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어머니 자아분화와 유아의 정서지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others' Differentiation in self-consciousness and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862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어머니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를 살펴봄에, 가까운 대인관계 속에서 고유한 속성이 한 세대에서 다음세대로 전이 된다는 Bowen이론에 준하여 연구하였다. 유아들과 정서적 유대감과 상호작용의 주된 담당자인 어머니라는 전제하여, 다양한 유아의 행동 및 정서지능을 이해하는데 있어 어머니의 자아분화와 출생가족 영향력으로부터의 영향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관계를 알아보았다.
      어머니의 현재 자아분화 수준에 따라 유아의 정서지능에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의 정신내적분화는 타인조절/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즉 정신내적분화가 잘 이루어진 어머니의 자녀는 타인조절/대인관계 능력이 더 뛰어났다. 유아의 정서지능 하위변인 중 타인의 정서적 반응을 능숙하게 인식하고, 그 사람의 반응에 감정이입적으로 반응하는 타인인식능력이 높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원 가족과의 영향요인인 삼각화, 가족투사의 분화수준에 따라 어머니의 자아분화 수준이 유아의 정서지능인 자기인식 표현 능력, 자기조절능력, 타인인식능력, 타인조절/ 대인관계 능력에 차이를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어머니의 삼각화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은 떨어지며, 이는 삼각화 점수가 높을수록 현재 어머니의 자아분화 중 과거출생가족인 원 가족과의 영향인 삼각화가 미분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자아분화가 낮은 어머니는 삼각화를 통해 특정 자녀를 자신들의 문제에 끌어 들이며 미분화에서 오는 갈등을 자녀에게 투사하는데, 어머니의 삼각화가 덜 이루어질수록 유아의 정서지능 중 자기조절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자아분화수준과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유아와 과장 직접적이고 일차적인 관계인 어머니의 자아분화수준 및 과거 출생 원 가족 영향력에 대한 중요성과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 따른 어머니의 정서적 요인들에 대한 재해석의 필요함을 입증하였다. 또한 가족체계 내에서의 바람작하고 원만한 어머니와 유아의 정서관계 형성 및 건강한 가족을 위해서 어머니 스스로의 사고와 감정의 조절, 긍정적인 자세 등 유아의 정서지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들의 자아분화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및 부모교육이 유아 교육 및 보육현장에서 이루어져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에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어머니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를 살펴봄에, 가까운 대인관계 속에서 고유한 속성이 한 세대에서 다음세대로 전이 된다는 Bowen이론에 준하여 연구하였...

      본 연구는 어머니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를 살펴봄에, 가까운 대인관계 속에서 고유한 속성이 한 세대에서 다음세대로 전이 된다는 Bowen이론에 준하여 연구하였다. 유아들과 정서적 유대감과 상호작용의 주된 담당자인 어머니라는 전제하여, 다양한 유아의 행동 및 정서지능을 이해하는데 있어 어머니의 자아분화와 출생가족 영향력으로부터의 영향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관계를 알아보았다.
      어머니의 현재 자아분화 수준에 따라 유아의 정서지능에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의 정신내적분화는 타인조절/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즉 정신내적분화가 잘 이루어진 어머니의 자녀는 타인조절/대인관계 능력이 더 뛰어났다. 유아의 정서지능 하위변인 중 타인의 정서적 반응을 능숙하게 인식하고, 그 사람의 반응에 감정이입적으로 반응하는 타인인식능력이 높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원 가족과의 영향요인인 삼각화, 가족투사의 분화수준에 따라 어머니의 자아분화 수준이 유아의 정서지능인 자기인식 표현 능력, 자기조절능력, 타인인식능력, 타인조절/ 대인관계 능력에 차이를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어머니의 삼각화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은 떨어지며, 이는 삼각화 점수가 높을수록 현재 어머니의 자아분화 중 과거출생가족인 원 가족과의 영향인 삼각화가 미분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자아분화가 낮은 어머니는 삼각화를 통해 특정 자녀를 자신들의 문제에 끌어 들이며 미분화에서 오는 갈등을 자녀에게 투사하는데, 어머니의 삼각화가 덜 이루어질수록 유아의 정서지능 중 자기조절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자아분화수준과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유아와 과장 직접적이고 일차적인 관계인 어머니의 자아분화수준 및 과거 출생 원 가족 영향력에 대한 중요성과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 따른 어머니의 정서적 요인들에 대한 재해석의 필요함을 입증하였다. 또한 가족체계 내에서의 바람작하고 원만한 어머니와 유아의 정서관계 형성 및 건강한 가족을 위해서 어머니 스스로의 사고와 감정의 조절, 긍정적인 자세 등 유아의 정서지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들의 자아분화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및 부모교육이 유아 교육 및 보육현장에서 이루어져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에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differentiation in self-consciousness and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based on the Bowen's theory that illustrates the unique personal attribute could be passed on to the next generation under the environment of close personal relationship.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 of mother as a mediator i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raction with others. The author made an attempt to analyze the influence of mother's differentiation in self-consciousness and family background on the infant's behavior and emotional intellignc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mother's level of differentiations in self-consciousness do influence the young children's level of emotional quotients. The findings also illustrate that the well developed mother's internal emotional differentiation affect and improve her ability to regulat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young children who has been influenced by the mother's well developed internal emotional differentiation will develop a capacity to recognize other's emotional response more adeptly through an empathy.
      The study found that the mother's level of development in triangulation and differentiation in family projection with her own family are key factors for young children in developing and explaining the differences in the emotional intellignce , including capacity to express consciousness, to regulate behavior, and to recognize others, and to manag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mother of young children with high level of triangulation with her own family implies deterioration in young children's self-regulatory capacity. The mother who has low level of differentiation in self-consciousness brings one of her kid into her own affair to project conflict arising from poor differentiation into her kids. It implies that mother of young children with low level of triangulation will contribute positive impact on infant's emotional intellignce, including self-regulatory capacity.
      The study found an importance and need for evaluation of mother's level of differentiation in self-consciousness in connection with her relationship with family as a key factor influencing young children's development in the emotional quotient.
      This study focuses on a role of mothers as a primary source of emotional influence to the young children. The study concludes with illustrating the significance of educating mothers in the field of day-care to enable them nurturing capacity of regulating emotions, self-consciousness, and positive attitude for the benefit of young children's to develop positive emotional intellignce.
      번역하기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differentiation in self-consciousness and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based on the Bowen's theory that illustrates the unique personal attribute could be passed on to the next g...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differentiation in self-consciousness and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based on the Bowen's theory that illustrates the unique personal attribute could be passed on to the next generation under the environment of close personal relationship.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 of mother as a mediator i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raction with others. The author made an attempt to analyze the influence of mother's differentiation in self-consciousness and family background on the infant's behavior and emotional intellignc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mother's level of differentiations in self-consciousness do influence the young children's level of emotional quotients. The findings also illustrate that the well developed mother's internal emotional differentiation affect and improve her ability to regulat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young children who has been influenced by the mother's well developed internal emotional differentiation will develop a capacity to recognize other's emotional response more adeptly through an empathy.
      The study found that the mother's level of development in triangulation and differentiation in family projection with her own family are key factors for young children in developing and explaining the differences in the emotional intellignce , including capacity to express consciousness, to regulate behavior, and to recognize others, and to manag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mother of young children with high level of triangulation with her own family implies deterioration in young children's self-regulatory capacity. The mother who has low level of differentiation in self-consciousness brings one of her kid into her own affair to project conflict arising from poor differentiation into her kids. It implies that mother of young children with low level of triangulation will contribute positive impact on infant's emotional intellignce, including self-regulatory capacity.
      The study found an importance and need for evaluation of mother's level of differentiation in self-consciousness in connection with her relationship with family as a key factor influencing young children's development in the emotional quotient.
      This study focuses on a role of mothers as a primary source of emotional influence to the young children. The study concludes with illustrating the significance of educating mothers in the field of day-care to enable them nurturing capacity of regulating emotions, self-consciousness, and positive attitude for the benefit of young children's to develop positive emotional intellig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Ⅰ장 서론 1
      • 제1절 연구목적 및 필요성 1
      • 제2절 연구범위 6
      • 제3절 용어의 정의 6
      • 제Ⅱ장 이론적 배경 9
      • 제Ⅰ장 서론 1
      • 제1절 연구목적 및 필요성 1
      • 제2절 연구범위 6
      • 제3절 용어의 정의 6
      • 제Ⅱ장 이론적 배경 9
      • 제1절 자아분화 9
      • 제2절 정서지능 22
      • 제3절 어머니의 자아분화 수준과 유아의 정서지능 31
      • 제Ⅲ장 연구방법 35
      • 제1절 연구재상 및 절차 35
      • 제2절 측정도구 37
      • 제3절 자료분석 39
      • 제Ⅳ장 연구결과 및 해석 41
      • 제1절 어머니의 현재 자아분화 수준과 원 가족 영향력과의 관계 41
      • 제2절 어머니의 과거 원 가족 출생 영향력과 유아의 정서 지능과의 관계 분석 42
      • 제3절 어머니의 현재 자아분화수준에 따른 유아 정서 지능과의 관계분석 44
      • 제Ⅴ장 결론 및 논의 47
      • 제1절 논의 47
      • 제2절 결론 49
      • 참고문헌 51
      • 부록 56
      • ABSTRACT 6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