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K-ADOC 개발을 위하여 작업치료 전문가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기존의 일본어 버전의 작업 영역및 문항이 한국 문화에 적합한지 이미지 검토와 한국어 번역 및 역번역 검증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69919
2025
Korean
내용타당도 ; 번역검증 ; 작업치료 ; 평가도구 ; K-ADOC ; Assessment ; K-ADOC ; Occupational therapy ; Translation ; Verification
KCI등재
학술저널
35-44(1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K-ADOC 개발을 위하여 작업치료 전문가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기존의 일본어 버전의 작업 영역및 문항이 한국 문화에 적합한지 이미지 검토와 한국어 번역 및 역번역 검증을 ...
목적: 본 연구는 K-ADOC 개발을 위하여 작업치료 전문가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기존의 일본어 버전의 작업 영역및 문항이 한국 문화에 적합한지 이미지 검토와 한국어 번역 및 역번역 검증을 시행함으로써 K-ADOC 평가도구의개발에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세계보건기구에서 권장하는 번역 절차를 인용 및 수정하여, 2023년 일본에서 출시된 ADOC-2 번역과 문화 비교 및 구성항목의 타당성 연구의 번역 절차에 대해 총 6단계의 번역 및 검증 절차로 진행하였다. KADOC의한글 번역에는 작업치료학 전공 교수 3명, 한글번역본 검증에는 한국어와 일본어를 사용하는 작업치료학전공 교수 1명, 번역본의 이해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이해도 평가 설문은 임상경력 5년 이상의 작업치료사 15명을대상으로 검증하였다. K-ADOC의 역번역은 일본어를 능숙히 구사하는 작업치료분야 전문가로 ADOC 원본을 보지못한 자가 수행하였다.
결과: 작업 이미지와 텍스트 번역 및 검수 결과 이동하기, 스포츠 및 신체활동, 취미 영역에서 수정이 있었다. 전문가15명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자조간호, 가정생활 1항목, 일/교육 2항목, 대인관계 1항목에서 CVR 값이 0.49 보다 낮게 나타나 이미지와 텍스트의 적합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ADOC-2에 대하여 국내 문화를 반영한이미지 및 텍스트 적합성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내용타당도를 산출하여 국내 실정에 맞게 K-ADOC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가 있다. 번역 및 검증과정을 토대로 자가간호, 가정생활, 일/교육, 대인관계 영역에 대한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도출되어 추후 연구에서는 수정본에 대한 검증을 토대로 실증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e Korean version of the Aid for Decision-Making in Occupation Choice (ADOC) by verifying the cultural relevance of its domains and items. This was achieved through a systematic translation process and e...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e Korean version of the Aid for Decision-Making in Occupation Choice (ADOC) by verifying the cultural relevance of its domains and items. This was achieved through a systematic translation process and expert evaluation of both the images and terminology. The methodology followed six stages adapted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recommended translation procedures: forward translation, expert review, and back translation. The Korean version was reviewed by three professors specializing in occupational therapy, and a bilingual professor evaluated the accuracy of the translation. A comprehensive survey of 15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clinical practice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larity and cultural appropriateness of the translated content.
To ensure objectivity, back translation was performed by an occupational therapist fluent in Japanese who was unfamiliar with the original ADOC text. The findings indicated that some domains, such as mobility, sports and physical activities, and hobbies, required revision because of cultural discrepancies identified during the image and text review process. Content validity was assessed by 15 clinical experts using the Content Validity Ratio, which revealed that several items—specifically in the areas of self-care, home life (one item), work/education (two item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e item)—fell below the acceptable Content Validity Ratio threshold of 0.49, suggesting the need for further modifications. In conclusion, the Korean version of ADOC was culturally adapted through rigorous translation and validat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cultural sensitivity in the adaptation of clinical tools and provides a foundation for further empirical research. Future studies should focus on testing the revised version in a clinical setting to confirm its reliability and effectiveness for Korean clients.
뇌성마비 아동의 안구움직임 조절 중재 및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호흡곤란 정도에 따른 일상생활활동 수행력 비교
로봇보조훈련 기반의 이중과제 치료가 뇌졸중환자 보행에 미치는 효과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디지털 치료기기에 대한 인식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