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멀티미디어 프로그램과 활동 중심 발음 지도가 초등학생의 영어 마찰음 발음 능력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Multimedia Programs and Activity-based Pronunciation Education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ronunciation Skills of English Fricativ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838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inaccurate pronunciation is a major problem to communication and leads to the misunderstanding of the listener. English learners should learn about not only the grammar and vocabulary of the target language but the exact pronunciation of it. Specif...

      An inaccurate pronunciation is a major problem to communication and leads to the misunderstanding of the listener. English learners should learn about not only the grammar and vocabulary of the target language but the exact pronunciation of it. Specifically, Korean learners who learn English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are likely to be thrown into confusion when they pronounce English fricatives due to the different sound system of Korean and Eng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a variety of activity-centered pronunciation instruction using multimedia programs on school children's understanding and pronunciation skills of English fricativ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9 fifth-grade English learners in G elementary school in Seoul. After domestic and foreign multimedia programs were analyzed, activity-centered vocabulary education was provided based on the basic vocabulary list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n the conversation of the speakers was recorded, and two English native speakers evaluated their pronunciation in respect of intelligibility and comprehensibility.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distinction skills of English fricatives and pronunciation accuracy before the experime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t indicated that the ability to discriminate the phonemes of the fricatives had nothing to do with another ability to pronounce them accurately, which proved the necessity of efficient pronunciation education.
      Second, as for changes in the pronunciation of the fricatives, they showed an improvement in pronouncing /v/, /s/ and /Θ/ after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ut no change was found in their pronunciation of /f/. It showed that the students were better at unmarked pronunciation, as it could be inferred from the hypothesis about markedness. The various sorts of activity-centered pronunciation lessons that utilized multimedia program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their pronunciation accuracy.
      Third, whether they underwent any changes in understanding of fricative pronunciation was checked, and they made progress in the pronunciation of /s/ and /Θ/. They found it relatively easier to understand the pronunciation of /f/ and /v/ from the beginning, and they showed an improvement in the understanding of /s/ and /Θ/ after they received the activity-centered pronunciation instruction. It suggested that learners will be able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fricatives when they learn how to pronounce particular fricatives they are likely to mispronounc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onunciation accuracy and understanding of the fricatives,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two of /f/ sound(.625), and a very clos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two of /v/ sound(.828). Ye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wo of /s/ and /Θ/ sounds(.-168, .143). As Munro and Derwin(1997)'s study and Matsuura and two others(1999)'s study found that the pronunciation accuracy and understanding affected each other but were separate and independent dimensions, accurate pronunciation didn't necessarily lead to good understanding.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English teachers should teach students to get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sound system of English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Korean first of all, and they should make use of diverse multimedia to provide intriguing activity-centered pronunciation instruction tailored to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ers. And every party concerned involving teachers should try to prepare systematic English curriculums and textbooks to ensure the efficiency of pronunciation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부정확한 발음의 사용은 의사소통상 중요한 장애 요인이 되고 청자로 하여금 오해를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영어를 배울 때 문법과 어휘력의 습득뿐만 아니라 목표어의 정확한 발음 습득도 ...

      부정확한 발음의 사용은 의사소통상 중요한 장애 요인이 되고 청자로 하여금 오해를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영어를 배울 때 문법과 어휘력의 습득뿐만 아니라 목표어의 정확한 발음 습득도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제2외국어로 영어를 배우고 있는 한국인 학습자들의 경우, 영어와 모국어의 음운체계가 달라 유창한 영어 발음을 하는데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많은 마찰음을 대상으로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을 활용한 다양한 활동 중심 발음 수업을 실시하여 이해도와 명료도 측면에서 초등학생의 마찰음 발음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G초등학교의 5학년 영어학습자 19명을 대상으로 국내외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을 조사·분석한 후 제7차 교육과정 기본어휘표에 존재하는 어휘를 중심으로 활동중심 발음지도를 실시한 후 학습자의 발화 녹음을 실시하고 두 원어민이 명료도와 이해도를 평가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 영어 마찰음 식별능력과 발음 명료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영어 마찰음 소리를 듣고 같거나 다른 음소로 구별해내는 능력과 발음을 명료하게 구사하는 능력은 서로 관련이 없는 것으로 학교에서 발음지도가 필요함을 나타내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둘째, 사전-사후 영어 마찰음 발음의 명료도 변화는 /f/발음을 제외한 /v/, /s/, /Θ/의 발음은 향상되었다. 이는 유표성 차이 가설에서 예상되어진 것과 같은 결과로 학습자들은 무표적인 발음을 더 잘하는 것을 알 수 있음을 드러낸 결과였다. 본 실험 연구에서 멀티미디어 프로그램과 활동 중심 발음 수업이 마찰음 발음의 명료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사전-사후 영어 마찰음 발음의 이해도 변화를 비교한 결과 /s/와 /Θ/ 발음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f/와 /v/ 발음은 원어민 화자가 처음부터 비교적 쉽게 이해하는 발음으로 나타났으며 /s/와 /Θ/ 발음은 활동 중심 발음 수업을 실시한 후 발음의 이해도가 향상된 것으로 오류가 예상되는 발음에 대한 지도를 실시한다면 학습자가 어려워하는 발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해 주었다.
      넷째, 마찰음 발음의 명료도와 이해도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f/ 발음의 상관계수는 .625로 높은 상관을 보였고, /v/ 발음은 .828로 매우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s/ 발음과 /Θ/ 발음의 상관계수는 각각 .-168과 .143으로 통계적으로 상관이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Munro와 Derwing(1997), Matsuura 외 2인(1999)의 발음의 명료도와 이해도의 연구에서 명료도와 이해도가 서로 영향을 주긴 하지만 각각 독립된 차원에 속한다고 설명한 것과 같이, 높은 명료도가 반드시 좋은 이해도와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하지 않는다는 실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명료도와 이해도 사이에 상관관계를 갖는 발음 영역에 대한 일치된 견해가 없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멀티미디어 프로그램과 다양하고 재미있는 영어 발음 관련 게임, 노래 등의 활동 중심 발음 지도 수업이 학생들의 영어 마찰음 발음의 명료도와 이해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소리 식별 능력과 발음 능력은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처럼 학생들의 발음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영어 수업 시간에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발음 지도를 실시해야 하며, 영어 교사들은 영어 발음 지도에 선행하여 우리말과 다른 영어 음운체계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흥미와 수준에 알맞은 활동을 중심으로 한 발음 수업을 적극 고려하여야 하겠다.
      본 연구는 제7차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발음 지도 관련 내용 분석을 바탕으로 개별음에 대한 지도 방법만을 제시하였는데 수업 시간 중 통합된 발음 지도 시간을 갖는 것을 제안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영어교사들이 수업에서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발음 학습을 관리할 수 있도록 영어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발음 지도 요소가 발음의 난이도에 근거해서 체계적으로 조직되어지도록 모든 관계자와 교사들의 관심과 적극적인 대책이 있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1
      • 1.2 연구의 목적 5
      • 1.3 연구의 제한점 6
      • Ⅱ. 이론적 배경 7
      • Ⅰ.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1
      • 1.2 연구의 목적 5
      • 1.3 연구의 제한점 6
      • Ⅱ. 이론적 배경 7
      • 2.1 한국어와 영어의 자음체계 7
      • 2.2 영어 마찰음의 조음적 특성 13
      • 2.3 유표성 차이 가설 18
      • 2.4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영어 학습 20
      • 2.5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속 발음관련 내용 41
      • 2.6 영어 발음지도를 위한 수업 모형 48
      • 2.7 명료도(intelligibility)와 이해도(comprehensibility) 53
      • 2.8 선행 연구 56
      • Ⅲ. 연구 방법 62
      • 3.1 연구 가설 62
      • 3.2 연구 대상자 63
      • 3.3 연구 기간 및 절차 68
      • 3.4 연구 설계 71
      • 3.5 연구 도구 72
      • 3.6 자료 처리 및 분석 77
      • Ⅳ. 연구 실제 79
      • 4.1 활동 중심 영어 발음 지도 79
      • 4.2 수업과 관련해 사용된 활동 자료 81
      • 4.3 차시별 주요 활동 및 학습내용 84
      • Ⅴ. 연구 결과 및 논의 90
      • 5.1 마찰음 식별 능력과 명료도 간의 상관 90
      • 5.2 사전-사후 명료도 분석 결과 93
      • 5.3 사전-사후 이해도 분석 결과 98
      • 5.4 명료도와 이해도 간의 상관 103
      • 5.5 논의 107
      • Ⅵ. 결론 및 제언 109
      • 6.1 결론 109
      • 6.2 제언 111
      • 참고문헌 및 멀티미디어 프로그램 116
      • ABSTRACT 122
      • 부록 12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