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물복지 인증 제품에 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nimal Welfare Certified Produ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659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친환경 동물복지란 인간이 동물을 이용함에 있어 윤리적인 책임을 가지고 동물이 필요로 하는 기본조건을 보장하는 것을 의미한다(농림축산식품부, 2011). 우리나라의 축산업은 생산성 향상...

      친환경 동물복지란 인간이 동물을 이용함에 있어 윤리적인 책임을 가지고 동물이 필요로 하는 기본조건을 보장하는 것을 의미한다(농림축산식품부, 2011). 우리나라의 축산업은 생산성 향상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기에 동물복지보다는 무분별한 가축 사육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여러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예가 2017년의 살충제 계란 파동이라 할 수 있으며, 사회적인 문제 상황이 이슈화 된 현재가 동물복지 차원의 변화를 이루어낼 수 있는 시점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언론매체에 나타난 동물복지 관련 소비자 인식에 대한 텍스트 분석과 실증연구를 통하여 동물복지 인증 제품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회적인 이슈 및 논의를 파악하기 위해서 2015년부터 2017년까지의 동물복지에 대한 언론보도자료 508건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실시했는데, 그 결과 동물복지와 관련하여 살충제, 친환경, 계란, 인증, 정부, 환경이 높은 중심성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동물복지 제품과 관련하여서 친환경적인 요소에 주요한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계란과 살충제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도 확인 할 수 있었다. 정부, 인증에 대한 높은 중심성은 동물복지와 관련한 정부의 정책 및 인증 마크/제도에 대해 사회적 관심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동물복지에 대한 주된 사회적 논의주제의 분석을 통해서, 사회에 만연해 있는 동물복지 이슈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과 정부에 대한 요구가 있음도 확인 할 수 있다.
      동물복지 제품을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311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동물복지 관련 실증조사 결과, 연구대상자들의 동물복지 계란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환경보호에 대한 소비자 태도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동물복지 마크가 부착된 제품과 아닌 제품의 이미지를 제시하고, 다른 요인들을 통제한 후 어떤 제품을 선택하는지 분석한 결과 동물복지 마크인식의 여부가 소비자의 태도, 구매의도, 생명존중 성향에서 차이점을 발생시킨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두 가지 연구방법의 결과를 바탕으로, 동물복지 제품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변화에 대한 제언을 시도해보고, 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동물복지 인증 제품에 대한 사회적 인식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imal welfare implies that humans guarantee basic conditions for animals with moral responsibilities for using them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1). In livestock industry in Korea, however, the goal of it is to increase produc...

      Animal welfare implies that humans guarantee basic conditions for animals with moral responsibilities for using them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1). In livestock industry in Korea, however, the goal of it is to increase productivity, so animals are raised recklessly without considering their welfare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17). This paper will explore the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system and analyze issues related to animal welfare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sumers’ recognition or certification marks on purchase intention.
      First, to figure out social issues or discussions about it, this researcher conducted network text analysis on 508 press materials reporting animal welfare from 2015 up to 2017. According to the results, regarding animal welfare, pesticides, eco-friendliness, eggs, certification, the government, and environment indicate high centrality. This tells us that concerning animal welfare products, consumers have keen interest in eco-friendly factors. Also they are paying keen attention to the issues related to eggs and pesticides. Also, the government or certification indicates high centrality because in our society, people have keen interest in animal welfarerelated government policies or certification marks/systems. With analysis on major social discussion topics about animal welfare, this author has found that animal welfare is hardly realized in our society and people are demanding it from the government.
      Second, this paper conducted a survey to 311 consumers about animal welfar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y have positive attitudes about animal welfare-grounded eggs, and particularly, they received a high score in attitudes about environmental protection. Analyzing their general recognition and attitudes, this author also carried out experim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ir recognition on animal welfare marks makes difference in their attitudes, purchase intention, or respect for lif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elps animal welfare farms, the government, and companies to understand consumers buying animal welfare eggs better and also suggest political directions we should be oriented to about animal welfare afterwards. Moreover, we should never ignore the growing interest in animal welfare thinking it is just a one-off social phenomenon and keep an eye on the potential hidden in it. This author here will give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to raise social awareness about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marks that guarantee safety as well as reliabi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인, "해외 동물복지 축산정책 현황조사" 농림축산식품부 2014

      2 트렌드모니터, "코즈마케팅 및 착한 소비 관련 인식조사"

      3 장우성, "친환경인증마크가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환경의식 수준과 이타주의 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품학회 32 (32): 27-46, 2014

      4 김태완, "지역먹거리(local food)사업과 소규모농민 생활의 변화 : 완주로컬푸드협동조합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6

      5 곽윤영, "윤리적 소비 관련 인증제도 활성화 방안연구" 1-136, 2015

      6 조광호, "유기 및 동물복지형 축산물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가치평가 -육류를 중심으로-" 한국농식품정책학회 34 (34): 473-500, 2007

      7 박건, "위험인식이 동물복지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들의 AI위험인식 요인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8

      8 임은정, "비윤리적 행동의 소비자 공모 매커니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영향요인의 실증분석 및 인공신경망모형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소비자원 48 (48): 183-222, 2017

      9 우병준, "동물복지형 축산의 동향과정책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166, 2010

      10 조광호, "동물복지형 축산의 동향과 우리의 대응" 한국농식품정책학회 32 (32): 868-891, 2005

      1 이종인, "해외 동물복지 축산정책 현황조사" 농림축산식품부 2014

      2 트렌드모니터, "코즈마케팅 및 착한 소비 관련 인식조사"

      3 장우성, "친환경인증마크가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환경의식 수준과 이타주의 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품학회 32 (32): 27-46, 2014

      4 김태완, "지역먹거리(local food)사업과 소규모농민 생활의 변화 : 완주로컬푸드협동조합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6

      5 곽윤영, "윤리적 소비 관련 인증제도 활성화 방안연구" 1-136, 2015

      6 조광호, "유기 및 동물복지형 축산물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가치평가 -육류를 중심으로-" 한국농식품정책학회 34 (34): 473-500, 2007

      7 박건, "위험인식이 동물복지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들의 AI위험인식 요인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8

      8 임은정, "비윤리적 행동의 소비자 공모 매커니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영향요인의 실증분석 및 인공신경망모형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소비자원 48 (48): 183-222, 2017

      9 우병준, "동물복지형 축산의 동향과정책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166, 2010

      10 조광호, "동물복지형 축산의 동향과 우리의 대응" 한국농식품정책학회 32 (32): 868-891, 2005

      11 윤창호, "동물복지형 축산의 경제적 타당성에 관한 연구 : 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2

      12 신동민, "동물복지형 축산에 대한 국내외 정책 동향 및 소비자인식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2015

      13 안병일, "동물복지형 축산물에 대한 사전적 수요함수 추정" 한국농식품정책학회 35 (35): 566-580, 2008

      14 강진희, "동물복지인증식품에 대한 기대가치가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32 (32): 449-473, 2017

      15 안규철, "동물복지의 동향과 인증제도의 정착을 위한 방안 모색(총설)" 동물자원공동연구소 25 (25): 157-171, 2014

      16 김선우, "동물복지의 개념, 윤리적 근거 및 소비자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2014 (2014): 124-129, 2014

      17 조희경, "동물복지와 축산물 안전성의 관계" (사)한국동물복지협회 2007

      18 김정년, "동물복지를 위한 인증과 규제에 대한 소비자 지불의사금액 비교 -양돈 임신스톨을 중심으로-" 한국농식품정책학회 40 (40): 547-565, 2013

      19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읭식조사결과 요약"

      20 배정환, "동물 복지를 고려한 축산물에 대한 지불용의액 추정" 한국농업경제학회 52 (52): 49-70, 2011

      21 임미자, "누가 무첨가 표시 마케팅에 반응하는가?: 소비자 특성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문화학회 20 (20): 61-86, 2017

      22 강혜정, "농장동물복지의 도입 가능성과 과제" 73 : 2011

      23 최염순, "농장동물복지의 권고지침 추진동향과 정책과제" 한국사료협회 57 : 73-78, 2009

      24 농수산축산신문, "국민 체감 식탁(食卓)안전을 만들자"

      25 윤유경, "가치소비추구에 따른 동물복지인증 달걀의 이용실태 조사"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14

      26 이두원, "가정과 언론/ 신문이 보도한 가정 기호학적분석" 353 : 1-3, 2000

      27 Leyland. A.H, "Multilevel modelling of gealth statistics" Wiley 2001

      28 Kauppinen Tiina, "Improving animal welfar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ology in the study of farmers' attitudes" 19 : 2010

      29 Freeman, L. C.,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Ⅱ. Experimental results" 2 (2): 119-141, 1979

      30 Lagerkvist, Carl, "A meta-analysis of consumer willingness to pay for farm animal welfare" 38 : 55-78, 2010

      31 한겨레신문, "2~3배 비싼 동물복지 달걀…정부 지원․소비자 호응 있어야"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 1.88 2.351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