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에듀테크 활용 국악교육에 대한 교사 측면에서의 인식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해 국악수업에서의 에듀테크 활용의 의미와 효율적인 에듀테크 활용 수업운영을 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에듀테크 활용 국악교육에 대한 교사 측면에서의 인식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해 국악수업에서의 에듀테크 활용의 의미와 효율적인 에듀테크 활용 수업운영을 위...
본 연구는 에듀테크 활용 국악교육에 대한 교사 측면에서의 인식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해 국악수업에서의 에듀테크 활용의 의미와 효율적인 에듀테크 활용 수업운영을 위한 방향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교사 10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고, 교사들의 에듀테크 활용 인식과 경험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 분석과 기술 통계분석을 활용하여 해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로 첫째, 에듀테크 활용 국악교육의 필요성 인식은 높았으며, 수업의 장점은 동기유발과 수업 활동의 편의 제공, 단점으로는 부족한 콘텐츠, 도구 사용의 어려움, 학습환경 제약 등을 답하였다. 둘째, 에듀테크 활용 국악교육의 경험 경로는 인터넷 검색과 동료 교사의 추천이 높았고, 수업의 역량 수준은 전반적으로 보통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에듀테크 활용 국악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및 지원사항으로는 콘텐츠 개발 및 질 관리, 인프라 구축, 구입예산 확충, 교사 연수 등이 제시되었고, 향후 필요한 에듀테크 기술로는 국악 관련 콘텐츠 저작도구 개발, AI, VR, AR 활용 기술 등이 요구되었다. 넷째,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제시한 향후 디지털 에듀테크 활용 국악교육의 방향으로는 국악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한 국악교육, 디지털 기술에 지나친 과의존 경계, 탐구학습에 기반을 둔 국악수업, 학습자 개인적인 특성과 수준을 고려한 학생 맞춤형 학습, 학생들의 즉각적인 피드백 활용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초등교사를 위한 에듀테크 활용 프로그램 개발 및 학교 국악교육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그 의미가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eachers’ perceptions of utilizing EduTech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to derive the meaning of using Edu Tech in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es and directions for efficient class management 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eachers’ perceptions of utilizing EduTech i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to derive the meaning of using Edu Tech in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es and directions for efficient class management using EduTech.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05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ir perceptions and experiences in using EduTech from various ang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there was a high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Korean Music education using EduTech. The advantages of such classes included enhanced motivation and convenience of class activities, while the disadvantages included insufficient content, difficulties in using tools and limitation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Second, the primary sources of experience in Korean Music education using EduTech were internet searches and recommendations from fellow teachers. The overall competency level in conducting such classes was found to be moderate. normal. Third, key areas for improvement and support to revitalize Korean Music education using EduTech included content development and quality management, infrastructure establishment, budget expansion for tool acquisition, and teacher training. Additonally, EduTech technologies needed for the future included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related content authoring tools and technologies utilizing AI, VR, and AR. Four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direction proposed for the future Korean music education using digital EduTech included strengthening Korean music literacy, guarding against excessive dependence on digital technology, fostering inquiry-based learning approaches, providing personalized learning tailored to individual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levels, and utilizing immediate student feedback.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ignificance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Tech utiliza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implementation of Korean music education in schools in the future.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처용무의 지도 방향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1, 2학년 통합교과 음악 내용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성취수준 개발 및 활용 방안-중학교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