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의 황후 표상과 젠더 ― 천황가의 이미지 정치와 황후의 역할 = Kōgō(Empress)'s Representation and Gender in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281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일본 근현대 사회에서 변화의 패러다임으로써 그 주역을 맡아 온 천황가의 여성들, 즉 황후 및 황태자비의 표상을 검토하고, 그 표상체계와 그 이면에 감춰진 모순된 구조들을 ...

      본고에서는 일본 근현대 사회에서 변화의 패러다임으로써 그 주역을 맡아 온 천황가의 여성들, 즉 황후 및 황태자비의 표상을 검토하고, 그 표상체계와 그 이면에 감춰진 모순된 구조들을 젠더사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특히 메이지 시대 쇼켄 황후의 역할과 당시의 여성관을 담고 있는 ‘女帝 논쟁’에 주목하고, 현재까지 평행선을 이루며 계승되고 있는 여제론이 천황제의 법적인 운용이라는 측면을 넘어 일반의 여성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젠더사적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천황가의 황후들은 천황의 파트너로서 대중 앞에 서서 가족국가 중심의 근대화된 천황가를 어필하고, 여성 교육과 육아 교육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해 냄은 물론 선도적인 역할을 했다. 이러한 황후들의 표상이 적극적으로 선전되고 받아들여질 때마다 ‘절대 권력’으로서의 근대 천황제가 완성되고 또 현대에 와서는 ‘국민 통합의 상징’으로서의 ‘상징 천황제’가 정착된 것은 천황제 시스템이 갖는 일본에서의 고유의 기능(특수성) 때문만은 아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황후의 표상이 갖는 의미 체계를 현재의 마사코 황후의 문제를 포함해 보다 적극적으로 해석할 필요성을 문제제기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s the representation of Kōgō(皇后, Empress), a charitable mother and a national mother in Japan, and criticizes the ideology of Tennoism. The post-war Japan has maintained and recreated the ideal of the “national body” in ...

      This article analyzes the representation of Kōgō(皇后, Empress), a charitable mother and a national mother in Japan, and criticizes the ideology of Tennoism.
      The post-war Japan has maintained and recreated the ideal of the “national body” in such a way that the people and Kōgō are directly connected. The maternity of Kōgō as an affectionate mother has become the foundation of nationalism. However, Kōgō suffers from the ideology of hereditary lineage. And Kōgō is still caught by the ideology of gender role division. This is also a problem in that Kōgō acts like a model for Japanese women.
      This paper focuses on the Kōgō symbol, which has been an icon of the times, and discusses it from a gender perspective.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xamine the role of women's powers such as the Kōgō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and approach the crises of Tennois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