Lifelong Education & HRD Institute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2차)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1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평생교육 · HRD연구 -> 평생교육 · HRD연구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